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계
• 공기 중의 산소 흡입, 에너지 대사 결과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계통
• 호흡기계 구성
- 전도부(conduction part)
* 가스 전달(공기의 통로)
* 비강(nasal cavity) ➜ 인두(pharynx) ➜ 후두(larynx) ➜
기관(trachea) ➜ 기관지(bronchus) ➜ 세기관지(bronchiole)
➜ 종말세기관지(ter-minal bronchiole)까지
- 호흡부(respiratory tract part)
* 가스 교환
* 호흡세기관지(respiratory bronchiole)
➜ 폐포관(alveolar duct)
➜ 폐포까지(pulmonary alveoli)

Ⅰ. 구조와 기능
1. 코(nose)와 부비동(paranasal sinus)
2. 인두(Pharynx)
3. 후두(Larynx)
• 위는 인두, 아래는 기관과 연결, 앞에는 식도 위치 9개의
연골로 이루어져 있음
• 성대(vocal cord)
- 발성기관으로 안쪽에 가성대(false), 진성대(true vocal cord)
- 발성 기능
- 호흡기도 안에 축적된 분비물 및 이물질 배출하기 위한
기침반사에 관여
• 후두개(epiglottis)
- 호흡과 기침 시 열려 있음
Ⅱ. 건강사정
1. 건강력
2. 신체검진
3. 임상진단검사
(1) 세균배양검사
(2) 후두경검사(laryngoscopy)
• 후두경 이용한 검사
• 목적
- 광섬유 후두경 이용하여 후두 생검 수집
- 후두용종, 성대결절 제거
- 후두 이물질 제거
• 종류
- 직접 후두경 검사, 간접 후두경 검사
Ⅲ. 일반적 간호
1. 기관절개와 간호(tracheotomy care)
2. 기관내 삽관(endotracheal intubation)
Ⅳ. 질환별 간호
1. 코와 부비동 건강문제와 간호
1) 인푸렌자(influenza)
2) 비염(rhinitis)
3) 부비동염(sinusitis)
2. 인두건강문제와 간호
1) 인두염(pharyngitis)
2) 편도선염(tonsillitis)
3. 후두 건강문제와 간호
1) 후두염(laryngitis)
2) 후두종양(larynx cancer)
∙ 후두에 생긴 암 세포로 이루어진 종괴(덩어리)
∙ 상기도 악성 종양 중 가장 흔함(두경부 암의 절반)
∙ 60~70세 가장 흔함, 여성<남성 4~5배 더 발생
∙ 생존률 75~95%, 진단 후 첫 2~3년 내 재발


(1) 원인 및 병태생리

∙ 원인 : unknown
∙ 유발요인
- 자극성 물질(흡연, 술, 독성 연기 등)
: 환자 4명 중 3명이 흡연 원인
- 석면, 유해가스 흡입 등의 직업적 환경과 무리한 성대
만성적인 후두염 등
∙ 대부분 상피 표면에서 발생
: 편평세포암(squamous cell carcinoma)으로 분류
➜ 후두부위는 림프관 풍부하여 암 퍼지는 속도 빠름
(2) 증상과 징후
․ 종양 위치에 따라 증상 다름
- 초기 증상
* 통증
* 뜨거운 액체, 오렌지 주스 먹을 때 목구멍 화끈거리는 느낌
- 말기 증상
* 연하곤란, 목쉼, 중얼거리는 목소리, 체중감소, 전신쇠약과
호흡시 냄새 등
* 혈액 포함된 기침과 가래
* 종양부위에 따른 증상
. 성문상부 | - 삼킬때 인후통 |
. 성문부 | - 쉰목소리, 평소와 다른 목소리 변화 (말하는 동안 종양이 성대 활동 방해하기 때문) |
. 성문하부 | - 종양이 기도 폐쇄할만큼 커지기 전까지 증상 없음 |
(3) 진단
․후두경 검사(laryngoscopy)
. 생검 : 종양크기, 전이된 림프절 수나 부위, 전이 정도 등
. 컴퓨터 단층 촬영(CT)
․양전자방출 단층촬영(PET)
: 전신 촬영하므로 다른 검사로 찾기 어려운 원격 전이,
재발 등을 진단하는데 도움
<후두암 발생부위에 따른 분류>
발생부위 | 발생빈도 | 증상 | 림프절 전이 | 예후 |
성문 상부암 | 35~40% | 이물감, 통증 | 흔하다 | 보통 |
성문암 | 60~65% | 쉰목소리 | 드물다 | 좋다 |
성문 하부암 | < 1% | 호흡곤란 | 흔하다 | 나쁘다 |
(4) 치료 : 방사선 + 수술 + 항암제
․ TNM 체계에 의해 종양 단계 결정되면 병력, 질병 정도,
미적인 문제, 긴박성 정도, 환자 선택 고려하여 결정
① 방사선 치료
- 초기 진성대 부위에 제한된 종양 치료에 효과적
- 수술 전 종양크기 감소시키기 위해 실시
② 수술
- 성문아래 종양은 많이 진행된 종양으로 방사선 부적합

a. 성대절제술(cordectomy)
* 성대 하나 절제하는 수술
* 한 부위만 침범된 초기 성문암

b. 성문위 후두절제술(supraglottic laryngectomy)
- 성대 윗부분 제거
- 목소리 유지 or 유지 안될 수 있음
- 수술 후 기관절개술 필요
c. 근치 경부절제술(radical neck dissection)
- 후두암 수술시 경부림프절 절제 함께 실시
- 목의 림프절 통한 전이 방지

d. 변형 근치 경부절제술
(modified radical neck dissection)
- 근치경부절제술의 대안
- 모양과 기능상실 최소화, 신경,
내경정맥 등 보존

e. 부분후두 절제술(partial laryngectomy)
- 종양이 성대의 한 부위에만 침범된 초기 성문암
- 한쪽 성대 전부 혹은 일부 제거, 재발 예방 위함
- 치료율 높음
- 목소리 보존
- 일시적인 기관절제술 필요
f. 전체 후두절제술(total laryngectomy)
- 후두 전체와 전후두개 공간(pre-epiglottic space) 제거
- 종양 진행, 성대에 고정된 경우
- 영구적인 기관절개술 시행
(5) 간호
① 부분 후두절제술 환자 간호
- 수술직후 반좌위 → 기도부종 감소, 호흡과 안위 증진
- 부종 사라지면 기관절개관 제거
- 수술 2일 후부터 구강섭취 가능,
기관절개관 누공이 치유된 후부터 구강영양 시작
- 쉰 목소리이지만 말할 수 있음
② 전체 후두절제술 환자 간호
㉠ 수술전 간호
- 수술직후 간호에 대해 교육
☞ 수술후 흡인, 후두절개관 간호, 음식먹는 방법 등
- 영구적 기관절개 통한 호흡법, 기관절개부위 자가간호교육
- 수술후 말하는 방법 교육
- 정신적 간호 중요(3~4일 우울 가장 심함)
☞ 질식, 말 못함, 직장無 등에 대한 불안, 공포감 지지
㉡ 수술후 간호
- 수술후 반좌위
: 부종과 봉합선 긴장 감소, 배액과 호흡 증진
- 통증 조절
: 아스피린, darvon
- 침, 가래는 연하시 통증 있으므로 삼키기보다 뱉도록 함
- 위관영양 권장
* 절개부 오염 감소
* 인두 봉합선에 있는 연하지점의 긴장완화로 누공형성 방지
- 효과적으로 복압 상승시킬 수 없어 변비 잘 생김
㉢ 심리간호
- 코로 호흡하지 못하므로 냄새 맡을 수 없어 식욕상실 있음
㉣ 자가 간호와 환자교육
- 기관절개관 보유 환자 퇴원시
㉤ 재활
㉥ 언어재활
- 언어능력 보유 : 언어문제 교정
- 언어능력 미보유 : 식도언어, 인위적언어
* 식도언어
: 공기를 들이마셔 식도 위쪽에 보유하였다가 입 밖으로 내보내는
동안 단어를 만들어 말하는 방법
* 인공후두
: 전지를 장착한 언어기구
* 증폭마이크
: 식도언어 사용하는 사람, 소리 크게 낼 수 없는 경우 사용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성인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조무사, 간호사 간호직 등 대비 성인간호학 요약 정리 6. 가스교환장애 (1) (0) | 2022.02.24 |
---|---|
간호조무사, 간호사 간호직 등 대비 성인간호학 요약 정리 5. 환기장애(2) (0) | 2022.02.23 |
간호조무사, 간호사 간호직 등 대비 성인간호학 요약 정리 4. 환기장애(1) (0) | 2022.02.22 |
간호조무사, 간호사 간호직 등 대비 성인간호학 요약 정리 3. 호흡기계의 건강사정 및 일반간호 (0) | 2022.02.21 |
간호조무사, 간호사 간호직 등 대비 성인간호학 요약 정리 2. 하부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0) | 2022.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