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학원론

농업직, 농학과, 농생명 기본과목 농학원론 핵심 요점 정리 5. 농업의 본질

728x90
반응형

5. 농업의 본질 

1 농업의 목적

1) 농업 본래의 목적

인간이 식량 및 기타 생활물자를 얻을 목적으로 생물 및 생명현상을 제어하는 행위

(과학의 법칙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때 => 농업기술)

 

2) 농업의 정의

) 테어 (Thaer)

[“합리적 농업의 원리”]에서 농업을 식물성 및 동물성의 물질을 생산하고 때로는

그 생산물을 가공해서 이익을 올리기 위한 생업이라고 함

(단순히 농업의 개념만을 정리하여 생산과 경제의 2가지 측면을 표현)

a) 어떤 방법으로 농업을 하는지

b) 식물 생산과 동물생산과의 관계

c) 농업과 밀접한 관련 있는 토지에 대한 설명을 간과했음

) 골츠 (Goltz) : 농업생산 방법을 명시함

농업은 토지에 함유되어 있는 것과 토지에 작용하는 자연력을 이용하여 경제적 상품,

특히 식료, 기호품 및 방직공업등 각종 공업원료를 생산하는 생업이다라고 정의

(식물생산과 동물생산과의 관계에 대하여 아직 확실한 정의를 하지 못했다)

) 크라프트 (Kraft)

생산 방법적인 측면에서 농업은 토지 및 공기에 결합되어 있는 물질 및 에너지를 작물과 가축을 사용하여

유지 시켜서 인류의 욕망을 충족시키기에 적합한 것으로 만드는 작업이다라고 정의

) 베일리 (Bailey)

"농업은 토지에서 생산하는 생업이다

자연주의의 입장에서 농업을 작물과 가축의 관계에서 정의

작물은 토지로 부터의 직접생산이고 가축은 토지로 부터의 간접생산이다 라고 정의

) 존슨 (Johnson)

기술과 경제적인 관계를 강조

농업을 인간과 그가 소유한 가축이 생존하기위하여 토지로부터 식물을 얻으려고하는 기술이다

) 제테가스트 (Settegast) 4(축산학) -> 가축 품종개량(개체힘의 이론)

농업은 재의 생산을 위하여 자연의 힘 및 물질에 조작을 가하고 이것을 이용해서

그 생산에 사용한 노력 및 자본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노력하는 생업이다

농업은 최고의 금전적 수입을 얻기 위한 경제행위 라고 규정

) 요코이 (합관율)

농업은 경종, 또는 경종과 양축을 동시에 행하여 금전적 증식을 꾀하는 업이다라고 정의

농업이 경제적 행위임을 강조

) 크리지모스키 (Krzymowski)

농업은 단순한 하나의 영업만이 아니고 동시에 또 하나의 자연현상이다

(인간과 재배식물 및 가축과의 공생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자연의 생명력 전개의 질서와 인간의 목적적인 영위의 질서 두 개의 질서 체계를

엄격히 구분하고 두 개의 질서체계의 공서현상 즉 자연현상으로 농업을 주장한 학자

  

3) 농업의 본질

농업은 유기적 생명체의 경제적 획득을 위한 인간의 합목적적인 영위의 질서 체계인 것이다

@ 유기적 생명체 : 재배식물이나 사육동물

@ 합목적인 영위의 질서 체계 : 생물계적 법칙 속에서 농업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뜻

(참뜻은 자연의 법칙적 질서체계와 인간의 목적적 영위질서가 조화된 공존 공서를 뜻한다)

 

* 가시와 [“농학원론”]

) 농업은 인간의목적적인경영활동의 질서체계(큰원)과 자연의생명력전계의 질서체계(작은원)이다

) 인간의 목적에 따라 자연을 제어함으로써 자연의 생명력도 그 본연의 모습으로 발휘하게된다

) 농업은 인간의 목적적인 영위이며 단순히 존재하고 있는 자연은 아니라고 함

) 농업은 자연의 법칙의 변형을 만들어 내지만 그것은 인간에 대하여 보다 유용한것을 제공한다

 

* 농업발전의 3단계 - 농업이라는 인간의 목적적 영위의 전개와 자연의 생명력 전개의 질서체게와의 관계속에서 농업의 발전 단계

a) 평가하여 채취하는 단계

b) 억제 촉진시켜 변형을 만드는 육성단계

c) 생명력 전개과정이 형성되는 장의형성단계

 

2 유기적 생명체의 획득 단계

1) 채취와 포획 : 이동채취 => 유목 => 화전

 

2) 육 성 : 재배와 사육 => 품종의 개량 => 종합계획적인 조합의 육성

 

3) 장의 형성 : 예비적 정비(토지면의 정돈, 정비)=> 장치와 시설(터널재배, 멀칭)

=> 자연의 작출(간척, 개간, 댐건설, TVA)로 발전하였다 (토지 및 환경개선의 기반조성)

 

3 가치의 실현

(농업의 최종 목표는 가치실현을 위한 최종 발전단계에서 배려하여야 할 투자는

토지형성적 장의 영구 투자이다)

1) 가치인정을 위한 평가이다

 

2) 투입과 산출에 관한 경영 계산적 배려이다

 

3) 투자 채산이라는 의미의 배려이다

투입산출이라는 계획적인고려가 장기간에 걸쳐이루어지는경우 투자 채산이라는 의미의 배려가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