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생리학

식물보호기사 및 농업 관련 공무원 필수 이론 식물 생리학 핵심 이론 요약 요점 정리 2. 식물의 수분균형

728x90
반응형

4.1토양 내의 물
토양의 유형과 토양 구조


토양 내 물의 존재 형태

토양에서 식물을 거쳐 대기로 물이 흐르게 하는 주요 추진력: 수증기농도의 차이(Δ c wv ), 정수압의 차이(Δ Ψ p ), 수분 퍼텐셜의 차이(Δ Ψ w )

1) 토양수의 음의 정수압은 토양의 수분 퍼텐셜을
저하시킨다
삼투 퍼텐셜
정수압
중력 퍼텐셜

뿌리털은 뿌리와 토양 입자의 접촉을 밀착시키고 식물의 물 흡수 표면적을 크게 증폭시킨다.

2) 물은 부피 유동으로 토양을 통해 이동한다
부피유동
토양수 내의 압력 발생은?
토양 내 물 흐름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2 뿌리의 물 흡수
뿌리털의 역할?
뿌리에서의 물 흡수 부위

1) 물은 뿌리에서 아포플라스트 경로, 심플라스트 경로,
막횡단 경로를 통해 이동한다

뿌리의 물 흡수 경로들.

표피에서 내피까지의 경로

카스파리선
물 투과성의 아쿠아포린 의존

 

2) 물관부의 용질 축적은
‘뿌리압’을 발생시킨다
뿌리압의 생성 기작
뿌리압이 발달하는 환경조건
뿌리압의 역할: 일액현상?

 

4.3 물관부를 통한 물의 수송

1) 물관부는 두 종류의 관상요소
로 구성되어 있다

관상요소와 이들의 상호 연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