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정보시스템

경영학과, 경제학, 경영정보 등 경영정보시스템 요점 정리 56. 공유경제

728x90
반응형

56. 공유경제

 

1) 공유경제의 출현


(1) 공유경제의 개념
2008년 미국 하버드대학의 교수 로렌스 레식에 의해 처음 사용
●  한 번 생산된 제품을 여러 명이 공유해 쓰는 개념으로 협업 소비를 기본으로 한 경제방식
●  생산설비, 서비스 등을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 빌려 쓰는 것
●  자신이 필요 없는 경우 다른 사람에게 빌려 주고 때론 함께 사용하는 공동소유, 공동소비


[  공유경제의 특징 ]

(2) 공유경제의 유형
●  공유경제는 유 무형의 , , , , 분야를 포괄하며 제공서비스에 따라 제품서비스 물물교환
협력적 커뮤니티로 구분


① 제품서비스
●  사용자들이 제품 혹은 서비스를 소유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방식
●  예) 카쉐어링, 바이크쉐어링 등


② 물물교환
●  필요하지 않는 제품을 필요한 사람에게 재분배
●  주로 중고물품 거래 ( , , / ) 경매 물물교환시장 무료 상품권 교환 등


③ 협력적 커뮤니티
●  커뮤니티 내 사용자간의 협력을 통한 방식 유 , · 무형 자원 전체 포괄
●  공간, , 여행경험 지식공유 등

 

2) 공유가치의 창출


(1) 개념
●  기업이 주주 가치 극대화에서 머무르지 않고 기업과 직 간접적인 , 이해관계자 모두와
지역사회를 포함하는 가치창출 극대화를 추구하는 개념
●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개념에서 벗어나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가치생산기반의
공유가치창출 (CSV  ) 로의 확장함을 의미


[ ]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서 기업의 가치 공유로의 전환

구분 기업의 사회적 책임 공유가치창출
가치 Doing Good 비용대비 경제적, 사회적 효과
키워드 시민의식, , 자선 지속가능성 기업과 지역사회의 공유가치창출
동기 외부압력 경쟁력강화
이윤과의
관계
이윤극대화와 분리 이윤극대화의 필요조건
실행방법 외부 리포팅 기준과
개인의 선호에 따라 실행
기업의 자체적인 내부 계획에 따라 실행
효과 기업 활동 및 기업의 사회적 책임
예산의 책정에 따라 변함
기업의 총 예산을 조율함
예시 공정거래 구매 조달전체를 탈바꿈함으로써 품질과
생산량 늘임

 

(2) 공유가치 측정 방향
●  공유가치창출의 목표를 보다 쉽게 도달하기 위해서는 공유가치에 대한 정확하고 명쾌한
측정이 기본 전제가 되어야만 가능한 일인 것임
●  기업의 가치창출 측정 → 다층모형 관점(multi-level perspective)
●  기업의 가치는 개인 조직 사회 , , 3 . 차원 모두 측정해야 함
●  교차모형을 통해 다양한 수준에서 측정하는 것이 정확하고 명확
●  조직별 가치창출 기여도를 측정하여 개인 조직 , 그리고 전반적인 사회의 가치창출을 수치화
가능
●  조직 차원에서의 가치창출이 개인의 가치창출에 미치는 영향 내지는 산업 전반적으로
미치는 영향 등을 측정 가능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