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겨울철에 주의해야 할 신증후군 출혈열이란? 정의와 증상 예방법 소개

728x90
반응형




‘신증후군 출혈열’을 들어 보셨나요? 이는 늦가을 10월부터 12월경에 발생하기 쉬운 열성 질환으로, 주로 쥐를 통해 전파되는 '한타바이러스' 때문에 발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유럽과 아시아 지역에서 매년 6만~15만 명이 신증후군출혈열에 걸리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법정 감염병 3급으로 지정할 만큼 많은 환자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강원도 철원의 육군 병사가 제초 작업 후 신증후군출혈열 의심 증세로 숨지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열과 두통 등을 유발하고 심할 때는 사망에 이를 수 있으며, 농촌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지만, 야외활동이 많은 사람, 군인, 설치류를 다루는 실험실 근무자 등에서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자칫하면 위험에 빠질 수도 있는 이 질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까요?


"늦가을에 주로 유행하는 원인은?"

신증후군출혈열은 ‘유행성출혈열’이라고도 일컫는데,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등과 함께 조심해야 할 질환입니다.



올해 한국을 강타했던 9호 태풍 마이삭, 그리고 10호 태풍 하이선 등의 영향으로 많은 수해 복구 활동과 가을철 성묘나 벌초, 그리고 농작업 등으로 인해 야외활동이 잦아졌습니다.



늦가을 철인 10~11월은 진드기와 설치류 매개 감염병이 많이 증가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다발적으로 감염이 일어날 가능성이 큽니다. 주로 들쥐나 집쥐의 배설물에 있는 바이러스가 먼지, 흙 등에 침투해 있다가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서 전파됩니다. 따라서 가을철에 유행 지역의 산이나 들에 놀러 가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전파 경로를 알아도 방심은 금물!


야외 활동 후 2-3주 뒤에 발열이 시작된다면 의심을 해봐야 합니다

들쥐 배설물 속 한탄 바이러스 등이 호흡기를 통해 전파가 되는데, 들쥐의 배설 직후는 그 형태를 알아 보기에 용이하지만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배설물이 주변으로 흩어지고 오염되면서 형체가 사라집니다.



야외활동 시 건조된 배설물은 먼지와 함께 공기 중에 떠다니는데, 감염이 일어난 후 눈으로 볼 수 없는 ​오염물이 된 수풀이나 땅 등에서 감염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증상을 알아볼까요"


신증후군 출혈열의 주요 증상은 두통, 혈소판 기능장애로 출혈, 복막 뒤 부종으로 복통, 요통 발생, 폐 부종으로 호흡곤란 발생 등이 있습니다. 이에 이르기까지 약 2~3주 간의 잠복기가 있으며 발열기, 저혈압기, 핍뇨기, 이뇨기, 회복기 등의 다섯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첫 번째 단계로 발열기에 발열, 오한, 두통, 옆구리의 통증, 근육통, 복통, 설사, 출혈 증상, 안면 홍조, 결막 출혈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후 저혈압기에는 정신 착란, 섬망, 혼수 등의 상태로 심할 경우 쇼크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다음 단계로 핍뇨기에는 소변량이 눈에 띄게 줄며 신부전증세를 보이게 됩니다. 소변량이 많이 늘어나는 이뇨기를 거치며 회복기에 이르게 됩니다.

"예방 수칙, 무엇이 있을까?"


1. 밑의 항목에 해당된다면 예방 접종을 필수적으로 해야 합니다.

(1) 군인 및 농부 등 직업적으로 신증후군 출혈열 바이러스에 노출될 위험이 높은 집단

(2) 신증후군 출혈열 바이러스를 다루거나 쥐 실험을 하는 실험실 요원

(3 야외활동이 빈번한 사람 등 개별적 노출 위험이 크다고 판단되는 자



2. 유행지역의 산이나 풀밭에 가는 것을 피합니다.



3. 돗자리 등을 깔아 잔디, 풀밭 등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의 들쥐의 배설물에 접촉을 조심합니다.



4. 야외활동 후 귀가 시에는 옷에 묻은 먼지를 털고 깨끗하게 씻습니다.



5. 벌초, 농작업 시 가능한 피부의 노출을 최소화합니다.

안전은 나 스스로부터.

올해 우리나라는 코로나19로 인해 큰 불안함을 겪었으며, 예방 수칙 준수의 중요성을 다시금 깨달았습니다. 다가온 가을, 코로나19와 더불어 신증후군 출혈열 꼭 조심해야겠습니다.


※ 혹시 부족하지만 저의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었다면, 단 1초만 투자해 주세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