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장 비전의 리더십
4.1 리더의 새로운 동기부여방식
- 캔터교수 다섯 가지의 동기부여기법: 미션, 의제의 통제권 부여, 가치창출의 공유, 학습, 명성
- 잭 웰치의 경영자가 가져야할 네 가지 E
에너지(Energy), 격려(Energize), 결단력(Edge), 실행(Execute)
- 효과적인 리더가 보유한 감성적 지능 다섯 가지(골맨)
자아인식, 자아통제, 감성 충만, 동기부여, 사회적 기술
4.2 리더십 연구의 흐름 특질론 → 개인행동론 → 상황이론 → 변혁적 리더십
4.2.1 특질론
- 효과적인 리더가 지니고 있는 특성을 확인하는데 초점을 둔 이론
4.2.2 개인행동론
• 리더의 유효성은 리더의 행동적 특성에 의해 결정된다는 가정
• 블레이크와 모튼의 관리격자도 이론
- 오랜 기간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으로 실무자들 사이에 인기를 누려 왔다. 이 프로그램은 구조 주도와 배려 대신에 ‘생산에 대한 관심과 인간에 대한 관심’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각 차원 을 9등분하여 주요 5개 부분에 재미있는 명칭을 붙였다.
(그림4-1) 블레이크와 관리격자도: 이상형(9,9), 현실적(7,7형)

4.2.3 상황이론
1. 피들러 이론
- 리더의 유효성은 리더 자신의 행동, 부하의 행동 및 리더십이 수행되는 상황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결정된다는 이론
- 컨틴전시 리더십 모델: ‘리더십 스타일 → 상황의 호의성 정도 → 집단의 성과’가 복합적으로 작 용하여 결정된다는 이론
(1) LPC 척도를 사용: LPC 점수가 낮다면 과업 지향적 리더, 높으면 관계 지향적 리더로 해석
(2) 상황의 호의성 정도를 결정하는 요인
① 리더-부하 간의 관계
② 과업의 구조
③ 리더의 지위⋅권력
- 가장 호의적인 상황: 리더-부하 관계가 좋고, 과업의 구조화 정도가 높으며, 리더의 지위, 권력 이 강한 경우
(3) LPC의 상황과 성과 간의 관계
- 과업지향적 리더는 상황의 호의성이 낮거나 높을때 성과가 높다.
- 관계지향적 리더는 상왕의 호의성이 중간 정도일때 성과가 높다.
2. 경로-목표모델
• 리더의 유효성은 부하의 동기유발, 성과달성능력 및 만족에 적극적으로 영향을 미침으로써 가능 하다는 데 가정을 둔 이론
• 리더십 스타일
① 지시형 리더
- 외적통제자는 지시형 스타일을 더 좋아한다.
- 자기 자신을 유능하다고 지각하고 있는 부하는 지시형 스타일을 좋게 생각 않는다.
② 지원형 리더
- 부하에게 많은 관심을 보이고 온정적으로 대하는 스타일.
③ 참여형 리더
- 의사결정을 할 때 부하의 자문을 구하고, 부하의 제안이나 아이디어를 고려하는 스타일.
- 내적통제자는 만족도가 높다.
④ 성취지향성 리더: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부하의 성과에 대해 높은 기대, 끊임없이 성과향 상을 추구
3. 허쉬-블랜차드의 리더십 상황이론
- 부하의 성숙수준을 강조하는 이론으로 현장관리자들에게 인기가 있는 이론
- ① 지시형, ② 설득형, ③ 참여형, ④ 위임형.
- ‘인생주기의 리더십’이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4. 상호작용이론: 리더는 부하들 모두에 대하여 일관성 있게 행동하지 않는다.
5. 변혁적 리더와 거래적 리더
구분 | 거래적 리더십 | 변혁적 리더십 |
현상 | 현상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 | 현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노력 |
목표지향성 | 현상과 너무 괴리되지 않는 목표 설정 | 보통 이상의 높은 이상적인 목표 설정 |
시간 | 단기적 전망, 기본적으로 가시적인 보상으로 동기부여 | 장기적인 전망, 부하들에게 장기적 목표를 위해 노력하도록 동기부여 |
동기부여전략 | 부하들에게 즉각적이고 가시적인 보상으로 동기부여 | 부하들에게 자아실현과 같은 높은 수준의 개인적 목표를 설정하도록 동기부여 |
행위표준 | 부하들은 규칙과 관례를 따르기를 좋아함 | 변혁적이고 새로운 시도에 도전하도록 부하를 격려함 |
문제해결 | 부하들을 위해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답을 찾을 수 있는 곳을 알려 줌 | 질문을 하여 부하들이 스스로 해결책을 찾도록 격려하거나 함께 일함 |
4.3 리더십개발
- 리더십의 역할과 프로세스에서 효과적이 되도록 개인의 역량을 확대하는 것이다.
- 효과적 리더로 개발하기 위한 세 가지: 자기관리역량, 사회적 역량, 작업촉진역량
- 리더개발이 개인적인 개발인 데 반해, 리더십 개발은 조직의 역량을 확대하는 것을 말한다.
'경영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학과, 방통대 등 엑기스만 뽑은 경영학개론 핵심 요점 요약 정리 6. 개인행동의 관리 (0) | 2022.06.10 |
---|---|
경영학과, 방통대 등 엑기스만 뽑은 경영학개론 핵심 요점 요약 정리 5. 계획과 통제 (0) | 2022.06.09 |
경영학과, 방통대 등 엑기스만 뽑은 경영학개론 핵심 요점 요약 정리 3. 지속가능경영 (0) | 2022.06.07 |
경영학과, 방통대 등 엑기스만 뽑은 경영학개론 핵심 요점 요약 정리 2. 경영학의 이해 (0) | 2022.06.06 |
경영학과, 방통대 등 엑기스만 뽑은 경영학개론 핵심 요점 요약 정리 1. 경영의 이해 (0) | 2022.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