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백혈구 질환환자 간호
1. 호중구 감소증(neutropenia)
• 혈중 백혈구 수치가 정상 수치(혈액 1㎕ 당 4,000~ 10,000개
이하로 감소되어 있는 상태, 심한 호중구 감소
- 백혈구 감소증(leukopenia)
: 백혈구에서 호중구 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크기 때문에
백혈구 감소증은 호중구 감소증(neutropenia)
- 과립 백혈구 감소증(granulocytopenia) 동일명
• 비교적 드문 질환
- 여자>남자
정상 | 호중구 감소증 |
. 4,000~11,000/mm3 | . 2,000/mm3 이하 |
1) 원인
- unknown
- 주요원인
* 약물의 독작용, 과민반응
* 항암제, 면역억제제로 인한 의원성 원인
- 기타 호중구 감소증 추정 요인
• 약물 | . 항암제(항대사제, 알킬화제, 항종양성 항생제) . 항생제(phenylbutazone) . 향정신성 및 항우울제(clozapine, imipramine) . Zidobudine(AZT)(AIDS치료) . 기타(gold, penicillamine, mepacrine, amodiaquine) |
• 혈액질환 | . 특발성 및 주기성 호중구 감소증, 재생불량성 빈혈, 백혈병, 거대적아구성 빈혈 |
• 자가면역장애 | . SLE(전신성홍반성낭창), 류마티스성 관절염, Felty 증후군 |
• 감염 | . 바이러스(간염, 인플루엔자, HIV, 홍역), . 세균(장티푸스, 속립성 결핵) |
• 기타 | . 패혈증, 골수침윤증(암종, 결핵, 림프종), 비장기능 항진증, 영양결핍(cobalamin, folic acid) |
2) 증상
- 호중구 수 500/mm3 이하 감소시 세균침범에 매우 취약
- 감염발생 부위
: 인후와 구강점막, 피부, 항문 부위, 호흡기 등
- 감염 증상
: 인후통, 연하곤란, 인후나 구강점막의 궤양성 병변, 설사,
항문 압통, 질소양감, 분비물, 호흡곤란, 기침 등
➜ 조기에 항생제 치료 신속하게 필요
➜ 치료 않을 경우 발열, 오한, 패혈증, 패혈성 쇼크 등 치명적
치료 지연 시 1주일 내로 사망
3) 진단검사
- 혈액검사
* 백혈구 감소증 : 4,000/mm3 이하
* 호중구 감소 현저 : 2,000/mm3 이하
- 골수검사
: 과립구 감소
- 비인후객담, 소변, 혈액, 대변 등 검체물 배양
: 감염 시 양성반응
- 호중구 감소를 초래하는 약물에 노출된 병력
: 잠재적으로 위험한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최근 6~12개월 동안 복용한 모든 약물 조사
- 소변, 혈액, 목과 구강궤양 부위 분비물 등의 배양검사
: 세균 검출
4) 치료
• 치료목표
- 호중구 감소 초래하는 원인 규명
• 감염시 원인균 확인
- 항암제 원인 : 항암제 투여 중단
- 독성 물질 원인 : 물질 중단
• 예방 및 치료적 항생제 투여
- 항생제 치료 미실시 할 경우 사망률 80%
• 조혈성장인자(G-CSF, GM-CSF) 투여
- 과립구의 성숙과 분화 자극 위함
• 보호적 격리술 적용
- 손씻기, 방문객 제한, 독방사용, HEFA filtration, LA
• 항진균제
- 호중구 감소기간에 진균 감염의 위험성이 있음
- 광범위항생제의 투여에도 발열이 호전되지 않을 경
• 과립구 수혈 :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경우
5) 간호
• 목표
- 감염 예방, 병원체에 노출되는 것 최소화
• 감염 징후 관찰
- 발열 상태 및 절대 호중구 수
- 활력징후 측정(4hr) : 패혈증 증상 확인(fever 확인)
- 체온 38℃ 이상이면 즉시 의사에게 보고
• 감염예방
- 정맥주사 시 피부준비 철처히
- 환자와 접촉자 모두 손씻기 철처, 독방사용
- 방문객, 감기 또는 전염성질환 직원 출입 제한
- 개인위생 및 잠재적인 감염 위험성에 대해 교육
- 가능하면 침습적 의료시술 제한 : 정맥천자, 도뇨, 관장 등
- 관장 금지 : 직장점막에 상해 가능성, 감염과 농양 예방
- 고단백, 고비타민, 고탄수화물 식이
2. 백혈병(leukemia)
• 혈액과 골수, 비장, 림프절 등의 조혈기관에 미분화된 백혈병
세포들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혈액의 악성질환
- 혈액 세포 중 백혈구에 발생한 암
• 특징
- 비정상적인 백혈구(백혈병 세포) 과도하게 증식하여 정상적인
백혈구와 적혈구, 혈소판 생성 억제
☞ 처음에는 백혈병 세포가 골수에 제한되어 있으나,
점차 말초혈액 및 다른 기관과 조직 침범
- 점진적으로 진행, 치료하지 않으면 결국 치명적 상태로 진전
- 주로 감염, 출혈과 같은 합병증에 의해 사망
• 모든 연령 집단에서 발생
- 성인 백혈병(10)> 어린이(1)
- 매년 30,800명 정도가 이환
1) 원인
- unknown
- 단일 요인이 아니라 유전적, 환경적 요인 포함한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관련
- 기타
* 이온화 방사선, 화학물질&약물 노출, 바이러스
* 골수 저형성(hypoplasia: 혈액세포의 생산 감소),
* 유전적 소인(Down, Bloom, Fanconi, Klinefelter 증후군 등)
* 항암제, 면역학적 요인, 환경적인 요인 등
2) 병태생리
∙ 정상골수 : 체내 요구에 맞게 혈구 증식, 성숙 ∙ 줄기세포 : 성장인자 도움으로 골수성, 적혈구성, 림프구성 경로 따라 분화 |
∙ 단일 줄기세포의 악성 변화 - 백혈구 세포 천천히 증식하면서 정상적으로 분화되지 않음, 수명 증가, 골수에 축적 |
➜ |
∙ 조절기능 상실, 기능 이상으로 백혈구 세포가 골수에 축적되면 다른 정상 혈구세포의 증식 어려움 |
➜ |
∙ 백혈구 세포는 골수에서 정상 조혈요소를 대치하게 되므로, 적혈구와 혈소판 생성 억압 - 심한 빈혈, 비장비대, 출혈장애 발생 |
➜ |
∙ 비정상 백혈구 혈액순환하면서 간, 비장, 림프절 등 기관에 침윤 |
3) 분류
• 백혈병세포의 분화성숙도와 임상경과 : 급성과 만성
급성 백혈병 | 만성 백혈병 | ||
. 세포 성숙에 결함이 있는 미숙세포 증식이 특징 . 급속한 경과 . |
보다 성숙한 형태의 백혈구가 이상 증식되는 형태 . 임상경과가 완만하게 진행되는 경우 |
||
. 증식된 백혈구의 형태(기원)에 따라 | |||
골수성 | 림프성 | 골수성 | 림프성 |
급성 골수성 백혈병 |
급성 림프성 백혈병 |
만성 골수성 백혈병 |
만성 림프성 백혈병 |
미숙한 과립구 골수에 축척 |
미숙한 림프구 골수에 축척 |
성숙한 과립구 골수, 혈액, 비장 축척 |
비정상적인 B림프 구가 림프절에 축적 |
- 백혈병세포 혈구 : 림프구성과 골수구성
(1) 급성 골수성백혈병(acute myelogenous leukemia: AML)

❶ 정의
. AML의 다른 용어로 급성 비림프구성백혈병, 급성 과립구성백혈병
. 미숙한 과립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골수에 축적
➜ 비정상적인 백혈병 세포는 정상 조혈과정 방해
➜ 빈혈, 백혈구 감소, 혈소판 감소 초래
❷ 특징 및 호발연령
. 골수나 말초 혈액에 골수아세포(myeloblast) 20% 이상 차지
. 유병률 : 인구 10만명당 3.7명, M > F (4.6 vs 3.0)
. 모든 연령 발병, 주로 청소년기, 55세 이후에 발병(15∼39세)
. 전체 백혈병 1/4 정도, 성인 급성 백혈병 85% 차지
❸ 증상
. 갑작스럽게, 극적으로 발생
. 과립구의 전구세포인 골수아구(myeloblast)의 이상 증식 특징
∙ 골수부전에 의한 증상 : 심각한 감염, 출혈, 빈혈, 뼈 통증
- 적혈구, 혈소판 감소, 골수와 비장의 과형성증 보임
❹ 치료 및 간호
∙ 치료
- 빠른 시간내 백혈병세포 제거, 관해 유도
- 항암화학요법, 수혈, 조혈모세포 이식
∙ 간호
- 감염예방
* ANC(Absolute Neutrophil
Count) 관찰
* 격리 및 방문객 제한
- 출혈예방: PLT 관찰
❺ 예후
- 치료 안하면 2달 이내 사망
- 평균 생존기간 : 13개월
- Five-year survival varies from 15–70%
- relapse rate varies from 33–78%, depending on subtype
(2) 급성 림프성백혈병(acute lymphocytic leukemia: ALL)
❶ 정의
- 미성숙 림프구, 림프아구와 비슷한 백혈병 림프아구
(leukemic lymphoblast cell)가 골수에 축적된 상태
➜ 정상적인 골수계 생성 문제
. 백혈구조혈(myelopoiesis: 백혈구 생성),
. 적혈구조혈(erythropoiesis: 적혈구 생성),
. 거대핵구조혈(megakaryopoiesis: 혈소판 생성)
❷ 특징 및 호발연령
- 어린이 백혈병 중 가장 흔하게 발생
. 소아기의 가장 흔한 악성질환, 사망원인 중 2위
. 2∼10세 사이 호발
- 성인에서 발생되는 급성 백혈병의 약 15% 차지
❸ 증상 및 징후
. 출혈, 발열 등의 증상이 갑작스럽게 또는 점진적 피로
및 허약과 함께 잠행적으로 나타남
∙ 골수 Lymphocytes 증식
∙ 간 비대, 비장비대, 림프절 비대
∙ 중추신경계 및 고환 침범
- 백혈병적 뇌막염은 지주막에 백혈병 세포가 침윤되어 발생
❹ 치료 및 간호
. 항암화학요법
❺ 예후
. 50% 어린이 5년 생존
(3) 만성 골수성백혈병(chronic myelocytic leukemia: CML)
❶ 정의
- 성숙한 과립구가 골수, 혈액, 비장에 비정상적으로 과다축
적되는 악성 장애
- 많은 양의 악성과립구가 말초혈액으로 다량 이동되어
간이나 비장에 침윤
❷ 특징 및 호발연령
- 환자의 90%에서 골수에 특징적인 염색체 변화
: 염색체 9번과 22번 사이의 유전물질이 상호 전위되어
필라델피아 염색체(Philadelphia chromosome) 존재
- 30∼50세 발병, 나이가 들면서 증가
- 점진적인 발병과 진행 잠행성, 만성기는 4년 정도 지속
☞ 70%정도는 가속 단계로 진행되어 위기 초래
❸ 증상 및 징후
- 무증상(20%), 피로, 야간발한
- 비장비대(90%), 간비대(50%), 흉골압통(80%)
- 백혈구증가증
- 골수검사 : 필라델피아 염색체 발견(95%)
- 임상경과는 점진적 진행하면서 치료에 대한 반응 좋아
증상 개선되면 정상적인 사회생활 할 수 있음
❹ 치료 및 간호
- 치료 :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항암화학요법
- 간호 : 환자상태와 증상에 따른 간호
❺ 예후
- 예후 : 급성으로 변하면 항암제 반응 안하며 사망
- 평균 생존기간 : 3~4년
(4) 만성 림프성백혈병(chronic lymphocytic leukemia: CLL)
❶ 정의 및 병태생리
- 성숙한 림프구가 골수내 과도하게 증식되어 정상적인 혈액
세포의 생산을 방해하는 질환
❷ 특징 및 호발 연령
- 잠행성으로 발병,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발견
- CLL 초기단계는 무증상 상태로 진행되는 경우 많기 때문에
다른 질환을 진단하는 과정에서 처음 발견됨
- 성숙형의 비기능적 림프구의 증식 특징,
침범되는 림프구는 B세포
60~80세 이상 성인, 노인에서 흔함

❸ 증상 및 징후
- 비교적 경미한 증상
- 적혈구&혈소판 감소, 림프구 증가증(Lymphocytosis)
- 림프절 비대 및 간, 비장비대
- 피로감, 식욕부진, 체중감소, 발열
- 완화와 악화의 교대
❹ 치료 및 간호
- 치료 : 경하면 치료하지 않음, 심하면 화학요법
❺ 예후
- 생존기간 7~15년 이상도 가능
4) 증상
• 기본적으로 골수 기능저하와 백혈병 세포 장기 내 침윤 관련
• 골수장애
- 비정상 세포의 골수침윤에 의해 정상 혈액세포 생성 방해
: 빈혈, 혈소판 감소증, 백혈구 수와 기능 감소에 따른 증상
- 미분화된 비정상 백혈구들이 골수 내에 과도하게 증식
(1) 빈혈
- 점막, 손톱, 손바닥, 피부 창백, 피로, 권태감, 가쁜호흡,
호흡곤란, 빈맥, 심계항진, 심잡음, 기립성저혈압, 활동 감소
(2) 출혈
- 점상출혈, 하지와 발 반상출혈, 타박상, 잇몸출혈, 혈뇨,
망막출혈 등
(3) 감염
- 비정상적&미성숙한 백혈병 세포
(4) 간, 비장비대
(5) 고요산혈증
- 치료약물에 의해 비정상적인 백혈병 세포 다량으로 파괴
⇉ 혈중요산 증가
(6) 중추신경계 침범 증상
- 비정상적인 백혈병 세포가 중추신경계 침윤
(7) 심리적 문제
- 예후 불량으로 대상자와 가족 극심한 불안
- 장기간 입원으로 외로움, 격리감, 무료함 등 경험
(8) 기타
- 림프절 병변, 관절부종과 통증, 체중감소, 식욕부진, 오심,
대변의 잠혈반응, 장음저하와 변비 등
5) 진단
(1) 전혈구검사(CBC)
- Hb, Hct, WBC : 감소 또는
- WBC : 정상 또는 상승 20,000∼100,000/mm3 다양
☞ 비정상적인 백혈병 세포 수치가 높을수록 예후 나쁨
(2) 골수천자, 골수생검
- 백혈병 확인, 유형 진단
(3) 혈액응고검사
- fibrinogen, 응고인자 감소
- PTT(partial thromboplastin time) 증가
- 혈액응고시간(clotting time) 지연
(4) 골수세포의 염색체 분석(Chromosome analysis)
- 미성숙 형태 백혈구 밀집되어 골수세포 전체적으로 증가
- 백혈병 유형, 예후 예측, 치료효과 평가 등
- Philadelphia chromo-some : 만성 골수성백혈병 진단 도움
(5) 방사선검사
- 증상에 따라 침범부위 방사선 촬영
* 호흡곤란 호소, 폐 침윤 의심 : 흉부 X-선검사
* 골격계 침윤 의심 : 골격 X-선 검사
(6) 말초혈액 도말검사
- 미성숙 아세포 형태의 비정상적 백혈구 증가
(7) 요추천자나 CT
- 암세포가 혈액, 골수 외 부위로 전이 여부 확인
- 환자의 약 5%정도에서 중추신경계 침범 보임
(8) 림프계 검사(림프관 조영술, 림프절 생검)
- 악성병변의 위치 확인, 형태 정확히 분류하기 위함
(9) 심리사회적 상태
- 대상자는 질병의 결과에 대하여 불안과 두려움 느낌
6) 치료
• 백혈병의 유형, 예후, 질병의 진행에 따라 결정
• 치료목적
- 골수기능 정상적으로 회복시켜 증상 완화 & 감염 예방
7) 간호
• 백혈병환자는 감염 및 출혈 위험성, 피로, 통증, 영양부족,
체액부족 등 중요한 간호
. 재발방지
약한 항암제
투여
(1) 화학요법
- 항암제 : 몇 가지 약물 조합하여 투여
- 투여량 : 환자에 따라 효과적인 치료가 될수 있도록 조절
- 급성 백혈병에서 화학요법 단계별로 시도
(2) 중추신경계 치료
- 백혈병 세포의 중추신경계 침입 경로 unknown
(3) 방사선요법
- 백혈병 세포가 중추신경계, 피부, 직장, 종격동, 고환에
침투했을 때 항암화학요법의 보조수단으로 사용
(4) 조혈모세포이식(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7) 간호
• 백혈병환자는 감염 및 출혈 위험성, 피로, 통증, 영양부족,
체액부족 등 중요한 간호

(1) 감염 예방
- 백혈병 대상자에게 치명적
- 종류
a. 자가감염
. 대상자가 보유하고 있는 정상 세균이 과다성장하여
신체내부로 침투
b. 교차감염
. 다른 사람이나 환경으로부터 미생물 침입
- 감염의 증상 관찰
• 활력징후, 혈액검사(호중구 수, 백혈구 수), 배양검사 소견
• 호흡상태: 호흡곤란, 기침, 가뿐 호흡
• 배뇨상태: 배뇨 시 작열감, 빈뇨, 긴박뇨
• 정맥주사부위 8시간마다 사정
• 피부와 점막의 발적, 열감, 분비물
• 구강상태
- 감염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조치
• 드레싱 교환, 카테터 삽입 등 처치 시 엄격한 무균술 적용
• 처방에 따라 항생제 투여
• 충분한 수분과 영양 섭취하도록
• 심호흡과 기침 실시
•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의료진에게 보고
• 방에 꽃이나 식물을 두지 않도록 함
• 생과일이나 익히지 않은 채소의 섭취 금지
• 방문객 출입 제한
• 필요시 역격리
- 절대 호중구 수치가 500/mm3 이하이면 laminar air flow가 있는
1인실에 격리
• 근육주사 금지
- 피부를 손상시키고, 세균의 침입로 농양 형성할 수 있으므로 피함
• 2∼4시간마다 부드러운 칫솔이나 약솜을 이용하여 구강간호 실시
• 좌욕과 회음부 간호 실시
(2) 출혈 예방
• 혈소판감소증
- 출혈 초래하여 생명 위협하므로 출혈 예방하는 것 중요
출혈 예방위한 관찰 | 출혈 예방 위한 조치 |
• 출혈, 저혈량성 쇼크 증상 • 소변, 대변, 구토물 잠혈 검 사결과 • 혈액검사결과 - 혈소판 수치, - 프로트롬빈 시간, -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 섬유소원, 섬유소 분해산물 |
• 면도날 사용, 직장체온 측정, 관장 등 금지 • 전기면도기 사용, 칫솔 부드러운 것 사용 • 정맥, 근육 혹은 피하주사 금지 • 침습적인 처치 최소화, 천자부위 최소한 5분 이상 압박 • 손상받지 않도록 안전한 환경 유지 • Aspirin, 다른 항응고제 사용하지 않도록함 • 비타민 K 풍부하고 부드러운 음식 제공 • 변비 예방하도록 함 • 필요시 혈소판이나 신선동결혈장과 같은 혈액제제 투여 |
(3) 에너지 관리
- 피로 예방, 최상의 기능 할 수 있도록 에너지 조절
- 수면습관과 수면시간 확인, 필요하면 낮잠 자도록 함
- 방문객 수 제한, 필요하면 방문 금지
- 충분한 에너지 얻을 수 있도록 영양 섭취
- 휴식권장, 에너지 수준 최고일때 활동 계획
- 자기관리나 간호활동에 대한 대상자 반응 확인
- 필요시 농축적혈구 수혈
(4) 통증완화
- 골수에 백혈병 세포 침윤되고, 축적되면 골막통증 발생
: 진통제 투여
- 침윤된 백혈병세포 감소
: 항암화학요법 실시
(5) 식이
- 식욕부진, 방사선치료&항암화학요법으로 오심, 구토, 구내염,
인후통 등으로 영양부족 문제 발생
- 오심과 구토시 진토제 투여
* 식사전 미리 투여
* 증상 계속되면 24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투여
- 구내염, 인후통 심하면 진통제 투여
- 좋아하는 음식 소량씩 자주 제공
- 필요에 따라 총비경구영양(TPN) 제공
- 소아, 청소년 경우 성장 지연, 체중 감소 시 고단백·고칼로리
- Corticosteroid의 약물부작용으로 체액 정체 시 저염식이
(6) 수분섭취
- 항암화학요법제 투여로 백혈구 파괴 증가하면서 요산 생성
- 열과 발한 경우
- 섭취량&배설량 관찰, 체중 측정하여 수액균형
- 1일 3,000∼4,000mL 필요
(7) 신체상의 변화관리
-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요법 등으로 신체상 변화
: 환자 대응능력 저하
- 탈모증(alopecia)
: 일시적, 머리카락이 다시 자랄 때까지 가발, 스카프, 모자
☞ 자아개념 증진
(8) 대상자 교육
- 의학적 중재가 필요한 증상과 징후, 가정간호시 주의사항,
일상생활과 직업, 활동과 휴식, 피해야 되는 약물 등
(9) 효과적인 대응증진
- 대상자의 대응능력 계속 사정
- 대상자 및 가족과 신뢰관계 확립하여 지지
'성인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조무사, 간호사 간호직 공무원 등 대비 성인간호학 요약 정리 13. 조혈장애 환자 간호 (1) | 2022.03.04 |
---|---|
간호조무사, 간호사 간호직 공무원 등 대비 성인간호학 요약 정리 11. 적혈구 질환 환자 간호 (1) | 2022.03.02 |
간호조무사, 간호사 간호직 공무원 등 대비 성인간호학 요약 정리 10. 혈액계 구조와 기능,진단검사 (0) | 2022.03.01 |
간호조무사, 간호사 간호직 공무원 등 대비 성인간호학 요약 정리 9. 가스교환장애 (4) (0) | 2022.02.28 |
간호조무사, 간호사 간호직 공무원 등 대비 성인간호학 요약 정리 8. 가스교환 (3) (0) | 2022.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