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unafb/btq0egXiBCp/uGC2I6dqV0hKWDdvWia4X1/img.jpg)
- 국내주식 테마시황 -
▷ 증시가 美 국채 금리 하락 속 美 증시 훈풍 영향 등에 상승한 가운데, 대부분의 테마가 상승. 반도체 Super Cycle 지속 전망 및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급등에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따른 경기 정상화 기대감 등에 화장품/패션/의류 등 소비 관련주가 상승했으며, 코로나19 백신 보급에 따른 항공업황 회복 기대감 등에 항공/저가 항공사 테마도 상승. 삼성전자, 캐나다 이통사 사스크텔에 5G·4G 장비 단독 공급 소식에 5G/통신장비 테마가 상승했고, 코로나19 장기화 속 콘텐츠 제작사 이익 사이클 진입 기대감 등에 영상콘텐츠 테마도 상승. 국내 태양광 Value Chain 기업 주가 강세 분석 등에 태양광에너지 테마가 상승했으며, 中 10년래 최악 황사 국내 영향 소식에 황사/미세먼지/공기청정기/마스크 테마도 상승. 아마존, 미국 내 전체 직원에 원격의료 제공 예정 소식 속 U-Healthcare(원격의료) 테마도 상승했으며, 美/中 디지털화폐 경쟁 본격화 소식 등에 일부 화폐/금융자동화기기 테마도 상승.
▷이 외 자전거, 구충제(펜벤다졸 등), 코로나19(렘데시비르), 아스콘, 창투사,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4이동통신, 코로나19(카모스타트), 전자결제, LPG, 코로나19(나파모스타트), 바이오시밀러 테마 등이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폭스바겐 각형 배터리 확대 소식 속 국내 배터리社 점유율 하락 우려 등에 LG화학, SK이노베이션이 약세를 보이는 등 2차전지(생산) 테마가 하락했으며, 일부 2차전지/전기차 테마도 부진한 모습. 이 외 희귀금속(희토류 등), 정유, 코로나19(음압병실/음압구급차), 생명보험, 시멘트/레미콘, 비료 테마 등이 하락률 상위를 기록.
- 반도체 관련주 -
반도체 Super Cycle 지속 전망 및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급등에 상승.
▷SK증권은 최근 차량용 반도체 위주의 공급 부족이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반도체 공급 부족은 산업의 변화로 초래된 것이라며 반도체 Super Cycle의 모멘텀은 중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으로 전망. 향후 로봇과 드론 등 모든 미래의 주력 산업에서 반도체 수요가 급증할 것이며, 현재 파운드리 공급 부족만 주목하고 있으나, 향후 첨단 제조업과 메모리 반도체 생산 라인 유치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
▷한편, 전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경기 회복 기대감 및 국채 수익률 하락 등에 상승 마감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66.96(+2.26%) 급등한 3,032.05를 기록.
▷이 같은 소식 속 SK하이닉스, 티씨케이, 원익IPS, 원익QNC, 리노공업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세를 기록.
- 5G(5세대 이동통신)/통신장비 -
삼성전자, 캐나다 이통사 사스크텔에 5G·4G 장비 단독 공급 소식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캐나다 이동통신사업자 사스크텔(SaskTel)에 5G와 4G LTE 이동통신 기지국, 가상화 코어 장비를 단독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알려짐. 이번에 삼성전자는 사스크텔에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5G·4G 기지국(Radio Unit)과 다중입출력 기지국(Massive MIMO), 가상화 코어용 소프트웨어, 유지보수·최적화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사스크텔과 삼성전자는 2022년 5G 비단독(NSA, Non Standalone) 서비스를 우선 상용 개통한 후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통해 5G 단독(SA, Standalone)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에치에프알, 기가레인, 쏠리드, 다산네트웍스, 에이스테크 등 5G(5세대 이동통신)/통신장비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화장품/패션/의류 -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따른 경기 정상화 기대감 등에 상승.
▷한화투자증권은 화장품/의류 산업에 대해 지난해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의류와 화장품 소비가 위축되었으나, 백신 접종을 시작으로 점진적으로 경기가 정상화됨에 따라 화장품과 의류 소비도 회복의 모습을 보일 것으로 전망.
▷아울러, 코로나19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기업들은 다양한 전략을 펼쳤으며 그 중 중국 현지 시장의 확장, 이커머스 채널 확장 및 오프라인 채널의 효율화, 추가적인 사업 확장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고 밝힘.
▷이 같은 분석 속에 클리오, 한국콜마홀딩스, 잇츠한불 등 화장품 테마가 상승했으며, 한세실업, 한섬, 신성통상 등 패션/의류 테마도 상승세를 기록.
- 항공/저가 항공사(LCC) -
코로나19 백신 보급에 따른 항공업황 회복 기대감 등에 상승.
▷최근 미국과 영국 등 전 세계에서 코로나19 백신 보급이 이루어지면서 항공주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백신 여권에 대한 논의가 빠르게 이루어지면서 6월부터 여행 활동이 재개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음.
▷한편, 美 교통안전청(TSA)에 따르면, 지난 주말 미국 내 공항의 TSA 검색대를 통과한 항공여객 수는 약 257만명을 기록했으며 현지시간 12일에는 136만명을 기록해 지난해 코로나19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봉쇄조처를 시작한 3월15일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짐. 지난밤 뉴욕증시에서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유나이티드 컨티넨탈 홀딩스, 델타항공, 사우스웨스트 항공 등 항공주들이 상승세를 기록.
▷이 같은 소식에 에어부산, 제주항공, 진에어, 대한항공 등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영상콘텐츠 -
코로나19 장기화 속 콘텐츠 제작사 이익 사이클 진입 기대감 등에 상승.
▷이베스트투자증권은 코로나19가 장기화 되면서 Netflix, Disney+, Apple TV+ 등 글로벌 SVOD 업체의 활발한 해외 진출 및 콘텐츠 투자 금액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힘. 이에 국내 콘텐츠 제작사는 기존 대기업 계열 규모의 제작사뿐만 아니라, 중소형 제작사들에게 기회로 작용하며 전례 없는 이익 사이클에 진입할 것으로 기대되는 시점이라고 분석.
▷아울러 2021년은 콘텐츠 제작사 구조 변화의 원년으로 글로벌 자본을 위시한 콘텐츠 제작은 중소형 제작사들에게 양질의 콘텐츠 제작과 마진 확보가 가능한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중국의 해외 콘텐츠 수용 폭이 넓어지고 있는 기조는 한류 스타 출연작 중심으로 해외 판권 수출도 기대해 볼 만하다고 설명.
▷이 같은 소식에 키이스트, 삼화네트웍스, 에이스토리 등 영상콘텐츠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태양광에너지 -
국내 태양광 Value Chain 기업 주가 강세 분석 등에 상승.
▷현대차증권은 국내 태양광 Value Chain 기업들의 주가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 폴리실리콘 수급이 타이트한 가운데, 재고도 1주일 이내로 타이트한 상황이라며 타이트한 폴리실리콘 시황은 적어도 2022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 아울러, 태양광 Glass 가격 안정화 및 Wafer 가격 안정화로 모듈 수익성은 올해 2분기부터 개선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또한, 미국 상장 태양광 ETF인 Invesco Solar ETF가 추종하는 MAC Solar ETF에서 3월19일부터 국내 태양광 기업인 한화솔루션과 신성이엔지를 편입하기로 결정했다며, 수급 측면에서 긍정적일 것으로 전망.
▷이 같은 분석 속에 나노신소재, 대주전자재료, 유니테스트, OCI, 한화솔루션 등 태양광에너지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황사/미세먼지/공기청정기/마스크 -
中 10년래 최악 황사 국내 영향 소식에 상승.
▷기상청은 지난 14~15일 중국 내몽골고원과 고비사막 부근에서 발원한 황사가 북풍을 타고 남하하면서 이날 우리나라 전국에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밝힘. 전일 중국 기상대는 베이징을 포함한 북방 12개 성/직할시에 황사경보를 발령했으며, 이번 황사가 최근 10년간 중국에서 일어난 황사 중 가장 강하고 범위도 넓다고 밝힌 바 있음.
▷이 같은 소식에 위니아딤채, 하츠, 유테크, 웰크론 등 황사/미세먼지/공기청정기/마스크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U-Healthcare(원격진료) -
아마존, 미국 내 전체 직원에 원격의료 제공 예정 소식 속 상승.
▷지난 13일(현지시간) 일부 언론에 따르면, 아마존은 자사 원격의료 서비스인 ‘아마존 케어(Amazon Care)’를 곧 미국 내 전체 직원들에게 제공할 예정으로 알려짐. 현재 아마존 케어는 워싱턴주 내 아마존 직원들만 사용 가능한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에 비트컴퓨터, 파마리서치프로덕트, 유비케어 등 U-Healthcare(원격진료)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
美/中 디지털화폐 경쟁 본격화 소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본격화하는 가운데,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화폐(CBDC)를 놓고도 양국 간 경쟁이 뜨거워질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특히, 중국 인민은행이 디지털 위안화 시범사업을 확대하면서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관망하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도 CBDC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한편, 인도가 가상화폐의 거래는 물론 보유도 불법화하는 법안을 추진하고, 인도중앙은행(RBI)이 발행하는 공식 디지털 화폐를 마련할 예정이라는 소식도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로지시스, 케이씨티, 한네트 등 일부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혹시 부족하지만 저의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었다면, 단 1초만 투자해 주세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