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콩의 재배
1. 작부 체계와 종자 준비
(1) 작부체계
▶ 이어짓기를 하면 병충해 및 생리적 장해가 많이 발생하여 수량이 감소하므로 돌려짓기를 해야 한다.
(2) 종자 준비
① 콩씨는 서늘한 곳에서 재배 생산된 것이 대체로 종실이 굵다.
2. 파종
(1) 단작(單作) : 5월 중, 하순
(2) 맥간작 : 중부지방 - 5월 중, 하순 / 남부지방 - 5월 상, 중순
(3) 맥후작 : 6월 중, 하순
▶ 기계로 파종할 때 : 트랙터 부착 평면 세조파기로 줄뿌림 한다.
3. 시 비
(1) 시비와 시비량 √ 콩은 질소질 비료의 요구도가 크다?(X)
① 시비 : 거름을 거의 주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② 시비량 : 시비량은 대체로 10a당 질소 4kg, 인산 7kg, 칼륨 6kg이다.
(2) 뿌리혹박테리아의 접종 : 개간지에서 효과가 현저하다.
4. 관리
(1) 보식 및 김매기, 북주기
① 본엽 2∼3매 : 1차 북주기
② 본엽 4∼5매 : 2차 북주기
③ 본엽 6∼7매 : 3차 북주기
(2) 순지르기 √ 적심(賊心) 적기 : 제5엽기
① 순지르기 효과가 기대되는 경우 √ 소식했을 때(X)
㉠ 생육이 왕성할 때
㉡ 다비 밀식하여 도장 경향이 있을 때
② 순지르기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경우
㉠ 파종이 늦어지거나 생육이 불량할 때
㉡ 생육 기간이 짧아서 순지르기에 의한 효과가 충분히 없을때
③ 순지르기 하는 시기 : 복엽이 제5엽기 내지 7엽기 사이
④ 약제처리(순지르기 대체효) : Regim-8 50cc 제6엽기경에 살포
5. 병충해 방제
(1) 병해
① 탄저병 : 주로 꼬투리에 많이 발생, 검은 겹둘레의 병반이 생김.
② 오갈병(괴저 모자이크병) : 일종의 바이러스 병으로 잎이 우글쭈글하고 주름이 잡히며 누렇게 변색이 되고 생육과 수량이 떨어진다. 밀양콩, 방사콩, 남해콩 등은 오갈병에 약하고, 황금콩, 남천콩, 팔달콩, 장엽콩 등은 오갈병 저항성이 강하다.
③ 세균성점무늬병 : 잎에 검푸른 다각형의 병반이 생기고, 그 둘레에 누른 겹둘레가 생기는 병으로, 비가 많을 때 발생하기 쉽다.
④ 자줏빛무늬병
⑤ 검은점병 : 미라병, 잎에는 검붉은 병반이 생기고, 줄기와 꼬투리에는 표면이 흰색을 띤 병반이 생기며, 그 가운데 부분에 검은 점 모양의 돌기가 생긴다. 종실은 광택이 없고 부풀며, 흰 균사로 덮힌다.
⑥ 노균병 : 잎에 엷은 황색 반점이 생기고, 습기가 많을 때 발생.
(2) 충해 √ 화랑곡나방(X)
콩에 발생하는 해충 : 시스트 선충, 콩나방, 잎말이나방,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풍뎅이 따위, 진딧물, 뿌리굴파리, 시네리아밤나방, 거세미
(3) 기생식물 : 노란색의 실새삼은 기생식물로 번식력이 매우 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