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상제작입문

뉴미디어전공, 방통대, 연극영화학과 등 영상제작입문 핵심 요점 요약 정리 2. TV 2.0시대의 영상물 제작

728x90
반응형

제 2 강 TV 2.0시대의 영상물 제작


* 학습목표
1. TV 2.0의 개념과 주요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2. 소셜 텔레비전이란 무엇이며 재매개를 통한 TV 진화과정을 이해한다.
3. TV 2.0시대에 디지털 영상콘텐츠의 유형을 알 수 있다.

 

웹 2.0
- ‘참여, 공유, 개방’의 정신을 핵심적으로 표현한 용어

 

TV 2.0 소셜 TV
- 디지털 영상 혁명
모바일, 태블릿 PC와 같은 이동형 장비를 이용한 TV 시청 급증
인터넷을 이용한 새로운 프로그램 시청 문화
매체이용 변화를 통해 탄생한 쌍방향 스마트 TV

 

TV 2.0의 개념과 특성
1. ‘참여, 공유, 개방’의 웹 2.0의 특징이 TV 기술에 반영
2. 양방향, 개인화 및 맞춤화된 TV 서비스
3.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콘텐츠를 선택, 이용할 수 있는 TV 양식
4. 전통적인 TV와는 전혀 다른 미래형 텔레비전
5. 사용자 중심의 콘텐츠와 상호작용이 TV에 적용된 현상
TV 2.0
- 넓은 의미에서 새로운 TV 양식으로 이해
- ‘양방향, 개인화 및 맞춤화된 TV 서비스’(한국소프트에어진흥원, 2007).
- 기존의 일방향식 텔레비전 양식에서 진화된 미래형 텔레비전
- 사용자 중심의 콘텐츠와 상호작용성을 중시하는 인터넷의 특징들이 TV에서도 일어나는 제반 현상
- 초기에는 편성 기능을 시청자들이 나누어 가지는 쪽으로 전개
- 시청자들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방식 추구
- 웹을 플랫폼으로 이용하고 콘텐츠와 서비스 신디케이션을 통한 비즈니스모델을 추구

 

콘텐츠 신디케이션
- 콘텐츠 공급자와 수요자 사이를 연결해주는 사이버 콘텐츠 중개사업
- 콘텐츠 제공업체(CP, Contents Provider)로부터 콘텐츠를 받아 이를 필요로 하는 기업이나 기관(CS, Contents Subscriber)에게
제공하는 콘텐츠 중개 비즈니스
- 롱테일(Long-tail)의 힘을 극대화하는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기존에 제작, 저장된 많은 방송프로그램의 판매를 촉진
- 다양한 뉴미디어들의 등장과 함께 영상콘텐츠의 가치가 커지고, 영상제작에 대한 수요도 증대할 것으로 예상

 

신디케이터
- 콘텐츠를 직접 생산하지는 않지만 우수한 콘텐츠를 수집, 가공해 인터넷 사이트 운영업체에 제공.

 

국내에서의 TV 2.0에 대한 정의
- “참여와 개방, 공유와 소통”을 핵심으로 하는 오픈 플랫폼 형태의 21세게 방송 모델
- 웹 2.0과 미디어 2.0이 변화시킨 사회 환경에 맞춰 시청자가 콘텐츠 제작에 적극 참여하고 소통하는 ‘열린 TV’를 구현

 

오픈 플랫폼
-모든 방송사업자에게 적용되는 미디어의 미래 모습

 

TV 2.0의 패러다임
- 오픈 플랫폼 - 하드웨어가 아닌 콘텐츠
- 열린 광장으로서의 방송 - 지식기반 사회의 걸맞는 방송의 공익개념 재정립
- 다양성과 창의성을 촉진하는 방송 - 오픈 플랫폼 구현 하에 콘텐츠 중심의 열린 광장 형성
- 방송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촉진하는 방송산업으로 진화

 

TV 기술의 현주소
- TV의 변화를 예측하고 있지만 보편화된 서비스라 말하기는 이름

 

TV의 목적
- 일방향적 소통이 목적이기 때문에 웹 2.0과는 다른 양상으로 진행

 

DVR(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CATV, IPTV
- 기존 TV보다 썅방향성 강화
- 수용자 선택권을 넓혀 준다는 측면에서 광의의 TV 2.0 범주에 포함.

 

쌍방향 서비스
- 시청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원하는 시간에 볼 수 있는 시스템 - 2002년 디지털 위성방송의 도입과 함께 서비스 시작
- 2005년 케이블 방송사업자. - 2009년 IPTV 서비스 도입으로 양방향 서비스 활성화

 

쌍방향 서비스 종류
- VOD 서비스와 데이터 방송으로 크게 분류

 

VOD 서비스

TV를 통해 최신영화,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 등 다양한 동영상을 시간과 관계없이 시청

 

 

데이터 방송
- 쇼핑, 노래방, 게임, 교육, 재테크, 스포츠 등을 볼 수 있는 서비스

 

TV의 발전 방향은?
- 스마트폰으로 이용 가능한 서비스가 모두 구현될 것
1. 스마트 플랫폼 : TV를 이용해 인터넷, 유튜브, SNS 등 다양한 서비스 이용
2. 엔스크린(n-Screen) : TV,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동
3. 스마트 홈 네트워크 : 스마트 셋톱박스가 가전제품 간 홈 게이트웨이 역할.

 

TV 2.0은 다른 매체와도 유기적인 소통 가능
국내활동 중인 콘텐츠 신디케이션
1. 언론사들의 뉴스 콘텐츠 중심으로 활동
2. 일반 정보 콘텐츠나 각 분야 전문 정보 중심으로 활동.
3. 수요발생에 따라 콘텐츠 유통 및 구축하는 웹 사이트에 콘텐츠 공급.
그 밖의 콘텐츠 신디케이션
- 게임, 영화, VOD, 애니메이션, 음악과 같은 멀티콘텐츠 분야
소셜미디어(Social Media)
- 사람들 간의 의견, 생각, 경험, 관점 등을 공유하기 위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의 온라인 플랫폼
- 소셜 미디어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인기가 가져온 소셜 TV의 활성화.
소셜 텔레비전의 장점
- TV를 보면서 내 의견을 표출할 수 있는 특징
세컨드 TV(second TV)
- TV를 시청 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가 TV와 자동으로 연계돼 즉석에서 연락할 수 있도록 한 것.
- TV 화면을 가리는 단점, TV를 보면서 세컨드 스크린을 이용해 커뮤니케이션 하도록 하는것이 진화 방향

 

재매계란 무엇인가?
소셜 텔레비전의 탄생
- 인터넷의 네트워크 기능과 양방향성의 웹 특성을 TV 기술에 적용 가능했기 때문
미디어 재매개
- 하나의 미디어의 특성을 다른 미디어에 차용하거나 적용해 수정하는 양식
재매개
- 특정한 미디어가 다른 미디어의 테크놀로지나 표현양식, 사회적 관심을 차용하거나 개선 혹은 개조해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내는 미디어
논리(Bolter와 Grusin, 1999).
재매개의 예
- CD-ROM으로 된 회화나 사진, 문학텍스트 모음은 디지털 매체가 기존매체를 재매개한 것.
지상파 텔레비전의 대응방법
- 디지털 미디어의 테크놀로지와 표현양식, 사회적 관심을 차용해 컴퓨터 제어 미디어와 통합, 수렴
디지털 미디어
- 기존미디어의 속성을 유지하고 기술적인 측면에서 기존의 형식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책, 잡지, 영화, 텔레비전에 나오는 텍스트나 이미지를 재조직.
- 원천(source)미디어와 대상 미디어 모두를 부각, 기존미디어를 완전히 흡수해 재매개

 

미디어 간의 차용현상
- 인터넷 테크놀로지, 표현양식, 사화적 관심을 차용하고 텔레비전에 맞게 개조해 새로운 콘텐츠 생산
재매개의 예
- 방송 프로그램 제작에 UCC 활용 사례
- 콘텐츠 교환 및 미디어 이용자 간의 상호교류
TV 2.0의 목표
- 편성뿐 아니라 제작까지 일반 시청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오픈 TV 플랫폼 구현
오픈 플랫폼
- 모든 이용자가 자신이 만든 콘텐츠를 올리고 자유롭게 의견을 남길 수 있는 시스템
개방형, 참여형 텔레비전 플랫폼
- 제작과 편성, 광고의 역할을 사용자에게 개방, 방송을 함께 만드는 새로운 창조산업으로 변화
지상파 텔레비전의 시청 경로
- 인터넷 TV, P2P, HDTV, IPTV, Streaming Video, 휴대폰 TV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한 시청
인터넷 TV
- 케이블, 위성, 지상파 전송방식을 앞서 가고 있으며 거의 무한대의 프로그램을 제공
- 방송사의 프로그램 다운로드로 인한 수익성 보장
디지털 콘텐츠의 활용
- 동영상 지식 UCC 활용 - TV 취재물을 지식 콘텐츠로 활용
RMC(Ready Made Contents, 기성 제작 콘텐츠)
- 전문가들이 제작하는 동영상 콘텐츠 - 대중의 주목을 끌어들여 수익창출에 기여
TV 2.0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의 과제
- TV 콘텐츠 사용의 저작권문제 선결
- 콘텐츠 개방과 수익창출을 위한 활용방안 벤치마킹
디지털 TV 2.0 패러다임 전환 배경
- 시청자들의 다중 접근 허용으로 TV 소비 증가
- 방송채널의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 제고
- 동일 채널 시청자간의 네트워킹을 통한 콘텐츠 공유
- 쌍방향 부가서비스 구현으로 네트워크를 통한 수평적 커뮤니케이션 증대
TV 2.0 발전가능성의 예
- T-commerce, 원격교육, 홈뱅킹과 홈쇼핑, 인터넷 검색 등 쌍방향 부가서비스 구현
소셜 TV로의 진화
- 전통적 TV개념을 개인형, 사회성 미디어로 변화 - 자신에게 맞는 방송, 동영상 프로그램편성 시도

국가별 사용자 제작 콘텐츠 : 한국 - UCC, 미국 - UGC, 일본 - CGM
CGM(Cpnsumer Generated Media)
- 소비자 제작 미디어(일본)
CNN의 ‘Report’ - 온라인 시민 저널리즘(미국 UGC)
한국의 UCC - 인터넷 스타, 사회적 이슈를 배출하는 ‘촉매제’

 

소셜 미디어의 등장
- 소셜 텔레비전이 향후 TV 시청형태에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