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결혼과가족

교양, 상담학, 아동학, 심리학 전공필수 결혼과 가족 요점 정리 3. 가족1

728x90
반응형

3. 가족1

1 가족의 개념


▷ 핵가족이란 용어를 처음 사용한 미국의 인류학자 머독(Murdock, 1949)
: 가족이란 ‘성관계가 허용되는 성인 남녀와 그들의 출산 자녀 또는 입양 자녀로 구성
되며, 공동거주, 경제적 협력, 자녀 재생산의 특성을 갖는 사회 집단’
▷「건강가정기본법
가족 : 혼인·혈연·입양으로 이루어진 사회의 기본 단위
●  가정 : 가족 구성원이 생계 또는 주거를 함께하는 생활 공동체로서 구성원의 일상적인 부양·
양육·보호·교육 등이 이루어지는 생활 단위
→ 가족과 가정의 개념을 구분(「건강가정기본법」 제3조).

 

(1) 현대적 의미의 가족의 개념
●  부부와 미혼 자녀로 구성된 핵가족
●  3세대 이상이 사는 확대 가족,
●  부부만 사는 부부 가족
●  부와 자녀 혹은 모와 자녀로 구성된 한부모 가족
●  재혼한 부부와 그들의 자녀들이 사는 재혼 가족
●  주말에만 혹은 일 년에 한두 번 정도 만나는 분거 가족
→ 다양한 가족을 포괄
●  그 밖에도 혈연적 관계보다는 법적 관계를 이루어지는 입양 가족, 국제결혼의 증가로 인한
다문화 가족, 혈연적 관계를 넘어선 공동체 가족 등 가족의 범위는 점차 확장되고 있음.
●  결혼과 혈연으로 구성된 부부와 그 자녀로 이루어진 획일적인 구조를 갖춘 가족(the family)
의 개념에서 구조적 측면보다는 정서적, 기능적 측면을 중시하는 다양한 형태를 가진 가족들
(families)의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음. (임혜경 외, 2017)


2 가족의 기능


(1) 가족의 전통적 기능
① 고유한 인간으로서의 정체감을 심어주는 기능
② 가정을 사회에 연결시켜 주는 기능
③ 전통의 유지·전달 기능

 

(2) 가족의 일반적 기능
① 생산의 기능
② 사회화 기능
③ 정서적 지원 기능
④ 경제적 지원 기능
⑤ 구성원 보호 및 자녀 양육 기능
⑥ 가족 구성원의 자아실현 기능
- 현대 사회의 변화와 함께 가족의 기능은 본래 축소되거나 변형되었으며, 일부 기
능은 사회 체계에 의해 대치됨.
- 전반적으로 가족의 생산, 사회화 기능은 약화되고 있는 반면, 가족 구성원의 정서
적 지원, 경제적 지원, 자아실현 기능 등은 강화되고 있음.


3 가족연구 이론


1) 가족체계이론


▷ 가족체계이론의 주요 개념 : 순환적 인과성, 비합산성, 동등종결성과 다중종결성,
항상성과 형태형성성, 가족구조의 역할, 경계 등
(1) 순환적 인과성
●  체계의 일부분에서 발생하는 변화가 부분의 변화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체계가 속한 전
체 체계와 다른 부분에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은 다시 처음 변화가 일어난 부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의미

 

(2) 비합산성
●  전체로서의 체계가 단지 체계 내 부분들을 합한 것이 아니라 그 이상임을 의미
●  가족체계는 신념이나 규칙, 의사소통과 같은 조직적 구조에 있어서 단순히 가족 구성원 개개
인을 모두 합한 것 이상으로서의 의미를 가짐.

 

(3) 동등종결성과 다중종결성
●  가족은 체계를 구성하는 부분들의 상호작용에 따라 유사한 조건이라 할지라도 각기 다른 결
과를 초래할 수 있음.
●  반대로 서로 다른 조건이지만, 결과적으로는 유사하거나 같은 결과를 가져다줄 수도 있음.

 

(4) 항상성과 형태형성성
●  항상성(homeostasis) : 지속적 상호작용 가운데서도 다양한 피드백 고리들을 활용하여 현재
의 평형상태를 유지하거나 회복하고자 하는 경향을 의미
●  형태형성성(morphogenesis) : 외부체계의 변화나 내적 가족생활 주기의 변화에 대응하여 가
족의 규칙과 패턴을 변화시키거나 혹은 재조직하는 것

 

(5) 가족구조의 역할
●  가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족의 구조와 역할 그리고 역할기대와 그 역할의 이행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함.

 

(6) 경계
●  모든 체계는 안과 밖을 구분하는 경계(boundaries)가 있음. 이것은 체계와 그 체계를 둘러싼
환경 간의 상호작용을 허용할 정도로 충분히 침투 가능한 것이어야 함.


2) 구조기능론적 이론


▷ 사회란 : 상호 연결된 부분들의 역동적이고 상호 의존적인 체계라는 전제에서 출
발 (정은화, 2010)
(1) 하나의 유기체(organism)로 보아 인간의 몸에 비유
●  구조기능론자들은 사회를 하나의 유기체(organism)로 보아 인간의 몸에 비유
●  즉, 여러 기관들로 형성된 몸은 생존 유지를 위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런 유기체와
유사하게 가족, 종교, 교육, 정치, 경제제도 등이 부분 구조로서 전체 사회의 균형 유지를 위
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봄. (손병덕·황혜원·전미해, 2011)
▷ 뒤르켐(Durkheim) : 가족을 전체 사회의 축소판으로 보고 사회적 차원에서 나타나
는 역할 분화와 분업이 가족의 차원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나타난다고 봄. (석현
호·이정환·김상욱, 2004, 손병덕·황혜원·전미해, 2011 재인용)
▷ 파슨스(Parsons) : 뒤르켐의 전통을 이어받아 가족을 사회체계 유지를 위한 중요
한 기능 중 ‘유형 유지의 기능’을 담당하는 제도로 봄. (손병덕·황혜원·전미해,2011)


3) 갈등이론


- 주로 마르크스주의자에 의해 주장
(1) 맑스와 엥겔스의 가족에 대한 비판
●  가족이 부르주아적 제도의 표상이라는데 기초함. 즉, 이들은 자본주의 경제체제와 함께 등장

한 가족제도는 그 체제의 붕괴와 함께 소멸될 것으로 봄. (조추용 외, 2009)
●  갈등론에서는 사회를 통합되고, 안정된 구조라기보다 성원들의 이해가 충돌하는 불안정한 구
조라고 봄. (정은화, 2010)

 

(2) 마르크스주의 이론
●  부부가족의 애정적 기능, 안식처로서의 기능을 자본주의 사회라는 구조에 기인한 것으로 간
주 (조흥식 외, 2010)
●  자본주의의 착취적 속성이 개인으로 하여금 사적 생활과 친밀감 등의 주관적 세계를 가족에
게 더욱 의존하게 만들었다고 분석하며, 이러한 안식처로서의 기능 강조는 핵가족에게 긍정
적 효과보다는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였다고 언급 (조흥식 외, 2010)


4) 성평등적 이론


▷ 페미니즘(feminism) : 남성과 여성이 동등하며 양성은 사회적으로 동등한 대우를
받고 권리를 가져야 한다는 믿음을 의미
●  여성주의자들은 여성의 행동을 제약하는 사회제도, 규범, 역할 등을 찾아내어 그것을 개선시
키기 위하여 노력
●  가정생활에서의 여성의 억압에 초점을 맞춤
●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 가족제도에서 벗어나 부부, 자녀 관계가 모두 동등하고 민주주의적인
가족제도를 구축 (손병덕·황혜원·전미해, 20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