본문 바로가기

유아발달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사, 보육교사, 유치원 필수과목 유아발달 핵심 요점 정리 38장. 유아기 기억발달

728x90
반응형

38장. 유아기 기억발달

유아는 연령이 증가하면서 기억 용량이 증가하고 보다 다양하고 효율적인 전략을 사용하며
상위기억이 발달하고 지식 구조가 확대되면서 기억을 더 잘하게 됨


1) 기억 과정
□ 기억은 부호화, 저장, 인출과정을 포함하는데 기억을 잘하기 위해서는 각 과정을 적절하게 수행해야 함
□ 유아는 기억의 초기 단계인 부호화 단계에서 직관적이고 자기중심적인 사고로 인해 사건의
전반적인 내용보다는 세부적인 내용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음
□ 유아는 자신이 집중한 내용, 단서를 제공하는 내용은 잘 기억
□ 친숙한 물건을 보여 주고 재인하게 하면 2세는 80% 이상, 4세는 90% 이상 재인할 수 있음
□ 3~4세 유아는 자기 스스로 회상하려 하지 않음
□ 5세가 되면 점차 의도적으로 회상할 수 있음.
□ 연령이 증가하면서 유아의 회상 능력은 현저하게 증가함


2) 사건 기억
□ 사건 기억은 발생한 사건에 대한 장기 기억임
- ex) 오늘 유치원에서 무엇을 하였는지, 이번 여름 여행에서 가장 즐거웠던 일은 무엇이었
는지 등에 대해 기억하는 것
□ 일반 기억은 되풀이하는 사건에 대한 기억으로 각본(scripts)이라고도 함
- 각본은 사건을 진행하는 순서와 인과관계를 포함
- 유아는 생일 파티하기, 간식 먹기, 유치원 버스 타고 등원하기 등의 각본을 가지고 있음
- ex) 생일 파티를 할 때는 생일 케이크에 초를 꽂고 불을 켜기, 생일 축하 노래 부르기, 촛
불 끄기 등의 순서가 있는데 유아는 이런 일련의 행동에 대한 일반 기억이 있음
□ 일화 기억(episodic memory)은 특정 시간과 장소에서 일어난 특정 경험에 대한 기억
- 일화 기억은 일시적이어서 여러 번 회상하지 않으면 얼마 동안 지속되다가 사라짐
- 유아는 빈번하게 일어나는 사건보다 자신에게 특별하고 주목할 만한 사건을 더 잘 기억함

□ 자서전 기억은 개인 각자의 삶에서 중요한 사건이나 경험에 대한 기억으로서 개인에게 특별
하고 어떤 의미를 지닌 기억만을 말함
- 3세 이전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다가 4세경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5세 이후에 서서히 증가함
- 자서전적 기억이 나타나는 시기는 개인마다 다름
- 유아의 자서전적 기억 발달에 부모가 중요한 역할을 함
- 부모가 자녀와 대화하면서 사건에 대해 질문하고 회상을 확장해 주고 평가하도록 하면 유
아는 ‘나에게 일어난 일’로 기억하게 되어 자서전적 기억으로 발전하게 됨


3) 기억 용량의 증가
□ 유아는 연령이 증가하면서 기억용량이 증가함
□ 이는 정보의 저장 공간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함
□ 기억 용량의 증가는 단기기억의 용량이 증가하는 것임
□ 감각기억과 장기기억의 용량은 유아의 연령이 증가해도 거의 변화하지 않음
□ 단기기억의 용량은 기억폭(memory span)과제를 통해 측정함
기억폭 과제는 무의미한 숫자 등과 같이 서로 관련 없는 항목들을 유아에게 빠르게 제시하
고 이를 순서대로 정확하게 기억하는 정도를 측정함


4) 기억 전략
□ 기억 전략은 정보를 저장하고 인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의도적인 활동
유아가 사용하는 기억 전략은 단순하지만 연령이 증가하면서 전략 사용의 양과 질이 변화하고 그 효율성도 증가함
□ 시연(rehearsal)은 기억해야 할 정보를 반복해서 연습하는 것
- 시연 전략을 자발적으로 사용하는 유아가 그렇지 않은 유아보다 기억을 더 잘함
- 이 전략은 5세경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초등학교 입학 후부터 급격히 발달함
□ 조직화(organization)는 기억할 정보를 관련이 있는 것끼리 묶어서 기억하는 전략
- 조직화 전략에는 한 묶음의 정보를 묵어서 기억하는 절편화가 있음.
- ex) 전화번호가 123-4567인 경우 국번(123)과 개별번호(4567)로 나눠 기억하는 것은 절편화임
- 의미상 서로 관련 있는 것끼리 묶어서 기억하는 범주화가 있음
- ex) 할아버지, 할머니, 엄마, 아빠, 나, 동생을 기억해야 하는 경우 할아버지, 할머니, 엄
마, 아빠를 어른으로 묶고 나와 동생을 아이로 묶어 기억하는 것은 범주화임
□ 정교화(elaboration)는 기억해야 할 정보에 무언가를 덧붙이거나 다른 정보와 관련시켜 기억하는 전략.
- ex) 고양이와 나무를 기억하고자 할 때 고양이가 나무에 앉아 있는 모습을 연결시켜 암기하는 것
□ 시글러(Siegler, 2000)는 전략선택 모델(adaptive strategy choice model)을 제안

 

<기억전략의 발달에 관한 시글러의 적응적 전략선택 모델>

- 유아의 인지 목록에는 다양한 전략이 존재하며 어떤 문제를 해결하려고 할 때 유아는 이
전략들 중에서 선택한다고 봄
- 새로운 전략이 정답을 산출하는데 실패하거나 적절하지 않은 경우 예전에 사용된 전략이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임


5) 상위 기억
□ 상위 기억(meta-memory)은 기억과 기억 과정에 대한 지식임
□ 상위기억은 기억과정에 대해 더 많이 알고 가장 적절한 전략을 선택하고 이를 관리하는 것

□ 유아가 기억 과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
□ 유아기에는 상위기억에 대한 초보적인 지식이 발달
□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
□ 상위 기억은 약 2세경에 나타남. 예로, 엄마가 어디에 숨는지 잘 보라고 하면 숨는 과정을 유심히 살펴봄
□ 유아가 잘 지켜봐야 잘 기억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는 것
□ 3~4세 유아는 짧은 내용보다 긴 내용을 기억하는 데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앎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