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간호조무사, 간호사 간호직 공무원 등 대비 고위험간호학 요약 정리 1. 산전간호

728x90
반응형

 

1. 산전간호

1.1.임부의 생리적 적응과 간호
1. 생식기의 변화
1) 질
①채드윅 징후(Chadwick's sign): 질의 피부와 근육에도 혈관분포가 증가하여 자색으로 변
하고 부드러워짐. 임신 6주경에 나타나고 임신의 추정적 징후임.
②질 점막이 두꺼워지고 결체조직이 느슨해지며 근조직이 비대해져 질 벽도 길어짐.
③질 분비물의 색깔은 전보다 희어지며 유산간균(락토바실러스)의 활동도 많아짐. 질의 산
도는 비임신 시보다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서 질에 염증이 일어나기도 함.


2) 자궁경부
①자궁경부의 지름, 길이: 2~2.5cm.
②임신 후 곧 혈관분포가 증가하여 부드러워짐.
③굿델 징후(Goodell's sign): 임신 동안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영향으로 자궁에 있
는 세포들이 비대해지고 증식하며, 결체조직의 부종으로 느슨해지면서 자궁경부는 매우 부
드러워짐.
④자궁경관 통로에는 점액이 가득 차서 점액전(mucous plug)을 형성하며 이 점액전은 임신
중 박테리아가 침입하지 못하도록 방어하는 역할을 함.


3) 자궁
①에스트로겐의 영향으로 자궁의 크기가 증가함.
②자궁의 근섬유: 맨 바깥층에는 종주근(longitudinal muscle fiber), 맨 안쪽에는 윤상근
(circular)이 난관 입구와 경관내구를 중심으로 밀착되어 있음. 중간층은 8자 모양의 근섬유
(figure of eight)임.
③모양: 서양배모양 → 구형 → 난원형.
④헤가르 징후(Hegar's sign): 임신 7주경에 자궁 협부의 길이가 증가하고 매우 부드러워지
는 현상이며, 임신의 가정적 징후임.
∙자궁의 협부: 조직학적 자궁내구와 해부학적 자궁내구 사이.
⑤임신 초기부터 통증이 없고 불규칙한 자궁수축인 브랙스턴–힉스(Braxton–Hicks) 자궁수
축이 있음.
⑥자궁저 높이(HOF)
∙임신 12주: 치골결합(symphysis pubis) 위로 나옴.
∙임신 16주: 치골결합과 배꼽의 중간 정도에 있음.

∙임신 20주: 배꼽 바로 아래에 있음.
∙임신 24주: 배꼽보다 약간 위에 있음.
∙임신 28주: 배꼽에서 위로 세 손가락에 와 있음.
∙임신 32주: 검상돌기 아래로 세 손가락에 와 있음.
∙임신 36주: 가장 높이 올라와서 검상돌기에 위치함.
∙임신 38주: 8개월 수준으로 내려옴.
⑦임신 주 수가 경과함에 따라 자궁은 점점 커지며, 자궁 바로 앞에 방광이 있기 때문에 커
진 자궁이 방광을 눌러서 임신 초기에 임부는 빈뇨를 호소함.
⑧자궁이 복강으로 올라오면 오른쪽으로 약간 회전하게 되는데, 이를 덱스트로로테이션
(dextrorotation)이라고 하며, 이는 왼쪽에 직장과 S결장이 있기 때문임.


4) 난소와 난관
①난소는 임신 중에 배란이 중지되고, 황체는 태반이 형성될 때까지 그대로 유지됨.
②난관은 임신 동안 더 길어지며, 난관과 난소에 있는 정맥혈관이 임신 전보다 세 배나 확
장되어 혈액을 더 많이 보유하게 됨.


5) 유방
①임신 8주부터 유방은 커지고 민감해지며 찌릿하고 묵직한 느낌이 점차 더 진행됨. 임신 4
개월 이후 2차적 유륜이 분홍빛으로 나타나고, 유두와 유륜은 더 착색되어 색깔이 짙어지며
유두는 직립하게 됨.
②유두 주위에 있는 유륜에 몽고메리 결절이 있는데, 이것은 피지선이 비대해져서 생기는
것으로 유두를 매끄럽게 하는 역할을 함.
③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영향으로 유선, 유관, 젖분비세포가 증식됨.
④임신 16주 말에 유두를 짜면 엷고 맑은 점착성 전초유가 나오는데, 이것이 임신 말기에
진해져서 초유가 됨.


2. 심혈관계
①심장이 약간 비대해지고 커지는 자궁 때문에 심장은 왼쪽 위로 올라감.
②임신 동안 혈액의 양이 50% 증가하여 32주 정도면 최고에 도달함. 그 이후에 약간 감소
되나 거의 그대로 유지함.
③혈류가 증가하여 수축기에 잡음이 심장의 심첨과 폐동맥판막이 있는 부위에서 들림.
④혈액이 증가하는 이유
∙자궁이 커져서 자궁으로 혈액을 보내야 하기 때문.
∙태아와 모체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서.
∙분만 동안 실혈에 대비하기 위해서.
⑤심박출량 증가.
⑥적혈구 증가량은 임부의 철분제 복용에 달려 있음.


3. 호흡기계
①자궁이 커짐에 따라 횡격막이 올라가며 흉곽이 넓어짐.
②효율적인 가스 교환으로 탄산가스의 분압이 낮아져 호흡성 알칼로시스가 올 수 있음.

 

4. 신장계
①사구체의 여과능력이 증가하나 세뇨관의 재흡수는 그대로임. 간혹 소변에서 당이 배출되
기도 하므로, 이때는 임신성 당뇨병을 염두에 두고 당내성검사를 하여 면밀히 조사.
②프로게스테론의 영향으로 신장계의 평활근이 이완되어 소변의 흐름이 느려져 정체되는 시
간이 길어지므로 비뇨기계 감염이 일어나기 쉬움.
③임신 중에는 일반적으로 요량이 증가하고 비중이 떨어짐.


5. 위장계
①입덧은 임부의 50~70%가 경험하며 임신 4~12주에 나타남. 하루 중 어느 때나 발생하지
만 주로 아침에 더 심함.
②자궁이 커짐에 따라 위
장관이 상부로 올라가 위치가 변화됨.
③에스트로겐의 상승은 위의 염산분비를 저하시키고, 프로게스테론의 상승으로 평활근이 이
완되어 위와 장의 운동이 저하되어 소화시간이 길어짐. 간혹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되
어 임부는 가슴앓이(heartburn)를 호소하기도 함.


6. 신경계
①말초신경에 부종이 있으며, 저칼슘혈증으로 근육경련이나 강직이 올 수 있음.
②심리적 반응으로 불안과 긴장으로 인해 긴장성 두통이 오기도 함.


7. 근골격계
①복부가 늘어남에 따라 근육의 긴장이 저하. 복부가 커지면서 복직근 이개와 임신 7개월경
에는 배꼽이 나옴.
②임부의 자세가 변형되어 배가 불러지면서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가슴부위는 뒤쪽으로 젖
혀짐.


8. 피부계
①복부 중앙에 치골결합에서 자궁저부까지 착색된 선이 있음(linea nigra).
②임신선이 복부, 대퇴, 유방 등에 있음.


9. 내분비계
1) 태반
(1)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HCG)
①임신 8~10주(60~70일)에 최고치에 달하고 그 이후부터는 감소하기 시작하여 임신 20주
에는 최저치에 이름.
②소변이나 혈액에서 이 호르몬을 검사하여 임신 여부를 진단함. 절박유산의 경우 HCG는
저하되어 있고 다태임신이면 상승되어 있음. 그 외에 포도상기태, 융모상피암일 때 정상임
신보다 상승되어 있음.
③작용: 임신 초기에 황체를 유지시키고 이물질 단백에 반응하는 림프구를 억제하며 태아가
남아일 경우 테스토스테론치를 상승시켜 태아의 성 분화를 도움. 임부에게 임신오조증도 유발시킴.

 

(2) 태반락토겐
①혈중농도는 임신 34~36주까지 점차 증가하며 태반의 무게와 상관관계가 있음.
②작용: 뇌하수체 성장호르몬 작용과 비슷하여 당대사와 단백대사에 관여함.


(3) 에스트로겐
①임신 중에 태반에서 생산되는 에스트로겐은 에스트리올(estriol)임.
②임부의 소변에 있는 에스트리올 양을 측정하여 태반의 기능 및 태아의 건강상태를 평가할
수 있음.


(4)프로게스테론: 임신 초기에는 주로 황체에서 프로게스테론이 형성됨. 임신 7~12주가 지
나면 태반에서 주로 프로게스테론 생산.
2)갑상선: 임신 중 갑상선은 약간 커지는데, 이는 선조직이 증식하고 혈관조직이 증가하기
때문임.
3)부갑상선: 임신하면 칼슘과 비타민 D의 섭취요구가 증가하기 때문에 2차적으로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이 옴.


4) 부신
①임신 15주부터 모체의 부신에서 알도스테론 분비량이 상당히 증가함.
②이러한 알도스테론의 증가는 임신 중의 프로게스테론 증가에 따른 나트륨 배설을 억제하
기 위한 것임.


5) 췌장: 임신 초기에 췌장의 인슐린 생산이 저하됨. 모체에서 인슐린을 충분히 분비하지
못하면 임신성 당뇨가 생길 수 있음.


6) 뇌하수체
①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옥시토신은 태아가 성숙해짐에 따라 증가함.
②멜라닌자극호르몬이 많이 분비되어 임신의 특징인 피부에 색소침착을 일으키는 원인이
됨.
③유즙을 분비하는 뇌하수체의 프로락틴은 임신 초기에 시작하여 말기까지 증가.


10. 대사
1) 체중증가: 임신 동안의 총체중증가량은 약 11kg.
①임신 1기: 1~2kg 정도 증가하거나 약간 감소할 수도 있음.
②임신 2기: 4~5kg 정도 증가.
③임신 3기: 4~5kg 정도 증가.


2) 수분대사
①태아, 태반, 양수로 인한 수분량: 3.5L.

②혈액의 증가와 자궁과 유방의 증대로 인한 수분량: 3L. ⇒ 총수분축적량: 6.5L.
3)단백질대사
①임신 시에 단백질대사는 저하되어 질소의 배설량은 섭취한 질소량보다 훨씬 적음.
②임신 후반기에는 단백질 소비가 절약되어 단백질이 축적됨. 이것은 태아의 발육을 돕고
태아의 부속물을 형성하며 자궁과 유방이 증대되는 데 이용됨.
4) 탄수화물대사: 임신성 당뇨가 일어날 수 있음.
5) 지방대사
①지방도 체내에 축적되고 혈장 내에 지방과다를 일으킴.
②지방 축적은 임신 3개월부터 시작하여 점차 증가하다가 임신 말기에 더 현저해짐.
6) 광물질대사
①칼슘과 인은 태아의 발육 때문에 그 수요가 증가해 배설이 감소됨.
②철과 마그네슘의 배설도 감소해 태아 발육에 관여함.
③나트륨 배설감소는 부종을 초래하는 원인 중 하나임.
7) 비타민대사
①태아의 발육에 필수적인 영양소이며 임신 중 모체의 요구량도 증가함.
②특히 비타민 결핍으로 태반의 괴사가 일어날 수 있고 유산
조산사산이 오기 쉬우며 신생
아에게 구루병
괴혈병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

 

1.2.부모 준비교육
1. 사회심리적 변화
1) 임부의 변화
(1) 임신 초기(임신 1기): 양가감정이 나타남. 자기의 신체 내부로 관심이 집중됨.
(2) 임신 중기(임신 2기)
①태동을 느끼면서 임신을 실감하게 됨.
②자기 자신과는 별개로 자라고 있는 태아를 인식하며 어머니-태아의 관계가 시작됨.
(3) 임신 말기(임신 3기)
①태아기형, 분만 등에 대한 불안이 최고도에 달함.
②출산에 대해 몸과 마음의 준비를 함.
③분만과 아기 어머니가 되는 것을 현실적으로 생각함.
2) 남편의 변화
(1) 임신 초기(임신 1기): 아기에 대한 기대감으로 행복하지만 아버지가 된다는 것을 실감
나게 느끼지 못함.

(2) 임신 중기(임신 2기)
①남편도 아내의 신체적 변화에 대해 나름대로 느낌이 있음.
②쿠바드(Couvade) 증후군이 나타남: 남편이 아내를 닮아 오심, 구조, 입덧, 소화불량, 요
통, 가슴앓이, 배가 불러지는 증상을 느끼는 것.
(3) 임신 말기(임신 3기)
①임부와 함께 출산을 계획하고 준비하면서 부인과 유대관계가 더욱 강화됨.
②새로운 가족에 대한 기대감과 책임감을 더 강하게 느낌.


2. 출산 준비교육
1) 통증이론
① 특이성 이론
② 형태이론
③ 정서이론
④ 시상뉴런이론
⑤ 내인성 통증통제이론
⑥ 관문통제이론
2) 라마즈 출산준비교육의 원리, 기능 및 효과
① 라마즈교육의 원리: 라마즈교육을 통해 분만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공포와 긴장 간의
연결고리를 단절시키고, 호흡법
연상법근육이완법 같은 의도적인 활동으로 긴장과 동통 간
의 연결고리를 단절시킴.
②라마즈교육의 기능: 통증이 없는 무통분만이 아니라 동통 요인을 줄이거나 동통이 있을지
라도 임산부가 동통과 분만을 소극적이고 무기력하게 괴로운 고통의 시간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긍정적이며 적극적이고 분만에 전념하는 자신감 넘치는 시간으로 받아들이게 함.
③라마즈교육의 효과: 분만 시 동통 및 불안 감소, 산후우울증의 빈도 감소, 임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형성, 회음절개술이나 겸자분만, 제왕절개술의 빈도 감소 등.


1.3.고위험 임산부의 사정기준
고위험 임산부의 위험요인을 평가하는 방법은 국가나 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일반요
인, 임신력, 병력 및 산전요인에 따라 정함.

 

<확인문제>

 

01
임신한 동안 나타나는 자궁경부의 변화는? (교과서 5쪽 참조)
가. 자궁경부의 결체조직이 느슨해진다.
나. 자궁경부에 점액이 많아지면서 점액전(mucous plug)을 형성한다.
다. 임신 전보다 자궁경부가 부드러워진다.
라. 임신 전보다 자궁경부의 길이가 3cm 이상 길어진다.
① 가, 나, 다 ② 가, 다 ③ 나, 라 ④ 가, 나, 다, 라
해설 자궁경부는 혈관분포가 증가하여 부드러워지며, 자궁경관통로에는 점액전을 형성하
며 임신 중 박테리아가 침입하지 못하도록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
02
임신한 동안 정상적인 자궁의 변화는? (교과서 6~7쪽 참조)
가. 자궁협부가 길어져 임신자궁의 하부(lower segment)가 된다.
나. 임신 16주경에 자궁저부는 보통 배꼽 바로 아래에 있다.
다. 자궁동맥과 정맥이 더 커지고 길어진다.
라. 자궁혈관의 저항이 커져서 자궁과 태반을 통과하는 혈액이 증가한다.
① 가, 나, 다 ② 가, 다 ③ 나, 라 ④ 가, 나, 다, 라
해설 임부는 자궁과 질의 혈관계 분포가 증가하여 질은 부드러워지고 암자색으로 변한
다. 자궁은 크기가 증가하며 불규칙적인 통증이 없는 자궁수축이 있으며 약간 우측으로 돌
아 있다.
03
임신한 동안 나타나는 심혈관계의 변화로 옳은 조립은? (교과서 8~10쪽 참조)

①임신 32주–심박출량 최고–앙아위가 측와위보다 박출량이 더 많다.
②혈류량 증가–혈장량 증가–알부민 하강
③혈류량 증가–이완기 잡음–수축기 혈압 상승
④심장 오른쪽 위로 상승–심박동수 증가–심첨부(apical pulse)박동 이동
해설 심장은 약간 커지고 왼쪽 위로 올라가며 혈류가 증가하여 수축기 잡음이 들린다.
혈류의 양과 심박출량이 증가한다. 적혈구 증가량은 임부의 철제 복용에 달려 있다.
04
태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기능이 옳게 조립된 것은? (교과서 14~15쪽 참조)
가. 에스트리올(estriol)–수분과 염분 축적
나.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HCG)–임신 초기에 황체 유지
다.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평활근 수축
라. 태반락토겐(HPL)–유방의 포상조직 발달
① 가, 나, 다 ② 가, 다 ③ 나, 라 ④ 가, 나, 다, 라
해설 태반에서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 태반락토겐,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등을 분비
한다.
05
임신한 동안의 임부의 심리사회적 변화로 옳은 것은? (교과서 24~26쪽 참조)
가. 임신 초기에 양가감정
나. 임신 중기에 태아를 임부 자신과 분리하여 인식
다. 임신 말기에 어머니가 될 것을 인식
라. 임신 말기에 부모역할과 분만에 대한 걱정
① 가, 나, 다 ② 가, 다 ③ 나, 라 ④ 가, 나, 다, 라
해설 임신 초기에는 양가감정을 가지며, 자신의 신체 내부로 관심을 집중하게 된다. 임
신 중기에는 신체의 변화에 대한 느낌이 개인별로 다양하다. 임신 말기에는 태아기형, 분만
등에 대한 불안이 최고조에 달하며, 출산에 대해 마음의 준비를 하게 된다.
06
임신 38주에 첫 출산을 위해 병원에 입원한 이씨 부인의 자궁수축은 8분 간격으로 35초간
지속되고 있다. 내진 결과 자궁경관 상태는 100% 소실, 2cm 개대된 상태이다. 어떤 호흡법
을 권유하는 것이 좋을까? (교과서 36~41쪽 참조)
①평상시 호흡수의 1/2 속도로 느린 호흡을 한다.
②평상시 호흡수의 1.5배~2배로 호흡한다.
③“히~히~히~히,” “후.”로 호흡한다.
④자궁수축이 오면 입을 벌리고 가볍게 “하,하,하.”하고 호흡한다.
해설 임신 7~8개월에 시행하는 출산 준비교육으로 라마즈법이 있으며, 분만 1기 잠재기

(자궁경부 개대 0~3cm)에 하는 호흡법은 ①번의 호흡법으로 자궁수축이 시작될 때 천천히
코로 들이마시고 입을 약간 벌려 천천히 내쉬는 호흡을 하며, 이 호흡의 속도는 개별 임부
의 정상호흡수의 1/2 정도 속도로 한다.
07
라마즈교육의 호흡법 중 방법이 틀린 것은? (교과서 36~40쪽 참조)
①자궁경부 개대 2cm: 1차 호흡법
②자궁경부 개대 7cm: 2차 호흡법
③자궁경부 개대 9cm: 3차 호흡법
④분만 2기 호흡법: 힘 주는 호흡법
해설 라마즈호흡법은 흉식호흡으로 자궁수축이 시작될 때와 끝날 때는 항상 천천히 들이
마시고 코로 천천히 내쉬거나 입을 약간 벌려서 천천히 내쉬는 심호흡을 하는 것이 원칙이
다. 분만의 경과에 따라 호흡법이 달라지며 분만 1기 잠재기, 즉 자궁경부 개대가 0~3cm일
때 1차 호흡법을 시행한다.


∷ 정답1. ① 2. ② 3. ② 4. ③ 5. ④ 6. ① 7. 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