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어학개론

언어에 세계의 모든 지식을 알기쉽게 정리한 언어학개론 핵심 요약 정리 8. 자음과 모음의 체계

728x90
반응형

8. 자음과 모음의 체계

 

1. 자음의 체계

1.1 자음에 대한 통계

 자연언어 자음 음성의 수:
650개(70.7%, 자모 합: 919개)(UPSID451)
* 919개 자모 중 427개(46.5%) 자모는 단 1개의 언어에만 나타남.
* 919개 자모 중 748개(81.4%)는 10개 미만의 언어에만 나타남.
⇒ 실제 자연언어에 사용되는 자음의 수는 그렇게 많지 않다.

 

1.2 자음 체계의 보편적 구성

1.2.1 언어에 따른 자음의 수(WALS, 1) [j(=y), w 포함]

 

분류 자음 수 언어 수 %
소형(small) 6~14 89 15.8
중소형(moderately small) 15~19 122 21.7
중형(average) 22±3 201 35.7
중대형(moderately large) 26~33 94 16.7
대형(large) 34+ 57 10.1
563 100

중형 > 중소형 > 중대형 > 소형 > 대형: 자연언어는
자음의 경우 많은 쪽을 택하기보다는 적은 쪽을
택하는 경향이 있다.

1.2.2 한 언어의 자음은 어떤 소리들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보편적일까
?

< 빈도가 높은 자음 20개 (가상의 체계) >

1.2.3 조음방법에 따른 자음체계의 보편성

1) 공명음

① 비음

② 유음(l, r)

③ 활음(j=y, w)

2) 장애음

① 폐쇄음

❶ 목록 크기 (파찰음 포함)
a. 평균: 10.5개
b. 전체 언어의 약 2/3: 5~11개

❷ 조음위치
a. 조음위치의 수

b. 조음위치 별 빈도

❸ 조음방법
a. 조음방법의 수

b. 조음방법의 수에 따른 분절음 종류의 빈도

② 마찰음 (h 제외)
➊ 수

➋ 빈도

2. 모음의 분류

2.1 모음이 자음과 다른 점

1) 음절의 핵 : 모음이 없이는 발음이 불가능

어머니 없이 아들이 존재할 수 없음을 볼 때 우리가 사용
하는 ‘자음(子音, 아들 소리)’과 ‘모음(母音, 어머니 소리)’
이라는 용어는 자음이 모음 없이 독립적인 음절을 구성하
지 못한다는 사실을 잘 반영한다. 따라서 한국어에서의 ‘
자음, 모음’의 명칭은 음성적인 관점이 아니라 음운적 관
점에서 붙여진 것이라 하겠다. 그리고 ‘안, 옷, 오이, 아우’
등과 같이 모음 앞에 사용하는 ‘ㅇ’은 자음 [ŋ]이 아니라,
자음이 비어 있거나 두 모음이 다른 음절에 속함을 보여주
기 위한 부호라 할 수 있다.

 

2) 조음방법 : 장애를 수반하지 않고 나는 말소리

 

3)  조음위치 : 자음보다 좁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