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상영양학

영양사, 식품기사, 가정학과 등 필수 임상영양학 요점 요약 정리 1. 임상영양관리의 기술 및 계획

728x90
반응형

1장 임상영양관리의 기술 및 계획

* 임상영양학의 정의

- 영양소의 결핍이나 과잉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을 치료, 예방하거나, 질병으로 인해 발생하는 영양소

의 대사교란으로 인해 생기는 영양소 부족 또는 과잉을 치료함으로써 질병치유에 도움을 주는 학문

* 임상영양사의 역할

- 건강관리전문인의 일원으로 환자나 내담자들에게 최적의 영양을 공급함으로써 질병에서 회복되고

최적의 삶의 질을 유지하도록 도우는 전문인

*급식분야

-급식을 위해 식품을 선택구매하고 조리원들에게 조리 방법을 교육시키며 환자의 질병상태에 따른 식사요법대로 식단을 작성하여 최적의 식사를 제공하는 분야로 급식관리가 주 업무가 된다, 이때 영양사는 병원 경영의 일부를 책임지게 되며 회계관리.인사관리.재고관리등 경영인의 업무를 맡게됨

*임상영양분야

- 환자의 영양상태를 판정하고 판정결과에 따라 영양관리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며 평가하게 된다. 환자의 교육이나 영양상담을 담당하며 병원에 입원한 환자뿐 아니라 외래환자, 검진센터 방문자, 건강한 지역사회 주민에게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영양 교육 프로그램도 실시하게 된다.

* 문제지향 의무기록방식

- 환자의 진단이나 증상보다는 문제에 역점을 두는 차트기록방식으로 이는 환자의 차트를 기록하는 새로운 방법일 뿐 아니라 병원의 건강관리팀이 환자들의 모든 문제를 항상 인식함으로써 건강관리팀 구성원들의 협력을 도모해주는 도구로 쓰일 수 있어 많은 병원들이 채택하고 있음

*한국인 영양 섭취 기준의 제정

-평균필요량: 대상집단을 구성하는 사람들의 50%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일일 필요량을 충족시키는

값으로서 평균 생리적 요구량에 해당

-권장섭취량: 건강한 사람들의 영양소 필요량을 충족시키기 위해 권장되는 영양소 섭취권장량을

연령과 성별로 나누어 놓은 것으로 평균 필요량과 표준편차를 사용해서 구할수 있다

-충분섭취량: 개인의 영양소 섭취에 목표를 두는 것으로 실험적으로 추정된 특정한 영양소의 체내

영양상태 지표를 정상적으로 유지하기에 필요한 섭취량이다

-상한섭취량:특정 인구집단에 속한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위험을 가져오지 않은 영양소 섭취의 상한선으로 인체 건강에 유해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최대 영양소 섭취수준을 말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