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장. 인지발달 이론의 기본 개념
1) 인지발달 이론의 개요
대표 학자 : (Jean Piaget) 피아제
- 현대 인지주의 이론의 기초가 되는 인지발달 이론을 정립
- 피아제이론은 발생학적 인식론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지식이 무엇이며 어떻게 지식을 생성시
키는지를 밝히고자 하였기 때문
- 유아의 사고방식은 성인과 질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발견
- 유아는 단순히 환경에 반응하는 수동적 존재가 아니며 주변 환경을 적극적으로 탐색 조작하
며 구성해 나가는 능동적 존재라고 주장
- 발달은 성숙 또는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유기체의 능동적인 적응의 과정
- 아동중심 교육의 심리적 기초를 제공함
유아들은 주변 환경을 탐색하면서 자신의 인지구조를 발달시켜 나감
신체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주변 환경을 좀 더 적극적으로 탐색할 수 있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인
지구조를 발달시킬 수 있게 됨
유아기 동안에 나타나는 직관적 사고와 상상력은 아동기가 되면 구체적인 사고로 변화하며, 청
소년기가 되면 추상적이고 논리적인 지능으로 변화함
인지발달의 과정을 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의 4단계로 제시
각 단계마다 고유한 특징이 있음을 제시
각 단계들의 순서는 불변하며 항상 정해진 순서대로 발달함
피아제의 이론은 세계 모든 문화권의 아동들에게 적용 가능함
2) 인지발달 이론의 기본 개념
(1) 도식(schema)
인지구조의 기본 단위
반사 행동처럼 생득적으로 타고난 행동
신생아는 출생 시부터 기본적인 반사 능력을 가지고 태어나며 환경적 , 요구에 적응하기 위
해 다양한 반사 행동과 감각운동 능력으로 주변 환경에 대한 지식을 능동적으로 구성함
생득적으로 타고난 행동적 도식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보다 고차원적인 도식으로 발달됨
인생 초기의 도식은 반사적 감각운동적인 , , 행동의 구조들이며 이를 기초로 점차 추상적인
도식을 발달시키게 됨
(2) 동화(assimilation) 와 조절(accommodation)
인간은 생존을 위해 환경에 끊임없이 적응해 나감
인간의 인지적 발달은 유기체의 환경에 대한 적응 과정 중 하나
인간은 환경의 요구에 따라 인지구조를 끊임없이 재구성해 나감
환경에 대한 적응 과정은 동화와 조절의 상호작용 과정
동화
- 외부 세계를 해석하고 이해하기 위해 기존에 가지고 있는 도식을 사용하는 것
- 낯선 환경을 접했을 때 자신이 가지고 있는 도식으로 환경을 이해하는 것
- 예) 빨기 도식을 가지고 있는 영아에게 딸랑이를 쥐어 주면 입으로 가져감
- 예) 하늘을 ‘ 나는 것은 새 라는 ’ 도식을 가지고 있는 유아가 비행기를 처음 보았을 때 비
행기를 새라고 이해하는 것
- 예) 황금색 ‘ 털 꼬리 네발 , , 달린 동물은 강아지 라는 ’ 도식을 가지고 있는 유아가 송아지
를 보았을 때 강아지라고 이해하는 것
조절
- 새로운 환경을 접했을 때 기존의 도식으로 새로운 환경을 이해할 수 없을 때, 기존에
가지고 있던 도식을 변경시켜 새로운 도식을 만드는 것
- 예) 유아가 비행기를 보고 새라고 했을 때 ‘아니야 저것은 , 비행기란다’라고 말해줌으로
써 하늘을 나는 것은 새도 있지만 비행기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는 것 이때 . ‘비행기’라
는 새로운 도식이 생성됨
- 예) 유아가 송아지를 강아지라고 했을 때 강아지와 송아지의 차이점을 알게 해 준다면
유아는 황금색 털과 꼬리 그리고 , 네발이 달린 동물은 강아지 이외에 송아지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송아지 라는 ’ 새로운 도식을 생성하게 됨
(3) 평형(equilibration)
유아가 가지고 있는 인지구조로 세상을 이해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는 상태
인지적 균형이 이루어진 상태
동화와 조절 중 어느 하나가 더 우세하지 않고 균형을 이루는 상태
유아가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동화와 조절에 의해 인지구조의 균형이 이루어진 상태
인지발달의 과정
- 유아가 새로운 환경이나 사물을 만나면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기존의 사고 틀( ) 도식 로 이해
하려 함
- 동화의 과정이 일어나 기존의 , 도식으로 새로운 사물이 이해됨
- 환경에 적응함
- 기존 사고의 틀로는 사물을 이해하지 못하게 될 때 인지적 갈등이 발생하고 불균형을 겪
게 됨
- 자신의 도식을 수정하여 사물을 이해하려 함
- 조절이 일어나 새로운 사물을 이해하게 됨
- 인지적 균형 발생
유아가 이해할 수 없는 완전히 낯선 환경보다 유아가 경험하던 환경과 약간 차이가 나는
환경에서 인지적 불균형을 경험하기 쉬우며 불균형과 , 균형을 통해 평형화가 이루어질 때
인지가 발달하게 됨
'유아발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사, 보육교사, 유치원 필수과목 유아발달 핵심 요점 정리 23장. 인지발달 이론의 시사점 (17) | 2023.05.14 |
---|---|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사, 보육교사, 유치원 필수과목 유아발달 핵심 요점 정리 22장. 인지발달 단계와 유아기의 특징 (24) | 2023.05.13 |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사, 보육교사, 유치원 필수과목 유아발달 핵심 요점 정리 20장. 모델링을 통한 학습 모형과 사회학습 이론의 시사점 (41) | 2023.05.11 |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사, 보육교사, 유치원 필수과목 유아발달 핵심 요점 정리 19장. 모델링을 통한 학습과정 (39) | 2023.05.10 |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사, 보육교사, 유치원 필수과목 유아발달 핵심 요점 정리 18장. 사회학습 이론의 주요 개념 (39) | 2023.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