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수요공급과 정부정책
<단원의 주안점>
가격상한(price ceilings)과 가격하한(price floors)은
무엇인가? 각각의 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가격상한과 가격하한은 시장의 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조세(tax)는 시장의 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조세가 부과되는 대상(구매자 또는 판매자)에 따라,
그 영향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조세의 귀착이란 무엇인가?
그 결정요인은 무엇인가?
* 민간 시장의 성과를 변화시키는 정부정책
가격통제
가격상한(price ceiling): 재화나 서비스의 법정
최고가격 (예, 임대료 통제)
가격하한(price floor): 재화나 서비스의 법정
최저가격 (예, 최저임금)
조세(taxes)
정부는 구매자나 판매자에게 각 구매단위 또는
판매단위에 대해 특정 금액을 지불하도록 할 수 있음
우리는 수요/공급 모형을 사용하여 각각의 정책이 시장의
성과(구매자가 지불하는 가격, 판매자가 받는 가격,
균형거래량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볼 것임
* 물량부족과 할당
물량부족이 발생하게 되면, 판매자는 재화를
구매자들에게 할당(ration)해야 함
할당 메커니즘: (1) 줄 세우기(long lines)
(2) 판매자의 편의(biases)에 따른 차별
이러한 메커니즘들은 종종 불공정하고 비효율적임:
어떤 재화의 가치를 최고로 평가하는 구매자가 반드시
그 재화를 갖는다는 보장이 없음
대조적으로, 가격이 통제되지 않는다면 할당
메커니즘은 효율적이고(재화는 그 가치를 가장 가치
있게 여기는 구매자들에게 돌아감), 공정함
* 가격통제의 평가
1장에서 배운 10대 기본원리 가운데 하나는:
일반적으로 시장은 경제활동을 조직하기
위한 좋은 수단이다.
가격은 사회의 자원배분을 안내하는 신호의 역할을 함
그러나 정책입안자가 가격을 통제함에 따라
자원배분에 변화가 일어나게 됨
가격통제는 종종 가난한 사람들을 돕기 위해
도입되지만, 도움이 되기보다는 오히려 해를 끼치게 되는 경우도 있음.
* 조세(taxes)
정부는 국방, 공립학교 등에 지출할 수입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재화와 서비스에 대해 세금을 부과
정부는 소비자 또는 판매자가 세금을 내도록 할 수
있음
세금은 재화가격의 % 또는 각 판매단위 당 특정
금액으로 부과될 수 있음
논의의 단순화를 위해, 이하에서는 단위 당 조세에
대해서만 분석하기로 함
* 소비자에 대한 조세 부과
소비자에 대한 과세는
수요곡선을 조세액 만큼
아래로 이동시킴
소비자들이 이전과 같은
수량을 구매하게 하려면
시장가격을 $1.5 내려야
함 이 예에서 시장가격이
$10.0에서 $8.5로
떨어진다면, 소비자들은
여전히 피자 500판을
사고자 할 것임
새로운 균형:
Q = 450
판매자가 받는
가격:
PS = $9.5
소비자가
지불하는 가격:
PB = $11.0
그 차이= $1.5 = 조세
조세의 귀착(incidence)
조세의 부담이 시장참여자들 간에 어떻게
배분되는가?
* 판매자에 대한 조세 부과
결과는 두 경우에 대해 같음!
조세가 누구에게 부과되든, 균형가격과 거래량에 대한
영향, 그리고 조세의 귀착은 같음
* 탄력성과 조세의 귀착
* 사건연구: 사치세는 누가 부담하는가?
1990년 미국의회는 요트, 자가용 비행기, 모피,
고급 승용차 등에 대해 사치세(luxury tax)를 도입
사치세의 목적: 지불 능력이 가장 좋은
사람들(부유한 소비자)로부터 조세수입을 증대할
목적
그러나, 누가 과연 이 세금을 부담하는가?
* 결론: 정부정책과 자원배분
정부정책은 사회의 자원배분에 영향을 미침
예 1: 피자에 대한 과세는 균형거래량을 감소시킴.
피자 생산량이 감소하는 것과 함께, 자원(노동자,
오븐, 치즈 등)은 다른 산업에 활용될 수 있음
예 2: 법적 구속력이 있는 최저임금은 10대
노동자들의 공급과잉(=실업), 즉 자원의 낭비를
초래
따라서, 정책입안자들은 이런 정책들을 매우 신중히
적용할 필요가 있음
<<6장 요약정리>>
가격상한은 재화/서비스의 가격에 대한 법적 최고치.
한 예로, 임대료 통제를 들 수 있음. 만약 가격상한이
균형가격 아래에 설정된다면, 그것은 법적 구속력이
있게 되고 물량부족을 야기
가격하한은 재화/서비스의 가격에 대한 법적 최저치.
한 예로, 최저임금을 들 수 있음. 만약 가격하한이
균형가격 위에 설정된다면, 그것은 법적 구속력이
있게 되고 공급과잉을 초래. 최저임금에 의해
야기되는 노동의 공급과잉은 바로 실업임
재화에 대한 과세는 소비자가 지불하는 가격과
판매자가 수취하는 가격 간에 간극(gap)을 만들고,
조세가 소비자에게 부과되든 판매자에게 부과되든,
균형거래량을 감소시킴
조세의 귀착은 소비자와 판매자 간에 조세부담을
나누는 것이며, 조세가 부과되는 대상(소비자 또는
판매자)과는 무관하게 결정됨
조세의 귀착은 다름이 아닌 수요와 공급의
가격탄력성에 의존
'경제학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학과, 경제 관련 시험대비! 맨큐의 경제학, 경제학원론 핵심 요점 요약정리 7. 소비자, 생산자, 그리고 시장의효율성 2 (0) | 2021.11.01 |
---|---|
경제학과, 경제 관련 시험대비! 맨큐의 경제학, 경제학원론 핵심 요점 요약정리 7. 소비자, 생산자, 그리고 시장의효율성 (1) | 2021.10.31 |
경제학과, 경제 관련 시험대비! 맨큐의 경제학, 경제학원론 핵심 요약 요점 정리 5. 탄력성과 그 응용 (2) | 2021.10.29 |
경제학과, 경제 관련 시험대비! 맨큐의 경제학, 경제학원론 핵심 요약 요점 정리 4. 시장의 수요와 공급 (0) | 2021.10.28 |
경제학과, 경제 관련 시험대비! 경제학원론 핵심 요약 요점 정리 3. 상호의존관계와 교역의 이득 (2) | 2021.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