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장 농학의 과학적 객관성


1 농학의 과학적 인식에 대한 객관성
- 농학은 제3의 과학으로 과학인 이상 주관적, 자의적인 가치인식에서 해방되어
보편타당성, 일반성이 통용되는 객관적 지식체계이므로 객관성을 기본으로 해야 한다
- 과학은 일반적. 보편적인 법칙성을 발견하려는 자연과학에서 시작되었고, 자연계에는 여러 가지 규칙성이 존재하고 있다. 규칙성을 추상에 의하여 명확히 하려는 곳에 과학적인 인식의 출발이 있다.
- 실험은 자연의 자기서술인 것이며, 실험을 통하여 자연의 참된 모습인 법칙성을 객관적으로 인식
- 역사학적. 문화학적 인식도 자연과학적 인식과 똑같이 주관적 가치에서 해방된 객관적 인식이어야 한다.
2 농학의 연구대상이 가지는 특이성
- 농학의 연구는 인간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유기적 생산물인 식량과 생활자체의 획득이라는 경제행위를 대상으로 하며, 농업은 인간의 목적적인 경제행위. 영위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 베버
규범은 인간의 행동으로 가야할 길을 뜻 한다. 응용과학은 인간의 행동이 나가야 할 길을 제시하고 있다는 뜻에서 규범과학
3 목적적인 행동과학의 객관성
- 농학이나 의학, 공학, 교육학 등 일련의 응용과학은 과학으로서 주관적인 가치평가에서 떠나 인간의 삶과 직결되는 식량 및 생활물자 공급이라는 객관적인식이 되어야 한다.
- 농학은 유기적 생산물의 보다 합리적인 획득이라는 근원적인 인간의 목적적인 행동의 체계 인식으로서 현실문제의 해결이라는 과제에 봉사하는 일이어야 한다.
4. 시험적 방법에 의한 계획구상의 객관적 확인
- 농학이라는 목적적인 행동과학을 성립시키는 것은 객관적 인식에 의한 계획구상. 계획설계로부터 출발
- 계획설계된 구상이 목적달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시험이라는 방법에 의해 확인
- 시험은 순수자연과학의 실험과는 의의를 달리한다. 실험은 자연으로 하여금 자기서술을 시키는 것이며,
자연에 있는 법칙성을 자연자체로 하여금 말하게 하는 것이다.
- 시험은 계획설계의 성부(成否)를 묻는다.
- 자연과학은 실험적 방법에 의하여 확인된 지식체계이며, 역사과학. 문화과학은 개성기술적 방법에 의한 지식체계이다.(자연학과 인문과학은 순수과학이다.)
- 응용과학 (인간의 행동이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은 인간의 목적적인 행동과학인 제3과학으로 시험적 방법을 통해 계획 구상된 개관적인 지식체계이다. (응용과학은 목적과학, 실천과학, 규범과학이다)
5 농학에 대한 종합적 인식의 필요성
- 농학은 자연과학과 문화과학의 중간영경에 성립하고 있으며, 동시에 자연과학과 문화과학을 두 다리로 해서 그 위에 성립된 종합과학의 의미를 갖는다.
농학의 인식은 전체적. 종합적 파악 위에서 그 과제를 완수하는 것이다. 세분화된 분야에서 전문적 인식이 아무리 깊고, 또한 전문분과학이 아무리 많아진다고 해도 그것만으로 농학이 그 과제를 완수 할 수는 없는 것이다. 농학의 인식은 높은 종합적 판단에 의하여 뒷받침 된 것이어야 한다.
'농학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업직, 농학과, 농생명 기본과목 농학원론 핵심 요점 정리 12. 우리나라와 세계의 농업구조 변화와 과제 (0) | 2022.06.03 |
---|---|
농업직, 농학과, 농생명 기본과목 농학원론 핵심 요점 정리 11. 농학의 학문적 체계, 범위, 구분 (0) | 2022.06.02 |
농업직, 농학과, 농생명 기본과목 농학원론 핵심 요점 정리 9. 농학의 연구방법 (0) | 2022.05.31 |
농업직, 농학과, 농생명 기본과목 농학원론 핵심 요점 정리 8. 농학의 과학적 특질 (0) | 2022.05.30 |
농업직, 농학과, 농생명 기본과목 농학원론 핵심 요점 정리 7. 농업의 경영 경제적 특질 (0) | 2022.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