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정보시스템

경영학과, 경제학, 경영정보 등 경영정보시스템 요점 정리 53. 글로벌 정보시스템 구축 및 관리

728x90
반응형

53. 글로벌 정보시스템 구축 및 관리

1) 글로벌 정보시스템의 주요 기술 요소


(1) 인터넷
인트라넷 및 엑스트라넷 등의 기술을 통해 국가 간 정보 공유능력 제공
●  적은 비용으로 글로벌 시장 접근이 가능하므로, 중소기업의 세계시장 진출에 유용함


(2) ERP
●  판매와 생산과 배달 프로세스를 컴퓨터에 의해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국경이나 시간대를
초월하여 정보의 흐름을 가능하게 함.
●  초국적 기업화 전략을 구현하는 데는 필수적인 요소
●  글로벌 시장대응 능력을 높이고 효율성을 제고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 수행


(3) SCM
●  글로벌 기업이 공급사나 고객사가 연동된 글로벌 공급망을 컴퓨터를 기술을 이용해 최적화
함으로써 주문배송 속도를 높이고 재고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

 

(4) EDI
●  글로벌 파트너십 형성  (가령, 공급자나 구매자와 업무관련 정보 공유 가능)
●  국가 간에 표준화된 문서의 교환을 통해, 업무프로세스 가속화
●  해당 지역 내에 EDI 서비스가 제공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함


2) 글로벌 정보시스템 구축상의 이슈


(1) 주요 이슈
●  글로벌 정보요구와 현지 정보요구의 명확한 정의가 현실적으로 어려움
●  기존 애플리케이션을 지속적으로 유지 보수하기가 어려움
●  글로벌 공급망은 국내 공급망보다 더 복잡하고 위험요인이 더 많음
●  웹기반 글로벌 시스템의 콘텐츠를 국가 언어별로 개발하는 것이 어려움 (번역의 시간 소모성)


(2) 이슈 대처방안
●  기존의 안정적인 본사 애플리케이션을 글로벌 시스템으로 진화
●  다국적 설계팀을 구성해 협력적으로 시스템 개발
●  개발업무 분담을 통한 동시 개발


3) 글로벌 정보시스템 관리전략


(1) 글로벌 정보시스템과 기업전략 간의 연계
●  사업단위마다 정보요구가 다르므로, 기업전략과의 연계를 통해서만 정보기술을 총체적으로
관리 가능


(2) 정보자원의 결정
●  글로벌 기업환경에 비추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기술인력, 데이터, 시설 등 필요 자원을
결정


(3) 데이터의 전사적 공유
●  국가간 데이터흐름 (transborder data flow: TDF)  과 관련한 국가별 법규를 신중하게
검토하여 데이터 공유전략 수립
●  전사적인 데이터 표준화 필요


(4) 문화적 환경의 고려
●  관련 국가별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고 사업단위내 구성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원만할 수 있도록 노력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