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학원론

경제학과, 경제 관련 시험대비! 맨큐의 경제학, 경제학원론 핵심 요점 요약정리 7. 소비자, 생산자, 그리고 시장의효율성 2

728x90
반응형

* 비용과 공급곡선

 비용(cost)은 판매자가 어떤 재화를 생산하기 위해
포기해야 하는 모든 것의 가치(즉, 기회비용)
 그 재화를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모든 자원의 비용
뿐만 아니라 판매자의 시간의 가치를 포함
 예: 세차 사업에 종사하는 세 판매자의 비용

이름 비용
Jack $10
Janet 20
Chrissy 35

판매자는 가격이 그의 비용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해당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여 판매하고자
할 것임
따라서, 비용은
판매용의
(willingness to sell)의 척도


 

생산자잉여(PS)

* 생산자잉여(PS)와 공급곡선

* 수많은 판매자와 부드러운 공급곡선 하의 PS

 

 

가격하락은 어떻게 PS를 감소시키는가?

CS, PS, 그리고 총잉여
CS = (소비자가 누리는 가치) (소비자가 지불한 금액)
= 시장에 참여함으로써 소비자가 얻는 이득
PS = (판매자가 받은 금액)
(판매자의 비용)
= 시장에 참여함으로써 판매자가 얻는 이득
총잉여(total surplus) = CS + PS
= 시장 거래로부터 발생한 총이득
= (소비자가 누리는 가치)
(판매자의 비용)

 

 

시장에 의한 자원의 배분
시장경제에서 자원의 배분은 분산되며, 자신들의
이익만을 쫓는 수많은 소비자와 판매자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됨
시장에 의한 자원배분은 바람직한가? 아니면, 다른
자원배분 방식이 사회후생을 더욱 증진시키는가?
총잉여의 개념을 사용하여 사회후생(well-being)을
측정하고, 시장에 의한 자원배분이 효율적(efficient)
인지를 검토
(우리의 초점은
효율성이지만, 정책입안자들은
형평성에도 관심을 기울임)

 

효율성(Efficiency)

총잉여 = (소비자가 누리는 가치) – (판매자의 비용)

총잉여가 극대화될 때 자원배분은 효율적(efficient)이며,
효율성은 다음을 의미:
재화는 그것을 가장 가치있게 여기는 소비자에
의해 소비됨
재화는 가장 낮은 생산비용을 가진 생산자에 의해
생산됨
재화의 수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더라도
총잉여는 증가하지 않음

 

시장균형의 평가

어떤 소비자가 재화를 소비하는가?

어떤 판매자가 재화를 생산하는가?

균형거래량은 총 잉여를 극대화하는가?

Adam Smith와 보이지 않는 손

“각 개인은 … 공공의 이익을 증진시킬 의도도 없고,
사실 그가 공공의 이익을 얼마만큼 증진시키고 있는지
조차도 알지 못한다 ….
각 개인은 자신의 이익에만 관심을 둔다. 그러나 다른
많은 경우들에서처럼, 그 과정에서 보이지 않는 손에
이끌려 특정 목적을 추구하게 되며, 이것은 그가 결코
의도했던 바는 아니다.
의도하지 않았다고 해서 그것이 사회를 위해 반드시 나쁜
것만은 아닐 터이다.
자신만의 이익을 추구함으로써 그가
정말 하고자 했을 때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사회의 이익을
증진시키는 경우가 많다
.”

 

자유시장 vs. 정부 간섭
시장균형은 효율적임. 다른 어떤 결과물도 더
높은 총잉여를 달성할 수 없음
정부는 시장의 자원배분을 변화시켜 총잉여를
증가시킬 수 없음
Laissez faire (프랑스어, “내버려 둬라”=
자유방임주의):
정부는 시장에 간섭하지 않아야 한다는 생각

 

자유시장 vs. 중앙계획

자원이 시장에 의해 배분되지 않고 사회후생을
담당하는 중앙계획자에 의해 배분된다고
가정해보자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여 총잉여를
극대화하려면, 그 계획자는 한 경제 내에 있는
각각의 재화에 대해 모든 판매자의 비용과 모든
소비자의 지불용의(WTP)를 알 필요가 있음
이 것은 불가능하며, 중앙계획경제가 결코
효율적이지 못한 이유임

 

결론
이 장에서는 후생경제학을 사용하여 10대
기본원리 가운데 하나를 설명함:
일반적으로 시장은 경제활동을
조직하기 위한 좋은 수단이다.
중요한 노트:
이러한 교훈은
완전경쟁시장의 가정으로부터
유도되었음
다른 조건하에서 시장은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지 못할 수도 있음 (다음 장 이후의 내용)

 

그러한 시장실패는 다음의 경우에 발생:
소비자나 판매자가 시장지배력(market power:
시장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능력)을 갖는 경우
거래가 제3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외부효과(externalities)의 부작용을 갖는 경우
(예: 자동차로 인한 환경오염)
후생경제학은 그 경우 정부의 공공정책이 시장의
성과를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를 다룸
시장실패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이 장에서의
분석은 많은 시장에 적용되며, 보이지 않는 손은
여전히 매우 중요함

 

<요약정리>

수요곡선의 높이는 소비자가 평가하는 재화의
가치(= 지불용의)를 반영
소비자잉여는 한 재화에 대해 소비자가
지불하고자 하는 것과 실제 지불한 것의 차이
그래프 상에서, 소비자잉여는 가격수준과
수요곡선 사이의 면적으로 나타낼 수 있음

공급곡선의 높이는 판매자의 생산비용을 나타냄.
판매자들은 수취 가격이 적어도 그들의
생산비용만큼은 될 때 팔고자 함
생산자잉여는 한 재화에 대해 판매자가 받는
것과 그것을 생산하는데 들어간 비용의 차이
그래프 상에서 생산자잉여는 가격수준과
공급곡선 사이의 면적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