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식문화

한국복식과학과, 복식전공, 의상학과 필수~ 복식문화 요점 정리 17. 바로크 2

728x90
반응형

17. 바로크 2

 

■ 복식미
헤어스타일과 머리 장식
- 남성 : 턱수염과 콧수염 유행
- 챙이 넓고 크라운이 높은 모자가 유행

퐁탕주 : 17세기 말부터 18세기 초두의 유럽에서 유행했던 장식적 캡의 일종

장신구 – 남녀 모두 보석 장식, 리본 장식, 에이프런, 손수건, 장갑, 마스크 착용

화장 – 짙은 화장, 뷰티 패치
뷰티 패치 : ‘무슈’라고도 불리며, 본래 얼굴의 상처나 여드름을 감추기 위해
사용되었으나 점차 흰 피부를 강조하고 이성의 관심을 끌기 위해 사용됨

신발
- 힐이 점점 높아짐
- 부츠에 화려한 장식
- 쇼핀느가 유행
- 쇼핀느 : 16~17세기에 크게 유행한 높은 굽의 슬리퍼로 구두의 조상이 됨

■ 영화 속의 복식
영화 속의 복식 -The king is d a ncing (왕의 춤)

■ 현대 패션의 응용
화려한 궁정 문양의 패턴, 금색자수

알렉산더 멕퀸
F/ W Dolce & G a b b a na

 

 

<요약정리>

■ 바로크의 복식문화
1.바로크 복식미
턱수염,콧수염 유행
높은 모자
짙은 화장과 뷰티 패치
2 .영화 속의 복식
T h e kin g is d a n c in g (왕의 춤)
T h e F a v o u rite (여왕의 여자)
3 .현대 패션의 응용
알렉산더 멕퀸
돌체 앤 가바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