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폐렴(pneumonia)
1) 정의
- 폐실질에 급성염증 발생, 감염질환의 주요한 사망 원인
- 노년기 가장 흔한 직접적인 사망원인
2) 원인
(1) 정상 방어기전의 손상
- 공기여과 : 코털
- 흡입공기의 습화와 가온
- 후두개 개폐
- 기침반사점액섬모 청결작용
- IgA의 분비 및 폐포 대식세포의 방어 작용
(2) 유발 위험요인에 노출
- 의식상태 저하, 기관내 삽관
- 공기 오염, 흡연, 상기도염, 노화, 영양장애
(3) 폐렴균 침입 경로
- 흡인, 흡입, 혈액
3) 분류
(1) 유행성 폐렴 | • 지역사회에서 감염, 입원한 지 48시간 이전, 겨울철 많이 발생 • 위험요인 : 흡연 • 가장 흔한 원인균 : 폐렴구균(Streptococus pneumoniae) • 65세 이상, 알코올중독, 동반질환 있는 경우, 면역장애 등 다발 |
(2) 병원 감염성 폐렴 | • 병원 입원 후 48시간 지나서 발생 • 위험요인 : 입원한 환자, 기계환기하고 있는 환자 • 원인균 : 녹농균, Enterobacter, 황색포도상구균, 폐렴구균 • 면역억제요법, 전신쇠약, 기관내 삽관, 호흡기 치료기구의 오염 등 |
(3) 진균성 폐렴 | • 최근에 증가하는 추세 • 위험요인 : 후천성면역결핍, 낭포성 섬유증, 면역억제제 투여자 • 원인균 : Histoplasmosis, Coccidioidomycosis, Blastomycosis, Cryptococcosis, Aspergillosis, Candiasis, Actinomycosis, Nocardiosis |
(4) 흡인성 폐렴 | • 구강이나 위내용물이 기도로 흡입되어 유발 • 의식수준 저하로 구역 및 기침반사 억제된 환자 & 비위관 영양 환자 |
(5) 기회 감염 | • 면역기전 저하된 환자, B와 T 세포 기능장애, 골수기능장애 환자 • 원인균 : 주폐포자충(또는 폐포자충, pneumocystis carinii), 거대세포바이러스(cytomegalovirus: CMV), 진균 |
4) 병태생리
• 염증 : 폐 사이질 공간과 허파꽈리, 세기관지에 발생
• 폐의 방어기전이 손상되어 원인균이 하부기도 깊숙히
침입하여 발생
(1) 발병 초기 | (2) 적색간변기 | (3) 회색간변기 | (4) 용해기 |
(폐울혈기, 제1~2일) |
(조기 경화시기, 제2~4일) |
(진행 경화기, 제4~8일) |
(제8~9일) |
• 감염에 대한 반응 - 폐포에 부종 - 세균 있음 - 다형핵 백혈구 (호중구) 증가 - 액체성 삼출물 - 모세혈관 울혈 |
① 대엽 - 건조, 단단, 붉은 과립상 ② 흉막 표면 - 섬유소 부착 - 모세혈관 울혈 ③ 폐포 - 섬유소성 삼출액 - 적혈구, 다형핵 백혈구 존재 |
① 대엽 - 더 단단해짐 ② 흉막 표면 - 섬유소성 삼출물 덩어리가 표면 덮음 ③ 절단면 - 건조하고 회백색 과립상 ④ 폐포 - 삼출액 증가 - 다형핵 백혈구 증가 - 화농성 삼출액 증가 |
• 폐 정상으로 회복 - 세균 제거 - 염증 과정 완화 - 다형핵 백혈구 수 감소 |
5) 증상과 징후
(1) 전형적 증상 | (2) 비전형적 증상 |
• 발열 • 화농성 객담 동반한 기침 - 끈적, 고름같은 모양 • 흉부통증 :흉막까지 전이 • 폐 타진시 둔탁음 : 폐확장부전 • 진동감(fremitus) ⇈ : 폐밀도증가 • 거품소리(수포음, crackles) 등 |
• 점진적으로 시작 • 건성기침 • 폐외 증상 (두통, 근육통, 피로, 인두염, 오심, 구토, 설사) |
6) 진단
(1) 객담 배양 검사(항생제 적합성 검사) - 원인균 50% 확인
(2) 혈액 검사 - 백혈구 증가
(3) 혈액배양 검사 - 혈류내 세균 확인
(4) 소변 검사 - 패혈증일때 혈뇨, 농뇨, 단백뇨 나타남
(5) 동맥혈가스분석 : 저산소혈증, 고탄산혈증, 호흡성 산증
(6) 흉부 X-선 촬영 : 폐렴 부위 하얗게 나타남
7) 합병증
• 가슴막염 : 자주 발생
• 가슴막 삼출 : 보통 1~2주이면 흡수, 무균성
• 심장막염 : 세균 혈행성으로 전파
• 심내막염: 심내막과 심장 판막에 균이 파급되어 발생
• 폐확장 부전 : 효과적인 심호흡과 기침 중요
• 무기폐: 효과적인 심호흡과 기침 중요
• 폐농양 : 그람 양성균과 음성균으로 발생
• 수막염 : 지남력 저하, 혼돈, 기면 보이면 뇌척수액 검사 시행
• 폐렴 치료 지연
- 보통 2~4주 후에 증상 호전
- 염증이 지속될 경우 흉부 X-선 촬영 시 경화 소견 지속
- 노인, 알코올 중독증, 영양 장애, 만성 폐쇄폐질환자 지연
• 패혈증(septicemia)과 세균성 쇼크(septic shock)
• 복부팽만, 마비성 장폐색 등 발생
8) 치료(약물치료)
(1) 초기에 광범위 항생제 사용
- 폐렴 유형별 약물 : 교과서 p626, 표8-18 참조
(2) 항생제
- 혈액, 객담배양 및 항생제 민감성 결과에 따라 선택
(3) 치료기간
- 세균의 특성에 따라 최소 5일~21일
* 5일 : 지역사회에서 감염된 폐렴으로 합병증 없는 경우
* 21일 : 면역억제 대상자
➜ 세균 감염 징후 없어지고 임상징후 개선될 때까지 계속 유지
(4) 항생제 부작용 관찰
- 설사, 구토, 오심, 소양증, 발진, 과민성 쇼크 등
(5) 기타
- 기관지 경련: 기관지 확장제, β2-작용제(agonists)
- 수액 : 적어도 3∼4일 동안 증가
9) 간호
(1) 기도청결 유지
- 수분섭취, 기침, 심호흡 격려, 체위변경
(2) 산소요법
- 호흡상태, 의식수준, 산소포화도, ABGA 등 모니터&사정
- 처방에 따라 산소투여
(3) 통증관리
- 흉통은 호흡, 기침 방해하므로 적절한 통증관리 필요
* 처방된 진통제 투약, 환자반응 사정
* 기침 시 흉부 베개로 지지하는 방법 지도
* 흉막의 마찰에 동반되는 통증 완화하는 체위
(환측을 아래로 한 측와위)
(4) 영양관리
- 감염으로 대사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수분, 영양섭취 보충
* 구강간호 : 입맛 향상, 염증 방지
* 정맥주입 : 오심, 구토 시
* 고단백, 고열량, 고비타민 식이, 충분한 수분섭취
: 심장질환, 폐부종 시 제한
- 자극적고 소화 잘되는 식사, 가스생성 음식 제한
- 필요 시 가족에게 환자의 기호에 맞는 식사 준비하도록
(5) 휴식
- 신체의 치유능력 촉진
* 조용하고 안정된 환경 제공
* 산소소비량 최소, 체력소모 막아 조기에 염증 완화하도록 함
(6) 재발 방지 위한 생활관리
- 충분한 휴식, 규칙적인 생활습관, 일상생활 활동범위 서서히 넓히기
- 담배, 먼지 등 기도 자극하는 물질 피하도록
- 심호흡 훈련, 효과적인 기침에 의한 기도 청결법 교육
- 매년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2. 폐고름집(폐농양, lung abscess)
1) 정의
- 폐조직의 염증과 괴사로 생긴 공동(cavity) 속에 pus가 고여
있는 상태
- 우측 폐가 좌측 폐보다 더 잘 발생
2. 폐고름집(폐농양, lung abscess)
2) 원인
(1) 이물질(구토물, 치아, 혈액, 음식, 수술 시 떨어진 조직) 흡입
(2) 양성 혹은 악성 종양
(3) 기관지의 농축된 점액
(4) 무의식으로 인한 기도 청결 기능 감소
- 과다한 진정제, 알코올 중독, 발작
(5) 구강위생 나쁜 환자
(6) 결핵, 폐의 진균(fungi)감염 대상자
(7) 아메바성 간농양 확장
(8) 면역 억제된 대상자(항암치료, 백혈병, AIDS 등)
3) 병태생리
(1) 원인균
- streptococci (연쇄구균), staphylococcus(포도구균),
비용혈성 사슬알구균, 대장균
(2) 병태생리
- 초기에 폐엽 or 폐분절에 경화 발생
점차 둥근 모양의 농양이 차있는 공동 형성
➜ 육아 조직으로 벽 형성, 기도 파열하여 개구부 형성
➜ 악취나는 농성 객담 배출
➜ 농양이 기도 통해 완전히 배농되면 빠르게 치유
: 배농 지연되거나, 불완전하면 만성염증 발생
➜ 농 축적, 단단한 섬유성 상피막 형성될 경우 치료어려움3
4) 증상과 징후
(1) 폐렴증상
- 발한, 오한, 전신쇠약, 식욕부진, 고열(39.5℃), 기침, 호흡곤란
(2) 청진 : 병변 부위 호흡음 감소, 기관지 호흡음, 악설음(crackle)
타진 : 둔탁음(dullness)
(3) 객담 : 악취 나는 화농성, 검은 갈색이나 녹색, 회색 등
(4) 흉통
- 심호흡 할 때 찌르는 듯한 통증
- 늑막 공간까지 침범한 경우 발생
(5) 객혈
- 드물게 나타남
(6) 빈혈, 체중 감소, 손가락 곤봉증(digital clubbing) 등
5) 진단
(1) 천공되어 배농되기 전까지는 진단 어려움
(2) 객담검사
- 많은 양의 화농성 객담 악취
- 혈액과 괴사된 폐조직 섞여 있음
- 원인균 확인
(3) 기관지경 검사
- 암 및 이물질 여부 감별진단
(4) 흉부 X-선검사
(5) CT촬영
- 공동형성 확인
(6) 흉막액, 혈액배양검사
6) 치료
• 치료목표
- 폐고름집 배농 및 감염 제거
(1) 약물치료
- 원인균에 따라 적절한 항생제 치료(80-90% 효과적)
- 2가지 이상 항생제 병용 투여(다수 병원균 원인이기 때문)
- 6~8주간 계속해서 투여
(2) 흉부배액 : 외과적 배농
(3) 폐엽절제술
- 항생제 치료에 효과 없거나, 기관지 확장증 발생
- 공동 크기 6cm 이상
7) 합병증
- 가슴고름증, 패혈증, 뇌 고름집
8) 간호
(1) 수분섭취 증가
- 객담 묽게 하기 위함
(2) 화농성 객담제거
- 매일 객담 양과 특성 관찰 & 기록, 객담으로 치유과정 평가
- 방법
* 체위배액법 : 식사 전 진동법 및 경타법(두드리기)
* 기침
* 흡인

(3) 구강간호, 혀 칸디다증 확인(항생제 부작용)
- 항생제 사용으로 구강점막 변화
즉, Candida albicans(혀칸디다증, 하얀색의 치즈 같은 반점)
☞ Nystatin 구강 투여, 구강 자주 청결
(4) 약물요법 중요성 및 용법, 부작용 설명
(5) 고단백, 고열량식이
- 객담 배출할 때 단백질 소모가 있으므로
3. 폐결핵(pulmonary tuberculosis)
1) 정의
• 결핵은 혈류나 림프관 따라 후두, 신장, 뼈, 부신, 림프절,
뇌막 등 인체 어느 기관에나 전파될 수 있는데, 그 중 폐에
가장 잘 침범
• 전염성 높은 질환, 제3군 법정 전염병
• 우리나라 결핵발병률(2014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86명, OECD 국가 중 1위

2) 원인
(1) 원인균
-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tubercle bacillus))에
의한 감염성 질환
•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 1882년 독일 세균학자 로버트 코흐(Robert Koch) 최초 발견
-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생명 앗아간 전염병
- 전 세계적 단일 감염병 사망원인 HIV/ADIS 이어 두번째 차지
- 전 세계 인구의 약 30% 넘는 20억명 감염
- 다른 질병에 비해 장기간 유지
천천히 진행, 만성 전염성질환


(2) 특성
① 형태 : 막대기 모양 간균
② 크기 : 굵기 0.2 ~ 0.5㎛, 길이 1 ~ 4㎛
③ 증식속도
- 인체내에서 천천히 증식(18~24시간마다 분열),
인체밖에서 증식할 수 없는 미생물
- 지방성분 많은 세포벽에 둘러싸여 있어 건조한 상태에서도
오랫동안 생존
④ 생활환경
- 산소가 많은 환경 좋아하는 호기성균(acid fast bacillus(AFB))
⑤ 염색특성
- 강한 산이나 알칼리에 잘 견디는 항산성균(acid fast)
- 열과 햇빛에 약해서 직사광선 쪼이면 수분 내 파괴
⑥ 감염되면 신체에 남아 있다가 면역력 약해지면 즉시 증식하기 시작하여 질환 발생

3) 위험요인
• 치료받지 않은 대상자와 지속적, 빈번하게 접촉하는 사람
• 면역저하 또는 HIV 감염자
• 요양시설, 감옥, 정신병원 등과 같이 장기간 사람이 많이
모인 곳에서 사는 사람
• 노인
• 약물중독자, 알코올중독자
• 사회경제적 빈곤층, 노숙자
• 외국인 근로자
• 직업성 폐질환자
4) 병태생리
A. 결핵감염
(1) 결핵감염과정
- 기침, 재채기, 객담에 의해 타인에게 흡입되면서 공기 감염
결핵균 침입 |
질병발생 없음 - 면역력 있을 경우 병소 자가치료 |
▶ | • 질병 발생 없음 |
초감염(1차감염) - 대상자의 5∼15% 결핵 발병 |
▶ | • 감염 후 2∼10주 사이에 징후 발생 • Tuberculin 검사에 양성반응 • 결핵균이 모인 병소 나타남 • 증상있음 • 전염가능 |
|
잠복결핵 - 신체내에서 결핵균이 면역체계에 의해 증식이 억제되면 잠복기에 들어감 |
▶ | • 질병이 아직 발생하지 않은 상태, 잠복기 상태로 수년~수십 년 될 수 있음 • 무증상 • 전염가능성 없음 |
|
• 2차감염(재발성 결핵) | ▶ | • 일부 대상자의 경우 - 잠복감염 상태에서 세균이 다시 활성화되어 질병인 결핵으로 진행 |

결핵균 감염 | |
▼ | |
방어기전 ▼ |
• 식균작용 - 세균 사멸시키거나, 격리시키기 시작 |
• 결절형성 - 상피세포와 섬유성 조직이 감염된 부위와 세균 주위 결절형성 |
|
결절 (tubercle) ▼ |
• 결핵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병소 • 결절 중앙은 결핵균과 죽은 백혈구와 괴사된 폐조직으로 치즈 같은 덩어리의 치즈변성 또는 치즈화형성 |
소결절 (nodule) ▼ |
• 공동(cavity) 형성 - 소결절의 치즈화 물질이 부드러워지고 액화된 물질이 소결절에서 배농된 후 공기가 찬 낭 형성 • 섬유화 현상 - 염증이 가라앉고 흡수 또는 흉터로 남는 것 |
석회화된 결절 (calcification) |
• 점차 칼슘이 침착하여 석회화(calcification)되어 낫기도 하는데 석회화된 병변은 X-선에서 석회화된 결절로 보임 |

B. 결핵감염 종류
1차 감염(처음 결핵감염) | 2차 감염(기존 감염자 발생) |
• 폐의 중앙, 아래엽의 가슴막 가까이 발생 • 림프절, 특히 폐문(hilar) 침범 • 증상이 나타나기 전까지 감염되지 않음 • 치유가능 • 곤복합체(Ghon complex) 또는 원발복합체(primary complex) 형성 • 석회화된 림프결절(calcified nodule)형성 ➜병소들은 다시 활성화 될 수 있으므로 몇 년이 지난 후 2차 감염 유발 가능 |
• 기존에 감염된 사람 발병 - 발병균의 활성화가 저항력이 감소되었을 때 나타남 • 폐첨부에 침범 |
속립성 결핵(miliary tuberculosis) | 광역내성결핵, 수퍼결핵 (XDR, Extensively Drug-Resistant) |
• 다수 세균이 혈관에 침투, 질병이 신체 전체로 퍼졌을 때 - 흉부 X-선상 좁쌀과 같은 결절이 폐 전체에 전이 |
• 다제 내성 결핵인 fluoroquinolone 대한 항생제 중 적어도 한 가지 +항결핵 주사제 (amikacin, kanamycin, capreomycin)중 한가지에 동시에 추가적인 내성 보인 경우 |
5) 증상과 징후
(1) 특징
- 천천히 발병(결핵균에 감염 후 2-8주 지난 후 나타남)
- 진전될 때까지 무증상
(2) 국소적 & 전신적 증상(활동성 결핵)
① 국소적 증상(호흡기 증상) : 70~80%
• 잦은 기침 (cough) |
. 3주 혹은 그 이상 지속되는 기침 : 2주 이상 지속되면 결핵 검사 필요 . 가래가 없는 마른 기침 ~ 가래가 섞인 기침 . 가래 혹은 피가 섞인 가래 동반한 기침 . 흡연 시 기침 심함, 객담 누렇고 점액성 |
• 호흡곤란 (dyspnea) |
. 질병 진행되어 폐 손상 심해지거나, 결핵성 흉막염 심한 경우 . 흉막, 심막(pericardium) 침범한 경우 가슴통증 |
• 객혈 (hemoptysis) |
. 병변내 혈관이 염증에 의해 손상, 기관지벽 모세혈관 손상 . 처음에 선홍색 띄다가 차츰 양 줄어들면서 검은색으로 변화 |
② 호흡기 이외의 전신증상
- 발열, 발한(특히 밤), 쇠약감, 신경과민, 집중력 소실, 소화불량, 식욕부진 등

▪ 발열 (미열 및 오한) |
. 평소 미열(고열 아님) 있거나, 수면 시 식은 땀 . 오후 되면서 “약간 몸이 좋지 않다” 정도의 미열이 발생했다가 식은 땀이 나면서 열이 떨어지는 증상 반복 |
▪ 무력감·피곤함 | . 쉽게 피로, 기운이 없거나 식욕이 떨어지는 증상 |
▪ 체중감소 (wt. loss) |
. 식욕감소, . 지속적으로 체중감소 (천천히 증식하면서 영양분 소모, 조직과 장기 파괴) |
▪ 소화불량, 창백함, 월경불순, 구토 |
(3) 결핵의 전염
- 전염
* 비말감염(droplet nuclei)에 의해 전염
: 말, 기침, 재채기, 결핵균 포함된 미세한 침방울 배출
⇉ 수분은 곧 증발, 결핵균만 공중에 남아있다가 호흡할때
함께 폐 속으로 들어가 감염되는 공기감염
* 활동성 결핵 가진 사람만 전염시킴
* 결핵치료 받기 시작한지 2주 지나면 전염성 떨어짐
- 결핵발병 후 진단 받기 이전 전염
- 전염 강도
: 결핵균 수, 결핵균 독력, 기침, 재채기, 노래나 말 등을 통한
분비 기회 등 영향
6) 진단(1) 병력
- 활동성 결핵 환자와 접촉한 적이 있는지 확인
(2) 신체검진
- 전체적인 건강 상태 확인
(3) Mantoux 투베르쿨린 피부 반응 검사
- 결핵균 감염여부 확인
☞ 경결 10mm 이상되면 결핵균에 감염되었던 것으로 해석
(4) 혈액검사(결핵균항원, 항체)
- 결핵(BCG) 예방접종
(5) 객담검사
- 결핵 진단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
- 객담도말검사, 객담배양검사, 약제감수성 검사

(6) 흉부 X-ray
- 활동성 결핵 확인 위해 폐에 나타나는 결핵 흔적 파악
① active Tb. : 폐 침윤, 소 결절, 공동, 흉막삼출액 확인
② inactive Tb. : 석회화된 병변, 치유된 병소 확인
(7) Chest CT
- 결핵 의심, Chest X-ray 만으로 진단 힘든 경우
- 오래된 섬유화 병변과 새로운 활동성 병변 구분에 유용
(8) 기관지경 검사(bronchoscope)
- 기관지내 발생한 결핵(기관지결핵) 직접 관찰하면서 진단
- 결핵 의심되는 폐 부위를 생리식염수로 세척한 후 현미경
으로 관찰하여 결핵균 존재여부 확인
(9) 가슴막 생검, 폐 생검
7) 치료
(1) 약물요법
① 복합약물 사용
- 약제간 상승 작용, 내성 발생 예방
- 4제 병합요법 실시
☞ Isoniazid, Rifampin, Pyrazinamide
+ Ethambutol 또는 Streptomycin
② 1일 1회 복용
- 한 번에 최대 혈청농도에 도달
☞ 전용량을 아침 식전 공복에 투여
③ 지속적인 화학요법
- 전체 투약기간 최소 6개월
- 객담배양 검사가 음성으로 전환된 후 최소 3개월 더 투약
- 다제내성 결핵 24개월 정도 치료
④ 가능한 공복 시 투여 : 흡수율↑
⑤ 구강 약물 투여 1시간 후 주사약 투여 시 약 농도 최고
⑥ 부작용
- isoniazid, rifampin, pyrazinamide 부작용 간염이므로
간기능 검사 정기적으로 실시
⑦ 결핵약 종류
- 초기치료 : 주로 1차 결핵 약제 사용
- 초기치료 실패한 경우 : 2차 결핵약제 병합하여 치료
1차약 | 2차약 |
. 부작용보다 치료효과 뛰어난 약 . 2차약 보다 부작용 덜함 . isoniazid(INH), ethambutol (EMB), rifampin(RFP), 피라진아마이드,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
. 1차 약제에 비해 부작용 많고, 치료 효과 떨어지지만 더 이상 사용가능 약 없음 . 파스(PAS), Prothionamide, Cycloserine, Kanamycin, Levofloxacin |
(2) 예방요법
• 질병 발생하지 않았지만 tuberculosis에 감염된 경우
- isoniazid 6-12개월간 복용할 경우 활동성결핵 진행 예방
• 예방치료 적용 대상자
- 투베르쿨린 검사에 양성 반응 보이면 나이에 상관없이 치료
* HIV 감염 되었거나 의심되는 사람
* 새로이 진단받은 전염력 있는 결핵 환자와 접촉자
* 최근에 투베르쿨린 양성 반응자
* 결핵감염 위험도가 증가하는 질병있는 환자
(예: 당뇨병, 장기간 부신피질 호르몬 복용, 면역억제요법,
혈액 또는 망상내피계 암, 마약 또는 알코올 중독,
말기신부전, 만성적인 영양불량 상태)

(3) BCG(Bacille Calmette Guerin) 접종
• 결핵에 대한 저항력 형성위해 접종되는 백신
- 활동성 결핵 일으킬 수 없는 살아있으나 약화된 bovine
결핵균
• BCG 백신 적용
- Isoniazid 예방치료 할 수 없을 때
- 치료하지 않은 결핵 환자
- 부적절하게 치료받은 환자와 반복하여 접촉한 경우
- 투베르쿨린 반응 음성이면서 Isoniazid 예방치료 받지
못할 때
- 소아의 경우

(4) 외과적 치료
• 결핵치료 가장 주된 방법
- 약물요법
• 외과적 치료대상자
- 약물요법 실패
- 약 사용해도 개선 되지 않을 경우
- 공동이 너무 크거나 후유증으로 폐 실질조직 많이 파괴
- 결핵성 기관지확장증 있을 때
- 객혈이 계속적으로 반복될 때
ㆍ수술요법
- 폐절제술(pulmonary resection)
- 허탈요법(collapse therpy)
* 결핵병소 기계적으로 수축시켜 치료
* 인공기흉술(artificial pneumothrax)
* 흉곽성형술(thoracoplasty) :늑골 절제하여 병소 위축
8) 간호중재
(1) 약물요법 이행 증진
① 초기에 최소 4가지 약 병용 교육
② 약물 복용 중단하지 않도록 함
(6∼18개월 이상 장기 복용 중요성 알림)
③ 약물치료 시작 후 2주 정도 격리 필요
(2) 영양증진
- 고단백, 고칼로리, 고비타민 보충한 균형 잡힌 식이 제공
(3) 전파 두려움 감소
① 마스크 착용, 기침시 코와 입 휴지로 가리고, 휴지는 따로
비닐에 모아 소각
② 일광 소독 : 결핵균은 햇빛, 열에 파괴
③ 화학요법 첫 몇주 동안은 타인과 접촉 제한
④ 방안은 자주 환기시킴
(4) 환자 교육
① 완치가능
② 비말감염임 설명
- 옷, 책, 식기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버릴 필요 없음
③ 약물 치료 시작하고 나서 2주 정도 격리 요함
④ 장기간 치료 요함
- 의료진 처방 없이 약물중단 하지 않아야 함
- 약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항상 충분히 준비하도록 함
⑤ 체액, 마스크, 사용한 휴지 만졌을 때는 손 씻어야 함
(5) 결핵환자 격리간호
• 비말 감염으로부터 다른 환자나 보호자 및 의료진 보호 위함
• 적응증
- 객담에 활동성 결핵균 검출
- Chest X-Ray(CT포함)상 활동성 호흡기 결핵균 검출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성인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조무사, 간호사 간호직 등 대비 성인간호학 요약 정리 6. 가스교환장애 (1) (0) | 2022.02.24 |
---|---|
간호조무사, 간호사 간호직 등 대비 성인간호학 요약 정리 5. 환기장애(2) (0) | 2022.02.23 |
간호조무사, 간호사 간호직 등 대비 성인간호학 요약 정리 3. 호흡기계의 건강사정 및 일반간호 (0) | 2022.02.21 |
간호조무사, 간호사 간호직 등 대비 성인간호학 요약 정리 2. 하부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0) | 2022.02.19 |
간호조무사, 간호사 간호직 등 대비 성인간호학 요약 정리 1. 상부호흡기계건강문제와 간호 (0) | 2022.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