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장. 성숙이론의 발달 원리
1) 발달의 방향성 원리
발달은 무작위가 아닌 정돈된 방식에 따라 진행된다는 가정
인간의 발달에는 일정한 방향성이 존재함
두미발달 : 머리에서 다리로의 발달 신생아는 다리부분보다 머리부분이 더 빨리 성숙 팔의 협
응이 다리의 협응에 선행됨
근원발달 : 중심에서 말초로의 발달 어깨의 동작은 손목과 손가락 동작보다 더 일찍 발달
20주 경에 나타나는 잡기행동은 아주 미숙하여 어깨까지의 움직임에 의존. 28주가 되면 섬세한 근
육운동에 의해 엄지손가락의 사용이 가능해 짐
2) 상호교류의 원리
신체는 서로 상반되는 두 특성이 균형을 이루어가면서 발달
영아는 먼저 한 손을 사용하고 그 후 다른 한 손을 사용하며 그 다음에는 양손을 사용하는 등
계속적인 반복과정을 통해 능숙하게 손을 사용할 수 있게 될 때까지 발달이 이루어짐
예) 인간의 좌우 양 측면 좌뇌와 우뇌 두 눈 두 다리 두 팔 은 초기에는 왼쪽 오른쪽 이 우세
하다가 일정 기간 후 오른쪽 왼쪽 이 우세해지고 이후 양쪽이 균형을 이루다가 다시 어느 한쪽
이 기능적으로 우세해지는 경향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신체 운동발달은 · 점차적으로 효율성 있게 조직화되면서 발달
3) 기능적 비대칭의 원리
인간은 상호교류의 원리에 의해 균형을 이루게 되지만 어느 , 정도의 비대칭이 발생
인간 발달에서 완벽한 균형이나 조화를 이루기는 상당히 어려운 일
오히려 약간의 불균형이 훨씬 더 기능적으로 작동
양쪽의 기능이 비대칭으로 발달될 때 효율적으로 작동
예) 양손잡이 보다는 오른손잡이 왼손잡이
4) 자기규제의 원리
인간의 내재적 발달기제는 각자 자신의 발달을 스스로 규제
예) 영아는 자신의 발달 속도에 적절하게 움직이고 내적 시간표에 따라 잠자고 섭식 양육자가
많은 양의 먹을 것을 주어도 자신의 양 만큼만 먹고 스스로 더 이상 먹지 않음
인간은 자신의 능력 이상으로 새로운 것을 시도하지 않도록 행동을 조절
너무 빨리 너무 , 많이 배우도록 강요받을 때 유아 내부에서 스스로 저항하는 힘을 의미
5) 개인차의 원리
인간은 각 개인의 내적 유전기제에 의해 성장 속도의 차이 발생
예) 유치 나는 시기 첫 걸음을 시작하는 시기 인지적 성숙 시기 등
개인마다 발달의 속도와 시기가 다름
'유아발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사, 보육교사, 유치원 필수과목 유아발달 핵심 요점 정리 9장. 심리성적 발달 이론의 기본 개념 (24) | 2023.05.04 |
---|---|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사, 보육교사, 유치원 필수과목 유아발달 핵심 요점 정리 8장. 성숙이론의 한계와 시사점 (24) | 2023.05.04 |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사, 보육교사, 유치원 필수과목 유아발달 핵심 요점 정리 6장. 성숙이론의 개요와 기본 개념 (25) | 2023.05.03 |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사, 보육교사, 유치원 필수과목 유아발달 핵심 요점 정리 5장. 발달의 결정적 시기와 민감기 등 (42) | 2023.05.02 |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사, 보육교사, 유치원 필수과목 유아발달 핵심 요점 정리 4장. 유아기 발달의 중요성 등 (31) | 2023.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