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19세기 말 1
■ 사회문화적 배경
• 1870~1900, 과학기술의 발달로 물질적 풍요, 여성복식의 변혁에 기틀을 제공
• 현대사회의 기틀이 마련됨
• 자본주의의 발전과 제국주의의 팽창
• 인상주의 회화
• 미술공예운동의 확산과 아르누보 디자인의 시작
v ‘새로운 예술’을 뜻하는 아르누보(Art Nouvea u)는 1890~1910년 사이 유럽 각지와 미국, 남미에
이르기까지 국제적으로 유행한 양식임

• 아르누보 디자인의 시작
v ‘새로운 예술’을 뜻하는 아르누보(Art Nouvea u)는 1890~1910년 사이 유럽 각지와 미국, 남미에
이르기까지 국제적으로 유행한 양식임

• 의복의 종류와 형태 – 현대적인 남성 수트와 근대적인 여성 드레스


• 1870년대 – 크리놀린 스커트의 부피가 뒤로 옮겨 가 버슬 실루엣을 형성

• 1880년대 후반 – 버슬의 부피는 최고로 과장되었다가 점차 사라짐

• 1890년대 후반 – 아우어 글라스 실루엣, S-실루엣으로 변화
v 아우어 글라스 실루엣 : 일명 모래시계 라인. 웨이스트 라인을 가늘게 조이고 그 윗부분과 아랫부분을
부풀게 하여 윤곽이 마치 모래시계 모양과 비슷한 데서 이렇게 불려짐



• 새틴과 가죽으로 만든 코르셋(1883)
v 코르셋 : 체형을 날씬하게 만들기 위한 옷으로 가슴에서 히프 위까지를 꼭 조이기 위해 옆주름. 살을 안
내는 대신 고래뼈나 철사를 넣어 만든 것

• 면, 금속 버스크, 본으로 만든 코르셋(1868~1873)
v 버스크 : 고래뼈 또는 강철로 만든 코르셋의 가슴을 버티는 살대를 말함

• 봉제선이 없는 코르셋(1893) – 54개의 살대를 사용

• 부드럽게 흐르는 아르누보 곡선의 이미지가 강조된 산책 의상(1899)
v ‘새로운 예술’을 뜻하는 아르누보(Art Nouvea u)는 1890~1910년 사이 유럽 각지와 미국, 남미에
이르기까지 국제적으로 유행한 양식임

■ 복식미
• 절제된 남성복과 화려하게 과장된 여성복
• 수트를 입은 능력있는 남성과 화려한 드레스를 입은 아름다운 여성
• 숙녀인 척하는 정숙성과 에로티시즘
• 반유행 복식운동 – 이성주의 복식운동, 유미주의 복식운동
v 에로티시즘 : 육체적인 애욕에 얽매이는 지나친 기호, 혹은 작품의 관능적인 정욕을 유발하는 성질


• 1881, A Priva te view a t the Roya l Ac a d em y

<요약정리>
■ 19세기 말의 복식문화
1. 사회문화적 배경
• 과학기술의 발달로 물질적 풍요
• 여성 복식의 변혁에 기틀 제공
• 현대사회의 기틀이 마련됨
• 자본주의의 발전 = 제국주의 팽창
• 과학기술 발달 =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인상주의와 아르누보
'복식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복식과학과, 복식전공, 의상학과 필수~ 복식문화 요점 정리 26. 현대 복식-20세기 1 (25) | 2023.04.08 |
---|---|
한국복식과학과, 복식전공, 의상학과 필수~ 복식문화 요점 정리 25. 19세기 말 2 (27) | 2023.04.07 |
한국복식과학과, 복식전공, 의상학과 필수~ 복식문화 요점 정리 23. 낭만주의 2 (43) | 2023.04.06 |
한국복식과학과, 복식전공, 의상학과 필수~ 복식문화 요점 정리 22. 낭만주의 1 (26) | 2023.04.06 |
한국복식과학과, 복식전공, 의상학과 필수~ 복식문화 요점 정리 21. 프랑스 혁명 시대 2 (33) | 2023.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