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팔꿈치가 아프다면 의심해야 할 테니스 엘보의 증상, 진단, 치료, 예방을 모았어요

728x90
반응형




테니스 엘보란?

테니스 엘보는 팔꿈치 과사용 증후군의 일종으로, 손상 부위 인대에 미세한 파열이 생겨 통증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테니스를 많이 치는 사람에게 주로 나타난다고 하여 테니스 엘보라고 불리지만, 꼭 테니스를 치는 사람에게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흔히 ‘테니스 엘보’라고 부르는 질환의 정확한 명칭은 ‘외상과염’이다. 팔꿈치를 만져보면 팔꿈치의 바깥쪽과 안쪽에 뼈가 만져지는데,
이 뼈들의 이름이 각각 외상과, 내상과이다. 손목과 손을 움직이는 힘줄이 이 뼈들에 붙어있는데,
외상과 부위 힘줄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외상과염, 반대로 내상과 쪽 힘줄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내상과염이라고 부른다.
외상과염은 ‘테니스 엘보’라는 별칭과 달리 테니스를 칠 때만 생기는 것은 아니고, 테니스를 친다고 해서 무조건 생기는 것도 아니다.
다만 테니스는 손목을 뒤로 젖히는 동작이 많기 때문에 외상과염 발생률이 높다.
테니스처럼 손목을 뒤로 젖히는 프라이팬 사용이나 컴퓨터 사용 등으로도 외상과염이 생길 수 있다.
반면 손목을 안으로 굽히는 동작이 많은 골프에서는 내상과염이 잘 생긴다. 때문에 내상과염을 ‘골프 엘보’라고 부르기도 한다.



외상과염이 생기면 우선 외상과에 특징적으로 통증이 발생한다. 외상과를 직접적으로 눌렀을 때 압통이 발생한다.
이 통증은 외상과에서 전완부 쪽으로 힘줄과 근육을 따라 조금씩 퍼져나간다.
외상과염이 더욱 진행되면 단순히 팔을 굽혔다 펴는 동작만으로도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테니스 엘보의 진단과 치료

외상과염 진단을 위해 병원을 찾게 되면 증상의 정도를 확인한 뒤
엑스레이, 초음파 등의 검사를 통해 다른 병변이 동반되었는지를 확인한다.
환자에 따라 외상과염이 오래되다보면 힘줄을 따라 석회가 침착되기도 한다.
더욱 심한 환자의 경우에는 힘줄이 파열될 수 있다. 이런 것들을 확인하기 위해 영상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좋다.
초기의 외상과염은 활동 조절과 약물, 물리치료를 시도한다. 이후 호전이 안 될 경우 체외충격파치료나 주사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테로이드나 소염주사를 많이 시행하지만 힘줄에 변성이나 파열이 발생할 경우 힘줄 강화를 위한 PRP주사 치료를 진행하기도 한다.

PRP주사는 30cc정도 채혈한 뒤 피 속의 성장인자를 뽑은 후 농축시켜서 주사하는 방식이다.
PRP주사는 기존의 스테로이드 주사와 양상이 다른데, 단순히 통증만 가라앉히는 것을 넘어서 힘줄을 더 건강하게 만드는 것에 목적이 있다.

과사용하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

외상과염은 과사용이 원인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때문에 가장 기본적인 예방과 치료는 손목을 과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요리나 키보드 사용처럼 손목에 큰 부하가 가지 않는 동작들도 오랜 시간 계속되다 보면 힘줄에 무리가 생길 수 있다.
때문에 손목을 사용하다 외상과 부위에서 통증이 느껴질 때에는 활동을 멈추고 충분한 휴식과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좋다.
외상과염은 치료 후 통증이 없어졌다고 해도 다 나았다고 안심할 수 있는 질환이 아니다.
꾸준한 관리가 매우 중요한 이유다. 따라서 힘줄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 행동 습관을 고치고
힘줄 건강에 도움이 되는 생활습관을 가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