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3장. 인지발달 이론의 시사점
1) 공헌점과 시사점
가장 큰 공헌점은 인지를 강조하였다는 점
유아는 성인과는 질적으로 다른 유아만의 사고 특징이 있다고 주장
영아 유아 아동 성인이 , , , 어떻게 다르게 사고하는지에 대해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
유아는 수동적 존재가 아니라 자발적으로 환경을 탐색함으로써 지적발달을 이루어가는 능동적인 존재
교육 현장에 많은 기여
예) 유아는 환경과 스스로 상호작용하면서 자기 생각이 잘못된 것을 깨닫고 스스로 수정해가는
과정을 통해서 발달 발견학습 발달에 - , , 적합한 교육 놀이 중심 교육
지식 암기 교육은 유아의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주지 못함
부모와 교사의 역할 발달에 : 적합한 학습을 위해 환경의 제공자 지지자 능동적 상호작용 자의
역할 강조
2) 비판점
유아 능력에 대한 과소평가 유아들의 : 자기중심성에 대한 재평가를 통해 유아기에도 자기중심성
을 탈피한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는 점 피아제가 . 수행한 실험들은 ‘실험실 안에서 ’ 수행되어 실
험실 밖의 자연스러운 상황에서는 유아가 능히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제한하였다는 비판 제기.
사회문화적 영향을 과소평가 사회 : 또는 문화에 따라 인지적 발달 단계에 도달하는 시기가 다름
을 발견 모든 . 청년들이 형식적 조작기의 사고를 하고 있지 않음이 발견
동화 조절 평형 , , 등의 개념이 인지발달의 단계를 전환시키는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 분명하게
제시되지 않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