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경제학자처럼 생각하는 법
* 과학자로서의 경제학자
경제학자들의 두 가지 역할:
1. 과학자: 현실을 설명하려 함
2. 정책조언자(policy advisors): 현실을 개선하려 함
물리학자들이나 생물학자들처럼, 경제학자들도
과학적 방법론(scientific method)을 사용함
과학적 방법론: 세상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관찰을 통해 이론을 개발하고 이를 냉철하게
검증하는 과정
다만, 경제학에서는 실험하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많으므로, 역사적 경험을 통해 얻는
자료(data)에 주로 의존
* 가정
다른 학문들에서처럼, 경제학에서도 과학적 사고를
위해 많은 가정들을 사용
가정(assumptions)은 복잡한 세상을 단순화해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함
예를 들어, 국제무역의 효과를 분석하려 할 때,
일반적으로 세상에는 두 나라와 두 재화만
존재한다고 가정
가격과 수요량 간의 관계를 분석할 때, 소비자의
소득, 취향 등은 일정하다고 가정
이들은 비현실적인 가정이긴 하지만, 현실세계의
핵심적인 문제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
* 모형
경제학자들은 경제문제를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모형들을 사용
모형(model): 복잡한 현실세계를 매우 단순하게 표현한 것
모든 경제모형은 일정한 가정을 전제로 하여 만들어짐
경제학의 모형들은 대부분 그래프와 방정식으로 구성
* 친숙한 모형의 예
우리의 첫 번째 모형: 경제순환모형도
경제순환모형도(Circular-Flow Diagram):
경제의 순환과정을 시각적으로 나타낸 모형. 즉,
시장을 통해 가계와 기업 간에 자금이 순환하는
과정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
두 종류의 의사결정자를 가정:
가계(households)와 기업(firms)
두 시장을 가정:
① 재화와 서비스 시장, ② 생산요소시장
보다 복잡하고 현실적인 경제순환모형은 정부와
국제무역을 포함해야 함
* 생산요소
생산요소: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 경제가
사용하는 자원
노동
토지
자본: 생산에 사용되는 건물과 생산 설비(기계,
장치 등)
• 금융시장에서의 자본(= 주식, 채권 등에 대한
투자자금)의 개념과 구분할 것
그림 1: 경제순환모형도
가계(Households):
생산요소(노동, 토지, 자본)를
소유하고 있으며, 소득을 얻기 위해
생산요소를 기업에 판매하거나 임대
재화와 서비스를 구입하여 소비
기업(Firms):
생산요소를 구입하거나 고용하며,
생산요소를 사용하여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
재화와 서비스를 판매
우리의 두 번째 모형: 생산가능곡선
생산가능곡선(Production Possibilities Frontier, PPF):
한 나라의 경제가 주어진 자원(생산요소)과
기술을 가지고 최대한 생산할 수 있는 두 재화의
조합을 나타내는 곡선
예:
두 재화: 컴퓨터와 밀(wheat)
하나의 자원: 노동 (시간단위로 측정)
이 경제는 생산을 위해 매월 최대 50,000
시간의 노동을 투입할 수 있음
생산가능곡선과 기회비용
Recall: 어떤 것을 얻기 위한 기회비용은 그것을
얻기 위해 포기해야 하는 그 무엇
생산가능곡선을 따라 움직이는 것: 한 재화의
생산으로부터 다른 재화의 생산으로 자원(예,
노동)을 이전시키는 것
이 때 사회는 상충관계(tradeoff)에 직면함:
• 한 재화를 더 얻기 위해서는 다른 재화의
일부를 포기해야 함
• 앞의 예에서, 경제가 점 E에서 점 D로
움직인다는 것은 컴퓨터 100대를 더 생산하는
대가로 밀 1,000톤을 덜 생산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
생산가능곡선의 기울기는 한 재화의 기회비용을
다른 재화의 수량으로 나타냄
한 곡선의 기울기: 곡선을 따라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가로축상의 이동거리에 대한 세로축상의이동거리의 비율
여기서, 기울기는-10이므로 컴퓨터한 대의 기회비용은밀 10톤임
경제성장과 생산가능곡선
추가적인 자원의 확보 또는 기술의 발달이이루어지면, 경제는
밀이나 컴퓨터, 또는
두 재화 모두를 더
많이 생산할 수 있음
그 결과, 생산가능곡
선은 바깥쪽으로 팽창
하며, 경제는 이전 PPF
의 한 점에서 새로운
PPF의 한 점으로 이동
(= 경제성장)
* 생산가능곡선의 형태
생산가능곡선은 직선, 또는 곡선의 형태가 될 수 있음
PPF의 형태는 경제가 한 산업에서 다른 산업으로
자원을 이전시킬 때 기회비용이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따라 결정됨
만약 기회비용이 일정하다면, 생산가능곡선은
직선의 형태를 띄게 됨 (앞의 예에서 컴퓨터 한
대의 기회비용은 밀 10톤으로 항상 일정)
경제가 한 재화의 생산을 증가시킴에 따라 그
재화의 기회비용이 상승한다면, 생산가능곡선은
(오른쪽 위 방향으로 볼록한) 곡선의 형태를 띄게
됨 (곡선상의 점들을 따라 기울기가 변화)
* 생산가능곡선은 어떻게 부드러운 곡선의 형태를 갖는가?
경제가 맥주 생산에서
자전거 생산으로
자원을 이전시킴에
따라,
생산가능곡선의
기울기의 절대값은
더욱 커지게 되며
이에 따라
자전거의
기회비용은 증가
A 점에서, 대부분의 A
노동자들은 맥주를
생산하고 있으며,
자전거를 잘 만드는
사람들까지도 맥주
생산에 종사
자전거 전문가들은 맥주
생산은 잘 못하므로,
자전거 한 대를 더
생산하기 위해 포기해야
하는 맥주의 수량(=자전거의 기회비용)은 작음
B 점에서, 대부분의 노동
자들은 자전거를 생산.
맥주를 생산하고 있는 소
수의 사람들은 맥주를 가
장 잘 생산하는 사람들임
이 때 자전거를 더 많이
생산하려면, 맥주 생산
전문가들 마저 빼내 자전
거 생산에 투입해야 하므
로, 맥주 생산은 크게
감소
따라서 노동자들의 숙련도가 서로 다름에 따라 한 재화를 생산하는 기회비용이 서로 다르게 될 때
생산가능곡선은 부드러운 곡선의 형태를 띄게 됨
또한, 경제 내에 기회비용이 서로 다른 자원이 두 가지 이상 존재할 때, 생산가능곡선은 부드러운
곡선의 형태를 보임
예: 서로 다른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토지 (농지 vs. 공장용지)
생산가능곡선 : 요약
생산가능곡선은 주어진 자원과 기술을 가지고 한 경제가 최대한 생산할 수 있는 두 재화의
조합을 나타냄
생산가능곡선은 매우 단순한 모형임에도 상충관계와 기회비용, 효율성과 비효율성, 실업,
경제성장의 개념을 단순, 명료하게 설명
부드러운 곡선 형태의 생산가능곡선은 증가하는 기회비용의 개념을 설명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
미시경제학(Microeconomics): 가계와 기업이
어떻게 의사결정을 하고, 이들이 시장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연구하는 학문
거시경제학(Macroeconomics): 나라 경제 전반의
현상, 즉 인플레이션, 실업, 경제성장 등을
연구하는 학문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은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
예를 들어, 나라 경제는 수많은 가계와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의사결정과정, 즉
미시경제 현상을 고려하지 않고서 거시경제
현상을 이해하기란 쉽지 않음
그럼에도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은 서로 다른
경제문제를 해결하려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음
* 정책조언자로서의 경제학자
과학자로서의 경제학자는 실증적 주장(positive statements)을 함
• 즉, 세상을 있는 그대로 설명하고자 함
정책조언자로서의 경제학자는 규범적인 주장 (normative statements)을 함
• 즉, 세상이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 처방하고자 함
실증적 주장은 나타난 증거들을 통해 확인되거나
부정될 수 있는 반면, 규범적 주장은 가치관이
개입되는 것이므로 판단하기 곤란함
경제학자가 규범적인 주장을 한다면, 과학자로서가
아니라 정책조언자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임
대통령, 정부 각 부처, 국회 등은 많은
경제학자들을 고용하여 정책조언을 구함
* 왜 경제학자들 간에 견해가 다른가?
경제학자들은 종종 상충되는 정책조언을 함
경제학자들은 때때로 세상에 대한 실증적 이론의
타당성에 대해 견해 차이를 보임
경제학자들은 각기 서로 다른 가치관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어떤 정책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해 서로 다른 규범적 관점을
가질 수 있음
그럼에도,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이 동의하는 많은
명제들이 있음
<요약>
과학자로서 경제학자들은 적절한 가정과 모형을
통해 세상을 설명하고자 함
두 가지 간단한 모형들은 경제순환모형도와
생산가능곡선임
미시경제학은 소비자와 기업의 행위 및 시장에서의
그들의 상호작용을 연구함. 거시경제학은
전체로서의 경제를 연구함
정책조언자로서 경제학자들은 세상을 어떻게
개선할지에 대해 조언함
'경제학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학과, 경제 관련 시험대비! 맨큐의 경제학, 경제학원론 핵심 요점 요약정리 6. 수요공급과 정부정책 (0) | 2021.10.30 |
---|---|
경제학과, 경제 관련 시험대비! 맨큐의 경제학, 경제학원론 핵심 요약 요점 정리 5. 탄력성과 그 응용 (2) | 2021.10.29 |
경제학과, 경제 관련 시험대비! 맨큐의 경제학, 경제학원론 핵심 요약 요점 정리 4. 시장의 수요와 공급 (0) | 2021.10.28 |
경제학과, 경제 관련 시험대비! 경제학원론 핵심 요약 요점 정리 3. 상호의존관계와 교역의 이득 (2) | 2021.10.26 |
경제학과, 경제 관련 시험대비! 경제학원론 핵심 요약 요점 정리 1. 경제학의 10대 기본원리 (0) | 2021.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