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학개론

사회복지, 경영학, 사회학 등 사회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27장. 사회변동 일반

728x90
반응형

27장. 사회변동 일반


1. 사회변동의 의미와 원인 및 내용
1) 사회변동의 의미
사회변동이란 「사회」 의 모습이 변하는 현상으로 사회의 정치· 경제 체제나 가치 체계 등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
체적으로 변하는 과정이다. 이때 사회는 분석적 차원에서 비교적 독립된 정치적 또는 문화적 단위라는 뜻으로 쓰이
고 있다. 그럼 무엇이 변화하는가? 여기서 변화란 사회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이 유형화된 사회제도, 또는 그것이
뚜렷한 형식으로 틀 지어진 체계적 뼈대(즉 사회구조)가 새로운 질서, 새로운 모습으로 대체되어 나가는 것을 일컬
음이다.
사회변동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고대로부터 계속되어 왔다. 자연적인 모든 현상에 물리적 법칙이 존재하는 것처
럼, 사회현상에도 어떤 법칙이 있으리라는 가정 하에, 바로 그 사회의 법칙을 탐구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고대의 지
배적인 사상은 순환론에 기초를 두고 있었다. 움이 트고 자라며 꽃이 피고 열매를 맺은 후 다시 죽어 가는 식물의
생성과정과 같이, 인간사회의 흥망성쇠 또한 반복되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중세 서양에서는 자연의 질서 대신 신의 섭리로 설명하였다. 사회변동을 포함한 모든 것은 신의 뜻에 의하여 결
정된다는 것이다.
근대적 의미에서의 사회변동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에 이르러 진보와 발전에 대한 관념이 대두되면서 부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의 이성에 대한 신뢰에 기초를 둔 진보관념의 대두는, 사회변동이 결코 자연의 이법이나 신의
섭리에 따라 숙명론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바로 사회에 그 원인이 내재해 있음을 밝혀 주었다. 이러한 진
화론적 발상은 곧 그 사회변동의 원리를 찾아내어, 보다 나은 사회질서와 발전을 이루어보고자 하는 학문적 시각
형성에 결정적으로 기여하였던 것이다.


2) 사회변동의 원인과 내용
(1) 사회변동의 원인
① 과학 기술의 발달 : 교통,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
② 생각의 변화 : 사회 구성원들의 신념이나 가치관, 종교의 변화
③ 정부의 정책 : 정부의 정책에 따라 그 사회의 모습이 달라짐
④ 기타 : 기후, 자연 환경, 인구의 변화 등


(2) 사회변동의 내용
① 사회 구조의 변화 : 사회의 도덕, 법률, 제도의 변화
② 가치관의 변화 : 인간의 습관이나 태도, 신앙,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는 방식의 변화


2. 현대사회의 변동 모습
(1) 현대사회 변동의 특징
① 빠른 변동 속도 : 지식과 정보의 양이 급증함
② 광범위한 분야의 변화 : 컴퓨터 및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이 기업과 개인 생활, 행정,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생활 전반에 변화를 가져옴
③ 지구촌의 동시적 변화 : 정보, 교통, 통신 기술의 발달로 가능
④ 기타 : 사이버 공간과 같은 새로운 변화가 나타남

 

(2) 현대 사회의 변동 방향
① 정보화 : 컴퓨터의 발달과 초고속 통신망의 보급 → 지식과 정보를 중시하는 사회
② 개방화 : 한 국가나 사회가 문화를 개방하여 다른 국가나 사회의 물자, 제도 등을 받아들이는 현상
③ 세계화 : 정보화 이후 세계가 마치 하나의 사회처럼 서로 긴밀하게 상호 의존하는 현상
④ 다원화 : 사람들의 생활 모습과 사고방식이 다양해지는 현상


3. 고전적 사회변동이론
고전적 이론으로 대별되는 변동이론들은 시기적으로 보면 대개 19세기까지 한 시대를 지배했던 이론들이다. 그러
나 그 내용에 있어서는 전혀 동질적이라고 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함께 묶어서 가름하는
것은, 단순한 시대적 구분이라기보다, 그들이 공유하고 있는 몇 가지 기본적 특징들 때문이다.
첫째, 그들은 사회변동을 당연하고도 자연스러운 것으로 보았다. 변동은 다음 단계로의 필연적 움직임이라는 것
이다.
둘째, 이러한 변동의 추진력은 바로 사회단위 전체에 내재해 있는 어떤 요인이라고 보았다.
셋째, 따라서 변동은 어떤 단계를 거치면서 지속적으로 일어난다.
넷째, 이상의 전제들에 바탕을 둔 고전이론들의 가장 중요한 공통적 특징은 사회변화의 방향을 거시적 관점에서
아주 일반론적으로 논의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변동의 법칙은 어느 사회에나 적용될 수 있는 제일성을 지니고 있
다고 보아, 사회전체 단위의 그 법칙을 나름대로 제시하였던 것이다.
다섯째, 이들은 변동의 법칙을 도출함에 있어서, 실증적 자료에 근거한 분석보다는, 자신의 일반적 지식이나 경험
을 바탕으로 직관과 사유에 주로 의존하였다.
고전이론들은 다시 순환론과 진화론으로 대별해 볼 수 있다. 전자에 속한 이론들은 주로 문명사에 대한 거시적
접근들로서, 문명의 성장과 쇠퇴를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사회제도나 구조 자체의 변화를 논하지는 않았다. 여기에
는 그리스, 로마시대의 자연론적 사회관과 고대 중국의 주역이나 태극사상까지 포함시킬 수 있다.
보다 체계적으로 이론화시킨 학자들로서는, 대략 3대를 주기로 종족의 흥망이 순환됨을 보여준 Ibn Khaldun, 서구
사회의 몰락을 예고한 Oswald Spengler, 도전과 반응으로 역사를 설명한 Arnold Toynbee, 엘리트순환이론의
Vilfredo Pareto, 감각형 문화와 관념형 문화를 개념화시킨 Pitrim Sorokin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진화론자들은 기본적으로 더 나은 단계를 향하여, 질서있게, 점진적으로 사회변동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여기에
속하는 주요한 이론가들로서는 3단계 법칙을 밝힌 Auguste Comte, 변증법적 진화론의 Karl Marx, 군사형사회에서
산업형사회로의 이행을 주장한 Herbert Spencer, 신분사회에서 계약사회로의 Henry Maine, 공동사회와 이익사회의
Ferdinand T
önnies, 기계적 연대에서 유기적 연대로의 Emile Durkheim, 원초집단의 개념을 밝힘으로서 이차집단으로
의 변화를 암시한 Charles Cooley, 전통적
카리스마적 권위가 합리적관료적 권위로 대체됨을 설명한 Max Weber, 민
속사회에서 도시사회로 나아간다고 본 Robert Redfield, 그리고 신성사회와 세속사회를 구별한 Howard Becker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