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건강가족 이론
- 가족의 건강성은 가족생활교육과 관련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가족이 갖고 있는 잠재력과 강점을
찾아 발전시키는 것을 목적
1. 이론의 개요
- 건강가족 관점은 가족의 건강성에 초점을 두고 이러한 건강요인을 파악하여 가족원의 잠재력을
개발하여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 성장과 변화 유도
- 건강 : 신체적 건강, 도덕적ㆍ정신적 건강
- WHO의 건강의 정의 : 단순히 질병이 없고 허약한 데 그치지 않고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히
양호한 상태
- 건강가족 : 기능적 가족, 강한 가족, 균형된 가족, 정상적 가족, 최적의 가족, 적합한 가족, 건강한
가족 등과도 혼용 사용
- 1962년 오토(Otto)에 의해 건강가족 연구 시작
- 스티넷과 디프레인(Stinnet & DeFrain, 1985)의 강한 가족의 특성 : 감사와 존중, 질적인 시간 함께
보내기, 의사소통, 헌신, 종교지향, 위기에 효과적인 방식으로 대처하는 능력
2. 기본 가정
- 건강한 가족은 의사소통이 잘되고 상대방의 말을 잘 들어줌
- 타인에 대해 존경심을 가지며 서로 신뢰하고 긍정적이며 협조적
- 공통적인 책임의식과 전통을 존중하는 가족 관념을 갖고 있음
- 옳고 그름에 대한 인식을 가르치며 구성원들 간에 균형 잡힌 상호작용이 있음
- 사생활을 존중, 여가시간을 같이 즐기고 타인들을 위한 봉사를 귀하게 여김
- 감사와 존중, 질적인 시간 함께 보내기, 헌신, 종교지향, 위기에 효과적인 방식으로 대처하는 능력
3. 주요개념
① 응집성 : 헌신, 시간을 함께 보내기 ➜ 가족구성원들이 서로에게 가지는 정서적 유대 또는 서로
결속되는 정도
② 융통성ㆍ적응성 : 스트레스를 다루는 능력, 정신적인 안녕 ➜ 상황적 또는 발달적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자체의 권력구조, 역할관계, 관계적 규칙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족체계의 능력
③ 의사소통 : 긍정적 의사소통, 감사와 애정 ➜ 훌륭한 의사소통은 역기능적 수준에서 기능적 수준이
되도록 돕는 촉매역할
4. 건강가족 이론과 가족생활교육
- 건강가족 관점은 가족의 성공에 초점을 둠
- 건강가족을 형성케 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가족 내의 계속적인 성장과 변화를 가져오는 기초를 삼아
가족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음
- 건강가족의 특성을 밝힘으로써 가족생활의 성공을 원하는 가족과 가족구성원들에게 모델을 제공
- 가족에 대한 병리적 관점에서 벗어나 가족의 강점과 잠재력 등을 평가하여 가족생활교육의 실천과
연구에 접목
학습정리 |
1.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 및 교환 이론
1)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
- 가족원 간의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과 상호간의 의사소통을 연구하고 가족 간의 정서적 관계를 자신의
상황에서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어떻게 지각하고 해석하는가를 중요하게 다루는 이론
2) 교환이론
- 사회적 행동을 준 사람 간에 교환자원을 주고받는 반복적인 행위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간주
- 사회생활에서 이루어지는 호혜성의 과정, 즉 ‘주고받기’ 혹은 교환과정은 오래전부터 학문적 관심의
대상
2. 인간생태학적 이론 및 갈등 이론
1) 인간생태학적 이론
- 사회를 보는 관점 중 하나로 우리가 성장하고 자라온 환경과 상호 관련된 맥락을 포함하여 분석하는
관점
2) 갈등 이론
- 자연적인 것이며 인간의 본성과 사회 내에서 피할 수 없는 것
- 갈등이론가들은 갈등을 자연적이고 피할 수 없는 현상으로 봄. 즉, 사회를 끊임없는 경쟁과 갈등의
연속으로 봄
3. 가족체계 이론 및 구조기능주의 이론
1) 가족체계 이론
- 가족체계이론은 가족 구성원 개개인의 모든 것, 즉 어떤 것도 가족 모두에게 영향을 미친다고 보는
관점
- 가족이 복잡한 내, 외적 환경 속에서 어떻게 적응하고 성장해 가는지를 중요하게 다룸
2) 구조기능주의 이론
- 사회를 유기체로 보고 가족과 사회 간의 적합성과 가족이 사회와 어떻게 연결되었는가를 설명하는이론
- 가족이 사회와 개인에 대해 어떤 기능을 하며 사회와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지를 설명해주는 이론
4. 건강가족 이론
- 가족의 건강성은 가족생활교육과 관련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가족이 갖고 있는 잠재력과 강점을
찾아 발전시키는 것을 목적
- 가족의 건강성에 초점을 두고 이러한 건강요인을 파악하여 가족원의 잠재력을 개발하여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 성장과 변화 유도
'가족생활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시험 등 가족생활교육 요점 정리 15. 한국 가족생활교육의 역사 (0) | 2022.08.16 |
---|---|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시험 등 가족생활교육 요점 정리 14. 미국 가족생활교육의 역사 (0) | 2022.08.14 |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시험 등 가족생활교육 요점 정리 12. 가족체계 이론 및 구조기능주의 이론 (0) | 2022.08.13 |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시험 등 가족생활교육 요점 정리 11. 인간생태학적 이론 및 갈등 이론 (0) | 2022.08.12 |
복지학과, 사회복지사 시험 등 가족생활교육 요점 정리 10.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 및 교환 이론 (0) | 2022.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