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학원론

농업직, 농학과, 농생명 기본과목 농학원론 핵심 요점 정리 11. 농학의 학문적 체계, 범위, 구분

728x90
반응형

11장 농학의 학문적 체계, 범위, 구분

 

1 농학의 체계

1) 테어의 농학체계

- [“합리적 농업의 원리”]에서 농학의 범위 및 내용

a) 기초론 : 과학론, 농장소유, 소작 및 상속

b) 경제학 : 유통과 교환

c) 토지학 : 토양의 성분, 물리적 성질 및 토지평가

d) 농경학 : 시비학, 토지경운, 물리적 개량학

e) 작물학 : 식용작물, 특용작물, 사료작물

f) 축산학 : 축산 이외의 가공 포함

- 테어 체계의 특색

농학이 취급하는 소재에 따른 형식적 구분에 의해서 전문분과학이 발달

농학의 범위가 세분화됨으로서 그 범위가 좁아지고 더구나, 소재에 따른 형식적인 분류주의가 강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농학의 발달과정에서 볼때 미분화한 상태의 인물

(미분화단계이기 때문에 그 만큼 문제를 직관적으로 보기는 하였지만 오히려 전체적으로 포용)

 

2) 슐츠(Schultz)의 농학체계 - (국민경제학을 기초과학으로 하여 성립한 것)

자연과학 : 외적 자연의 본질에 관한 학문

인간과학 : 인간의 본질에 관한 학문

과학적 논리를 가지고 전개하였으며 후세에 영향을 미쳤다.

 

3) 골츠(Goltz)의 농학체계

- 작물의 재배, 가축의 사육이라는 기술문제와 농장 경영의 경제문제만 포함했다

농학통론(농업경영학) : 농업경영, 평가, 농업부기 - 최대한의 순이익을 목적

농학특론(농업생산학) : 경종학, 축산학, 농산제조학- 최대한의 조수익 획득을 목적

 

4) 룸까(Rumker)의 농학체계(p226 11-1 참조)

농업경영경제학

농업기술학 : 식물생산, 가축생산

농업체계의 분화가 농업발전에 지장을 초래

. 농업생산과정에 존재하고 있는 깊은 상호 연관관계를 잃어 버림

. 자기 분야의 벽을 두껍게 두어 다른 전문분야와의 교섭을 차단

. 농학이 발전한 것처럼 보이나 현재의 농학은 분화시대의 비극을 연출하고 있으며, 본연의 모습을 잃어가고 있다. 이제 농학이란 어떤 학문이지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아야 하는 시점인 것이다.

 

5) 요코이의 합관율

- 농학의 각 분과학이 각각 고립되어 상호연관관계를 잃고 있는 것을 반성하고, 각 부문간에는 유기적인 결합관계가 존재하고 있으며 그들 사이에는 일정한 종합의 법칙이 존재한다는 이론

 

 

 

6) 농학의 종합적. 조직적 체계화 (p228)

- 전문과학이 더욱 심화되고 분화 발전하면서 동시에 전문 분과학들은 서로 교섭이 없게 되고 독자의 길을 걷게 되어 그들 상호간에는 공백이 생기게 되었다.

따라서 전문과학 사이를 메우는 중간영역 전문과학의 성립이 기대되었고, 또 어떤 중간영역에 성립한 전문과학과 또 다른 중간영역에 성립한 전문과학이 성립함으로써 전문적 분화가 입체적구적으로

진전됨에 따라 자연히 총체적으로 조직화되어, 농학의 종합적. 조직적 체계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2. 농학의 범위

- 니토베의 농업과 농학의 관계 (p230 그림 11-1 참조)

- 농업은 자연을 대상으로 하며 자연과 인간관계의 관계로 나눔

자연 : 유기적 (동물과 식물), 무기적(토지와 대기)

인간 : 농가를 개인으로 생각하는 경우와 단체는 사회인으로서의 국가와 지방으로 나누어 생각

 

3. 농학의 구분 (p232)

농업생산학(농업기술학)

생산의 소재. 과정 및 그 결과를 항상 물재(구체적인 물건), 기술적관계적인 문제, 객체적. 소재적인 문제

(즉 생산의 소재. 과정 및 그 결과를 항상물재에 두고 보는 데에서 성립된다)

. 순수자연과학 : 식물학, 동물학, 유전학, 토양학, 곤충학 등

. 응용과학 : 작물학, 축산학, 육종학, 입지토양학, 응용곤충학, 수의학 등

농업경영경제학(특론)

생산의 소재.과정 및 결과를 항상가치(추상적인 것), 소유관계적인 문제, 주체적. 운영적인 문제,

(즉 생산의 소재. 과정 및 그 결과를 항상가치에 두고 성립되는 것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