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법제론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시험 등 사회복지법제론 요점 정리 39. 판례

728x90
반응형

39. 판례

1. 다양한 판례
가. 판례(判例)
1) 판례법
동일한 유형의 사건에 대한 법원(法)의 판결을 통하여 형성되는
의 법규범
법원에 의하여 동일한 지의 판결이 반복하여 판례를 법원(法)으로
인정하는 경우에 성
되는 문법
영미법계는 법원이 재판을 하는 경우, 이미 나와 있는 판례에 구속을 받
게 되는
례구속의 원칙에 따르게 됨
우리나라는 원칙적으로는 판례법의 법원을 부정하지만 법적 안정을 위
하여 자연히 하급법원은 상급법원의 판례에 따르게 되며, 판례는 사실
상의 구속력을 가지고 있음
이러한 의미에서 판례는 법원으로 인정될 수 있으며, 사회복지에 관한
판례가 있다면 판례법으로서 법원성을 인정받게 됨

 

나. 판례에 대한 연구와 공익소송을 통한 복지권의 확대
1) 판례에 대한 연구
판례연구는 사회복지실의 현장에서 부치는 사회복지법제의 한계
을 보해 주기 문에 으로 이 분야에 대한 은 연구가 필요함
판례에 대한 연구는 사회복지법제의 이론적 측면과 실현장의 사례를
목시것으로서, 사회복지현장의 사례를 사회복지법제에 적용할 수
있음은
론 사회복지법제를 비판적으로 관할 수 있는 안목을 제시해
1994중림동에서 거주하는 심창과 이금주 부부 어르
신이 우리나라에서
음으로 생활보호급여와 수준 문제를 중심으로
법재판소에
이 소송은 노생존권에 대한 권리구제 의식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
에서 의미가 있음

 

2) 공익소송을 통한 복지권의 확대
현대국가에서 국가 또는 대자본에 의해 양상되는 사회문제의 심각성에
미루어
볼 때 을 벌이는 개인 양 당사자 중심의 전통적인 소송체계
는 이제 문제해결의 기제로서 효과성이

이에 대한 대안으로 등장한 것이 공익소송이며, 공익소송은 소송 당사자
의 집단이거나 또는 개인이라 할지라도 그것이 대
에게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수행되는 소송임

 

다. 법재판소 판례
1)
법재판소에서 내리는 판이나 결정
2)
법재판에는 위법률판, 판, 정당해산판, 권한쟁의 판,
소원
판 등이 있음
3) 특히 위
법률판 제은 법원이 법재판소에 하는 것이며, 현재 법원
에서 문제되는 어떤 법률과 관련
재판을 하고 있지 않을 나 재판과는
관련이
는 법률조항에 대하여는 판의 제을 할 수 고, 소송당사자
도 위
법률판제을 해것을 신할 수 는 것
4)
법재판소의 판결은 일반소송과 달리 국가기관이 그 재판결과에 따르지
아니하여도 이를 강제적으로 따르게 할 수
는 한계
5) 그러나
불합치 판결은 법률의 효력에 구속력을 가지고 있기 문에
국가정책에
대한 영향을 미치게 됨

 

라. 사회복지사업법 관련 판례
1) 종
사회복지시허가[대법원 9811120, 고, 2000.06.23,
판결
]
시장 수 자치구의 구장이 사회복지시치 운영에 관한 허가
소권만 아니라 그에 관한 독권도 가지는지 여부(적)
사회복지법인이 사회복지시을 사회복지사업 자체가 아수익사
업에 이용하게 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소
) 사회복지시
운영허가의
소에 사회복지법인의 설립허가소에 관한 구 사회복지사
업법 제20조제2항의 규정이 유추 적용될 수 있는지 여부(소
)
2) 사회복지법인이 교회시
론 일반건의 건도 허용되지 아니하
는 자연
지지역에 사회복지시로 허가 받아 건한 사회복지시을 사
실상 교회의 전용시
로 사용하면서 사업복지사업을 전시행하지 아니
하고 수차례 사회복지시
사업 활성화 및 시설물 정비 등 시정명령을 이
행하지 아니한 경우, 이를 이유로 한 사회복지시
치 운영허가의
분은 재량권의 일용이 아니라고 한 사례
3) 국민연금 이
수급의 판례
국민연금법상 2개 이상의 급여를 함받지 하도한 규정에 관한
확인을 구하는 법소원판에 대하여 2개 이상의 수급권이 생할
경우 수급권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만을 지급하도하는 것은 기본권을
제한하는 것이 아

4) 국민연금의 성격 판례
강제가을 전제로 한 국민연금법이 법상의 조법률주의에 위배된
법소원구에 대하여 국민연금제도는 노생활을 보장하는
강제저
축 프로그으로 사회연대성에 기초한 소 재분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회적 시장경제질서에 부
하는 제도로 법상 시장경제질서에
되지 않음

 

마. 산업재해보상보험법 관련 판례
1) 유
보상등구서반려처[대법원 20079471, 고, 2010.05.27, 판
]
구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이 보호대상으로 은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에
해당하는지 여부의 판단 기준
운송회사와 ‘화자동차 운전 용역(도급) 계약’을 체결한 운송 기사
가 위 회사로부
제공받은 트레일러를 운전하여 운송업무를 수행하
운전 부주의로 사망한 , 망인의 우자가 유급여 및 장의비 지급
구하으나 근로복지공단이 망인이 근로자가 아니라 사업주에 해
당한다는 이유로 거부한 사안에서, 망인은 임금을 목적으로 종속적인
관계에서 운송회사에게 근로를 제공한 근로자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바. 고용보험법 관련 판례
1) 신규고용
진장금등반및 추가[대법원 20094272,
고, 2009.06.11, 판결]
부정한 방법으로 고용안정 업능력개사업의 지원을 받은 사업체에
명의만
준 명목상 사업주가 고용보험법 제35조의 ‘지원을 받은 자’
에 해당하는지 여부(원칙적 적
)
음악 공연 등을 목적으로 설립된 사업자가 부정한 방법으로 신규고용
진장금을 수령한 사안에서, 그 사업주 명의를 대여한 명목상 사업주가
고용보험법 제35조의 ‘지원을 받은 자’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그에게 장
금반명령 및 추가분을 한 것이 적법하다고 한 사례

 

사. 노인복지법 관련 판례
1) 노령수당지급대상자
정제외[대법원 957727, 고, 1996.4.12,
판결
]
판시사항
보건사회부장관이 정한 1994도 노인복지사업지의 법적 성질
노령수당의 지급대상자를 ‘70이상'으로 규정한 [1]항의 지이 노인
복지법 제13조, 같은 법 시행령 제17조의 위임한계를
어나 효력이
다고 한 사례

 

아. 장애인복지법 관련 판례
1)
상(기) [중앙지법 2003가단150990, 고, 2004.2.12, 판결 : 확정]
판시사항
성마비 장애인의 종신보험계약 약을 거한 생명보험회사의 행위가
위법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생명보험회사가 성마비 장애인인 보험약인의 구체적 개적 장애
상태와 정도, 장애등급(
복장애로 인한 등급조정)에 대한 분한 이해
이 단지 그가 장애인복지법령에 의한 장애 1등급에 해당하고, 생명보
회가 정한 장애인보험공통계약사기준상의 거사유에 해당한다
는 사정만으로 종신보험계약의
약에 대하여 그 을 거한 것은
차적 과정에 있어서 리성 적정성을 보한 것으로 으므로
생명보험회사의
이 장애인 복지법 제8조에 위배된 위법한 행위 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