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문제연구론

교육, 교육학과, 방통대 등 교육문제연구론 핵심 요점 요약 정리 3. 교육과 학교

728x90
반응형

3. 교육과 학교

. 교육의 제도화 : 매력과 함정

1) 교육의 역사와 학교의 역사

- 교육은 학교라는 제도가 출현하기 이전에도 인간의 삶 이곳저곳에서 활발하게 진행되어 온 독특한 활동임

- 교육은 인간의 출현과 함께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지만, 학교의 출현은 인류의 역사에 비추어 보면, 비교적 최근에 벌어진 사건임

- 교육은 분명 비제도적인 인간적 삶이 양식 가운데 하나로 탄생하였지만, 학교라는 제도를 통하여 현대사회에 자리잡게 되었음

2) 제도화의 함정

- 제도는 인간의 특정한 활동에 안정성을 부여하고 그 활동의 원활한 수행을 보장하려는 필요에 따라 출현한 것임

- 하나의 제도가 성립되어 그것이 오랜 기간 발전하는 가운데 일정한 틀을 갖추고 나면, 그것은 특정한 활동을 목적으로 하는 수단이라는 원래의 취지를 넘어서 활동 자체를 규제하거나 통제하는 힘을 얻게 됨

- 이 과정에서 특정한 활동은 원래의 면모를 상실하고 제도에 맞는 것으로 변경되거나 왜곡되기도 함

3) 학교를 통한 교육의 독점

- 현대사회에서 학교는 교육을 거의 독점하고 있음

- 아무리 능력이 있어도 학교를 나오지 않으면 그 능력은 학력으로 인정받지 못함

- 학교와 관련이 있는 모든 것은 곧바로 교육이거나 교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당연시됨

 

. 교육의 문제와 학교의 문제

1) ‘교육=학교태라는상식

- 학교가 수행하고 있거나 학교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들을 교육과 구분하여학교태’(schooling)로 지칭하기도함

-‘교육=학교태라는 등식은 교육을 바라보는 일반인들의 관점을 대표할 뿐만 아니라, 교육을 전문적으로 탐구하는 교육학자들이 견지하고 있는 관점이기도 함

-‘교육=학교태라는 관점을 견지하는 한 교육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심각하고 진지한 것으로 다룰 가능성은 거의 없음

2) 학교의 다양한 기능

- 학교는 애초에 정치적인 통합을 달성하려는 목적으로 설립된 것으로서 지금도 여전히 다양한 정치적 기능들을 수행하고 있음

- 학교는 경제의 발전에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는 경제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음

- 학교는 구성원들이 사회의 유지와 발전에 필요한 가치관과 행동방식 등을 받아들이도록 하는 사회적인 기능도 수행함

- 학교는 하나의 축소된 인간적 삶의 세계로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학교에서는 이와 관련된 활동들이 전개되고 있음

3) ‘학교태의 실제

- 학교는 교육도 하나의 기능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각종의 교육활동들이 전개되는 장이기도 함

- 그렇기는 하지만, 학교태가 곧 교육은 아님

-‘학교태=정치+경제+사회+문화+종교+ㆍㆍㆍ+교육이라고 보는 것이 옳음

4) ‘교육=학교태라는 상식의 문제

-‘교육=학교태라고 사고할 경우에 학교 속에서 벌어지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종교 등 교육과는 구분되는 것들이 모두 교육의 이름으로 포섭되는 일이 생겨남

- 이 경우 교육은 교육 아닌 것들과 혼동됨으로써 오히려 그 실체가 체계적으로 왜곡되는 일이 발생함

5) 학교와 교육의 개념적 구분

6) 학교학: 학제연구

- 지금까지의 교육학은 교육학이라기보다는 학교태를 연구하고 이의 개선을 도모하는학교학’ (schoology)에 머물러왔음

- 현재의 학적인 편제는 교육을 탐구하는데 적절한 교육학의 고유한 편제가 아니라 학교학의 편제에 해당하는 것임

- 학교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학문들의 참여를 통한 학제연구(interdisciplinary studies)의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함

7) 학교학에 대한 교육학의 기여

- 교육학은 학교학의 학제 연구에서 다른 학문들과는 구분되는 하나의 학문으로 참여함

- 교육학은 학교 안의 교육을 교육학의 관점에서 포착하고 이를 교육학의 개념으로 드러낼 수 있어야 함

- 학교의 문제를 다루는 일은 교육학이 전담해야 될 일이 아님

8) 학교의 문제와 교육의 문제 구분

- 학교의 문제가 곧 교육의 문제도 아니고, 학교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이 다 교육도 아님

- 교육의 문제라는 이름으로 거론되고 있는 것들은 성격상 교육의 문제가 아니라 학교의 문제인 것이 태반임

- 여기서 교육의 문제를 논하기 이전에 먼저 교육을 교육으로 제대로 인식할 수 있는 안목과 개념체계, 또는 교육관을 형성하는 일이 시급함

 

. 공교육과 사교육

1) 공교육 정상화와 사교육 억제의 맥락

- 다양한 사설교육기관이나 학원 등에 수많은 아이들과 청소년들이 등록하여 다니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엄청난 규모의 사교육비가 지출되고 있음

- 공교육의 정상화나 사교육의 억제라는 움직임이 교육의 문제를 교육적인 원리나 논리보다는 경제적이거나 정치적인 논리에 의하여 풀어나가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음

2) 교육의 논리로 풀어야 하는 교육의 문제

- 우리는 교육의 문제를 교육 바깥의 논리로 접근하려는 경향이 있음

- 특정한 교육정책이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것인지, 사회적인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인지 등에만 관심을 가짐

- 특정한 교육정책이 우리 교육을 교육답게 이끌어나갈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함

3) 사교육에 대한 교육적 접근

- 사교육은 그 취지상 학교교육이 어쩔 수 없이 가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해소하거나 보완하는 교육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

- 이 점에서 사교육은 백안시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정상적인 궤도를 찾아 운영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나 정책적으로 지원되어야 함

- 경영학을 전공하고 공기업과 사기업에 다 취업하는 것처럼 교육 관련 전공을 하고 공교육의 장과 사교육의 장에 다 취업하는 것이 필요함

 

. 교육의 본질과 교육의 제도

1) 도구로서 학교제도를 보는 관점

- 학교제도의 목적은 교육이며, 학교제도는 이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고안된 도구라고 보아야 함

- 학교가 교육을 위한 도구의 지위에서 벗어나 그 자체 목적으로 변모하는 가운데 교육을 통제하거나 왜곡시킬 가능성을 경계해야 함

- 교육을 위한 도구로서 학교가 앞으로도 가장 핵심적인 제도일 것인가에 대한 논의도 진행되고 있음

2) 교육제도의 사명

- 교육이 그 자체의 본질에 맞게 진행되도록 보장하는 것이 교육제도라고 보면, 새로운 시대의 교육제도는 학교를 넘어서는 새로운 것으로 발전하지 않으면 안 됨

- 그 동안 학교에 집중되었던 다양한 행재정적 지원과 제도적 혜택을 교육이 실제로 진행되고 있는 공간을 중심으로 재분배해야 함

3) 새로운 교육제도의 탐색

- 청주교육대학교 엄태동 교수님과 인터뷰

4) 학교의 변화

- 다가오고 있는 시대는 종전과는 달리 학교라는 제도를 주어진 것으로 보고 이에 적응하는 시대가 아니라, 교육이란 무엇인가를 고민하면서 적극적으로 새로운 제도를 실험하고 학교가 이에 적응하도록 요청하는 시대임

- 전체 교육의 맥락 속에서 학교의 위상과 역할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며, 이에 따른 재구조화가 필요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