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내주식 테마시황 -
▷금일 코스피지수가 하락, 코스닥지수가 상승한 가운데, 테마별로는 대부분의 테마가 상승. 쿠팡 美 증시 상장 기대감 지속 등에 쿠팡 관련주가 연일 상승했고, 종합 물류, 골판지 제조, 제지 테마도 동반 상승. 다날핀테크의 비트코인 결제 서비스 도입 소식에 전자결제(전자화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핀테크 테마가 상승. 美 국채 10년물 금리가 지난해 2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까지 상승한 영향 등으로 은행, 생명보험, 손해보험 테마가 상승. 철강업계 공장 가동률 최대치 및 철광석 가격 인상 지속 전망 등에 철강 주요종목, 철강 중소형 테마도 상승. 美 목재가격 급등 소식 속에 조림사업 테마가 상승했고, 서부 텍사스산 원유 13개월래 최고치 기록 소식 등에 정유, LPG 테마도 상승. 이 외에 보안주(정보), 출산장려정책, 재택근무/스마트워크, 지능형로봇/인공지능, 치아 치료, 전력설비, 수산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美 국채 금리 급등 여파 등에 외국인과 기관이 국내증시에서 순매도를 보인 가운데, 반도체 대표주(생산), 자동차 대표주, 건설 대표주, 조선, 인터넷 대표주, 석유화학 등 대형주 중심의 테마가 하락. 이 외에 바이오시밀러, 면역항암제, 제대혈, 줄기세포, 제약업체 등 제약/바이오 관련 테마들이 하락했고, 항공기부품, 희귀금속(희토류 등), 갤럭시 부품주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 전자결제,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핀테크 등 -
다날핀테크, 비트코인 결제 서비스 도입 소식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다날의 가상자산 페이코인(PCI) 운영사인 다날핀테크가 페이코인 앱에서 비트코인(BTC)으로 즉시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를 국내 최초로 상용화 할 것으로 알려짐. 비트코인 보유자들은 해당 가맹점의 비트코인 결제 수용 여부와 상관없이 페이코인 앱 내에서 페이코인(PCI)으로 즉시 전환해 국내 6만여개 페이코인 제휴 가맹점에서 즉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짐.
▷다날핀테크의 이번 비트코인 결제서비스는 블록체인 전문 기업 해치랩스(HAECHI LABS)와의 협업을 통해 '헤네시스 월렛'을 페이코인 앱 내에 구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다날핀테크는 비트코인의 PCI 전환 결제 지원을 시작으로 이더리움(ETH), 아이콘(ICX)을 비롯한 다양한 가상자산의 결제 및 투자 상품 가입 등 서비스 영역을 확대할 계획으로 알려짐.
▷금일 빗썸에 따르면, 오후 4시 경 비트코인 가격은 전일 대비 4% 가까이 상승해 5,630만원선에서 거래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다날, 갤럭시아머니트리, 카페24, KG모빌리언스, 한국정보인증 등 전자결제(전자화폐)/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핀테크 테마가 상승.
▷한편, 전일 언론에 따르면 카페24는 지난 2년 6개월 동안 카페24 앱스토어 내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수가 누적 20만건을 넘기며 앱스토어 흥행이 가속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국내 간편결제 서비스 제로페이가 중국 1위 카드 사업자 은련(유니온페이·UPI)과 손잡는다는 소식에 제로페이와 복합결제가 가능한 금융플랫폼 ‘머니트리’를 운영중인 갤럭시아머니트리가 시장에서 부각.
- 은행/보험 -
美 국채 금리 상승 영향에 상승.
▷지난밤 뉴욕채권가격이 코로나19 확진자수 급감 및 재정 부양 기대감 등에 하락한 가운데, 美 국채 10년물 수익률은 전일 대비 9.9bp 상승한 연 1.298%를 기록(美 동부시간 오후3시 기준).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선언 직전이던 지난해 2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임.
▷이에 지난밤 美 증시에서 웰스파고(+3.76%), 뱅크오브아메리카(+2.70%), 메트라이프(+0.61%) 등 은행/보험 테마들이 강세를 나타냈음.
▷이 같은 소식에 금일 하나금융지주, 제주은행, 한화생명, 동양생명, 삼성생명, 한화손해보험 등 은행/보험 테마가 상승.
- 철강 주요종목/철강 중소형 -
철강업계 공장 가동률 최대치 및 철광석 가격 인상 지속 전망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철강 수요가 회복되면서 철강업계가 공장 가동률을 최대한 끌어올리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짐. 특히, 포스코는 철강 수요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오는 3월 둘째주 예정됐던 광양제철소 3냉연공장의 보수 일정을 미루기로 한 것으로 알려짐. 또한, 철강 수요가 급등하면서 원료인 철광석 가격도 지난해 1월 90달러 수준에서 지난달 170달러까지 치솟았음. 이와 관련, 시장에서는 철강업계의 풀가동과 가격 인상 흐름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음.
▷아울러 유진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철광석 가격 반등에 대해 규제와 코로나19에 따른 조업 차질 때문이라며 공급이 여전히 타이트할 것이라는 기대가 가격을 지지하고 있다고 설명.
▷이 같은 소식에 포스코강판, 세아베스틸, 현대제철, 제일제강, DSR제강 등 철강 주요종목/철강 중소형 테마가 상승.
- 조림사업 -
美 목재 가격 급등 소식 속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아진 사람들이 주택 개보수를 고민하면서 목재 수요가 크게 늘어나 북미 목재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북미 목재시장 가격 정보를 제공하는 업체 랜덤 랭스가 주간 단위로 발표하는 프레임용 제재목 복합가격(Framing Lumber Composite Price)은 최근 1TBF당 966달러까지 상승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묘목재배 및 조림사업(유실수단지 및 화훼단지의 조성)을 영위하는 성창기업을 100%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는 성창기업지주를 비롯해 선창산업, 이건산업 등 조림사업 테마가 상승.
- 정유/LPG -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美 한파 속 원유생산 차질 우려 등에 13개월래 최고치 기록 등에 상승.
▷전일 외신에 따르면, 기록적인 한파로 북미 최대 정유소중 일부는 문을 닫았고 하루에 300만 배럴 이상의 공급에 차질을 빚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음. 아울러, 최근 이란의 지원을 받는 예멘의 후티 반군이 사우디아라비아 공항을 공격한 뒤 자신들의 소행이라고 공표한 가운데, 금일 예멘 반군이 사우디아라비아 국제공항 쪽으로 띄운 공격용 드론을 사우디군이 격추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는 등 중동지역 지정학적 리스크가 지속되고 있는 점도 국제유가에 상승 요인으로 작용. 이에 지난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3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0.58달러(+0.98%) 상승한 60.05달러에 거래 마감.
▷이 같은 소식에 금일 SK이노베이션, S-Oil, GS, 중앙에너비스 등 정유/LPG 테마가 상승.
※ 혹시 부족하지만 저의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었다면, 단 1초만 투자해 주세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