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역학개론

무역영어, 무역학과 등 무역전공 필수 무역학개론 요점 정리 91. FTA 원산지결정기준(2)

728x90
반응형

91. FTA 원산지결정기준(2)

1. 품목별기준(Product Specific Rule)


1) 품목별기준 정의


2개국 이상에서 투입된 원재료를 가지고 완제품을 생산한 경우 실질적 변형이 발생한 국가 ,
를 원산지로 보는 것을 품목별기준이라고 함
●  실질적 변형 여부를 판단으로 하는 기준은 세번변경기준 부가가치기준 가공공정기준 등 3
개 기준을 사용하며 물품특성에 따라 세번변경기준 또는 부가가치기준을 단독으로 사용하거
나 양 기준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기준 또는 양 기준을 조합하여 모두 충족해야 원산지를 
인정하는 조합기준이 사용되기도 함


2) 품목별기준 유형


●  세번변경기준은 국제무역에서 거래되는 상품의 품목분류체계 (HS) 에 따라 분류되는 기준으로 
HS품목번호가 바뀌면 상품의 본질적 특성이 바뀌는 것으로 인정하여 원산지를 결정하는 기
준임
●  부가가치기준은 상품의 제조 생산 과정에서 일정한 수준 이상의 부가가치가 발생된 국가를 ·
원산지로 인정하는 기준임
●  가공공정기준은 각 상품을 형성하는 주요 공정을 제시하고 당해 공정이 수행된 국가를 원산 ,
지로 인정하는 방식으로 주로 섬유 의류제품 곡물류 등 특정제품에 사용됨 · ·


2. 세번변경기준


1) 세번변경기준 개요


(1) 세번변경기준 개념
●  세번변경기준은 국제표준인 HS 를 근거로 하고 있어 객관적이고 예측가능성이 높아 가장 보 
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원산지결정기준임
●  세번이 변경된다는 것은 원재료부터 생산된 완성품이 실질적인 변형을 이루었다는 것을 의
미함 즉 역외 원재료의 일부 혹은 전부를 사용하여 완성품을 제조하였을 때 원재료의 세번 .
과 완성품의 세번이 다르다는 뜻이며 이 경우 이 완성품을 제조한 국가 또는 지역을 원산지 ,
로 인정하는 것을 말함


(2) 세번변경기준의 유형
●  세번변경기준은 HS번호를 기준으로 2단위 류 4단위 호 또는 6단위   
(Sub-Heading, ) 소호 로 달리 적용될 수 있는데 품목별 구체적인 수준은 각 FTA 에 따라 다 
를 수 있음
●  세번변경기준은 4단위 변경기준 이 가장 엄격하며 단위 변경기준 이 이보다는 덜 2 (CC) , 4 (CTH)
엄격하고 단위 변경기준 이 가장 완화된 기준임 , 6 (CTSH)
●  일반적으로 2단위 또는 4단위 위주의 비교적 엄격한 원산지기준을 사용하는데 비하여 수출 경쟁력이 뛰어난 제품의 경우 6단위 변경기준을 사용함 
●  따라서 협정에서 품목별로 동일한 원산지기준을 정하기 때문에 체약상대국 간 서로 상 FTA
반되게 자국의 경쟁력이 있는 품목은 단위로 자국의 경쟁력이 약한 품목은 단위 기준을 6 , 2
채택하려는 경향이 있음


(3) 세번변경기준의 예시
●  A (HS1701) (HS1704) , 2 국가가 설탕 으로부터 캔디 를 만드는 경우 캔디에 대한 원산지기준이
단위 변경인 인 경우에는 이를 제조한 국이 원산지가 되지 못하며 단위 기준 이하인 CC A , 4
경우에만 국이 원산지국가로 인정받게 되는 경우를 들 수 있음 A
●  따라서 동 물품에 대해 기준이 적용된다면 호로 분류되는 캔디는 국의 원산지 CTH HS1704 A
상품이 됨


2) Check 세번변경기준 충족 여부 확인시 사항
(1) 전제 조건
●  세번변경기준 적용 품목일 것 개별기준으로 세번변경기준이 정해져 있으나 공통기준에 의 : ,
하여 적용이 배제되고 가공공정기준이나 부가가치기준이 적용되는 품목이 아닌지 확인
●  상품 생산공정이 역내에서 수행되었을 것 역내에서 불인정공정 이상의 공정이 수행되었는 :
지 여부 확인
●  비원산지재료가 사용되었을 것 사용된 모든 재료가 원산지재료로 인정되는 경우 완전생산 : “
품 또는 원산지재료로 인정되는 재료만으로 생산된 물품 에 해당하므로 세번변경기준 적 ” “ ”
용 불필요함


(2) 상품 원산지 확인
●  제품의 원산지결정기준 일반기준 품목별기준 확인 ( + )
●  제품과 다른 세번의 비원산지재료 유무 확인
●  제품과 다른 세번의 비원산지재료가 있을 경우 불충족 여부 확인


3. 부가가치기준


1) 부가가치기준 개요
●  부가가치기준은 어떤 물품의 생산과정에서 역내에서 일정한 수준 이상의 부가가치를 발생시
킨 국가 또는 지역을 원산지로 인정하는 방법
●  요구되는 부가가치 수준은 각국의 품목별 경쟁력을 기초로 결정 경쟁력이 강한 품목은 비율 .
을 낮게 정하여 수출을 촉진하고 경쟁력이 낮은 품목은 비율을 높게 정해 수입을 억제하기 ,
위함


2) 부가가치비율 산출 공식
●  부가가치비율 산출은 두 가지 방식으로 규정되는데 첫째 역내부가가치 비율이 일정수준 이 ,
상일 것을 요구하는 법과 역외 부가가치가 일정수준 이하일 것을 요구하는 법이 있음 RC MC .

RC , , 법은 다시 공제법 직접법 순원가법으로 분류됨


(1) RC법
●  공제법 은 상품가격에서 비원산지재료의 가격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Build-down Method)
역내가치로 보는 방식임 따라서 원산지재료의 비율이 낮고 가공비 비율이 높은 경우에 적용 .
하면 유리함

●  직접법 은 생산자가 상품의 생산에 사용한 원산지재료비가 상품의 가격에 (Build-up Method)
서 차지하는 비율을 역내부가가치로 보는 방식임 따라서 원산지재료비의 비중이 높은 경우 .
적용하면 쉽게 부가가치 비율을 산출할 수 있음


●  순원가법 은 공제법의 일종으로 공제법은 상품의 가격을 수출국에서 출발 (Net Cost Method)
할 때의 가격을 기준으로 하는데 비하여 순원가법은 그 가격에서 판매비용 등 일정비용을 ,
제외한 가격으로 하는 점이 다름


(2) MC법
●  MC법은 비원산지재료가 상품가격의 일정비율 이하일 것으로 정하는 방식임
 

 

4. 가공공정기준


1) 가공공정기준 개요


●  가공공정기준은 생산물품의 제조가공공정에서 해당 물품의 주요한 특성을 발생시키는 가공
또는 공정을 수행한 국가를 원산지로 인정하는 방식
●  가공공정기준은 세번변경기준이나 부가가치기준에 비하여 적용되는 품목의 범위가 좁은 편
으로 어류 식물성 생산품 석유제품 화학제품 플라스틱 섬유제품 등에 채택하고 있음 · · · · ·
●  어류 식물성 생산품 석유제품 화학제품 플라스틱 등은 세번변경기준과 가공공정기준 중 하나 · · · ·
를 골라 적용할 수 있는 선택기준으로 섬유제품은 세번변경기준 또는 부가가치기준시에 충 ,
족하도록 하는 조합기준 형태가 주를 이룸

 

2) 섬유제품 가공공정 단


●  일반적인 제조공정은 면 모 실크 합성수지 등 원료에서 방사 공정을 거쳐 섬유 를 , , , (fiber)
생성하고 방적공정을 거쳐 원사 를 직조 편직 공정을 거쳐 직물 을 생산한 후 , (yarn) , · (fabric) ,
염색 재단 봉제 등의 공정을 거쳐 의류 를 생산함 · · (apparel)

●  우리나라가 체결한 FTA  에서는 칠레 미국과의 FTA  에서의 의류의 공통 기본원칙으로 원사  
기준을 채택하고 있으며 한  -EU 는 직물은 원사기준 의류는 직물기준을 구분하여 채택하고 , ,
있음 또한 인도는 직물기준을 채택하고 있고 싱가포르  ·EFTA · 아세안 에서는 재단 봉제공정 . , ·
을 거치면 의류제품의 원산지를 인정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