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족생활교육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시험 등 가족생활교육 요점 정리 35. 부부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728x90
반응형

35. 부부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1. PREPARE-ENRICH


1) 1980년대에 올슨과 동료들(Olson et al., 1980)이 개발한 프로그램
- 프로그램의 실행은 10개 혹은 30개의 부부관계를 진단하는 문항에 응답하는 것으로 프로그램을 시작
- 목적 : 부부와 커플의 단계적 기술을 증진시키는 것
- 특성 : 프로그램이 진행되면서 초기에 진단하였던 스케일과 더불어 12문항의 관계적 측정, 5SCOPE
인성검사, Circumplex Model 검사, 관계적 역동성에 대한 검사, 그리고 30여 개가 넘는 부부의 상황에
적합한 검사도구가 활용되면서 지속적인 진단과 상담 및 교육이 실시되는 것이 특징
- PREPARE-ENRICH 프로그램은 2008년 5차 개정작업이 이루어졌고 결혼준비교육, 동거부부교육,
부부교육에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
- 이 프로그램 참가자는 설문지 형식의 도구로 진단을 받음
* 부부관계의 친밀감 범주, 의사소통 범주, 성적 관계 범주, 재정적 관리 범주, 여가활동 범주,
역할관계 범주, 갈등해결 범주 등으로 진단
- 기본상담 기간 동안에는 여섯 가지 PREPARE-ENRICH 기본 기술을 연마
- 기본 기술훈련과 맞춤형 기술훈련이 끝나고 난 후 진단과 후속교육이 실시

 

2. 집단구성에 의한 부부교육 프로그램 활동과 진행 단계의 예 : 농촌 부부평등 교육 프로그램

 

- 최규련의 농촌 부부 평등교육 프로그램은 전통적인 교육 패러다임과 건강가족 및 관계 향상 이론을
통합적으로 활용한 프로그램. 총 10시간 7회기 1박2일 교육으로 10-15쌍의 부부를 대상으로 진행
- 소규모 집단 프로그램을 통한 부부교육 :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신혼기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교육
- 참가자들은 매주 1회 100분간 프로그램에 참가하고 강의가 아닌 HANDS-ON 실습을 통한 활동에
노출되어 있으며 총 4회기로 구성
-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집단교육의 예 : 바우컴과 엡스타인의 인지-행동적 치료 모델에 기초한
부부갈등 해결 교육 프로그램
* 이창숙과 유영주(1998)는 바우컴과 엡스타인(BAucom & Epstein)의 인지-행동적 치료 모델에
기초하여 부부갈등 해결 교육 프로그램 실시했는데 총 8회기로 실시
- 전통적인 강의와 실습을 통합한 개인 대상 집단교육의 예 : 평생교육원의 교류분석 부부교육 프로그램
* 오명선과 최외선(2008)은 대학의 평생교육원 교양강좌에서 미술활동을 활용한 교류분석 부부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측정하였음. 총 14주간 실시하며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은 수강생
간의 친밀감 형성단계(1-2회기), 자신과 배우자의 성격유형 이해 단계(3-6회기), 의사소통 향상
단계(7-9회기), 부부관계향상 단계(10-14회기) 등

학습정리

1. 부부관계교육 내용
1) 부부교육의 의의와 교육과정
- 서로 다른 환경에서 성장한 부부가 하나의 가족을 형성하고 함께 생활하면서 다양한 갈등 상황을
경험하게 됨. 부부 각자는 태어나 결혼에 이르기 전까지 서로 다른 성격과 생활방식을 형성하고
유지해왔기 때문에 부부는 갈등을 심화시키기 전에 부부교육을 통해 건강한 가족을 유지하고 행복한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돕는 사회적인 지원이 필요함
(1) 부부교육의 역사
① 미국
* 20세기 초, 미국을 중심으로 가족생활교육이라는 개념이 구체화되기 시작하였는데, 특히
부부관계에 초점을 두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에 들어서임
* 1961년 Otto의 가족과 결혼을 위한 프로그램이 미국에서 시작
② 우리나라
* 우리나라에서는 평생교육 차원에서 1970년대부터 부부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시작
* 1980년대 후반부터는 외국에서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활용하기
시작
* 2000년대에는 부부의 발달과업에 초점을 둔 맞춤형 부부교육 프로그램이 대두

 

2. 부부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1) PREPARE-ENRICH

- 1980년대에 올슨과 동료들(Olson et al., 1980)이 개발한 프로그램
- 프로그램의 실행은 10개 혹은 30개의 부부관계를 진단하는 문항에 응답하는 것으로 프로그램을 시작
2) 집단구성에 의한 부부교육 프로그램 활동과 진행 단계의 예 : 농촌 부부평등 교육 프로그램
- 최규련의 농촌 부부 평등교육 프로그램은 전통적인 교육 패러다임과 건강가족 및 관계 향상 이론을
통합적으로 활용한 프로그램. 총 10시간 7회기 1박2일 교육으로 10-15쌍의 부부를 대상으로 진행
- 소규모 집단 프로그램을 통한 부부교육 :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신혼기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교육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