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역학개론

무역영어, 무역학과 등 무역전공 필수 무역학개론 요점 정리 5. 고전무역이론

728x90
반응형

5. 고전무역이론

 

1. 절대생산비설


1) 절대생산비설의 개념
(1) 배경
아담 스미스(A. Smith)는 국부론 에서 국가의 부는 국민의 노동력 (The Wealth of Nations)
에 있는 것
♠  아담 스미스는 국민이 생산하는 생산물을 국부로 보고 부의 원천이 되는 것은 노동

♠  노동의 생산력은 숙련이나 기교 등에 따라 더욱 증진되는데 이는 분업에 의해 이루어지는


(2) 정의
♠  절대생산비설에서의 절대우위는 한 국가가 다른 국가에 비해 어떤 재화의 생산에 소요되는
노동투입이 더 작은 경우
♠  한 국가가 같은 재화의 생산에 있어 다른 국가에 비해 노동의 투입량이 작은 경우 절대우위
♠  즉 절대생산비설에서는 2국 2재의 상품생산조건일 때 한 국가가 상대국보다 생산비가 절대  
적으로 저렴한 상품만을 생산하고 상대국도 같은 입장이라면 두 국가간에는 자연적으로 분
업이 이루어져 생산량이 증대하게 된다는 것


2) 절대생산비설의 가정
(1) 각국의 생산비에는 차이가 존재
(2)  2국 2재 생산요소가 존재 노동만이 유일한 생산요소
(3) 재화의 생산비는 투하노동량에 의하여 결정
(4) 생산요소의 국제간 이동은 없음


3) 절대생산비설과 국제무역
(1) ( ) 분업 개시 전 무역이전
♠  A B . 국과 국이 존재한다고 가정
♠ 단위당 생산비는 재화생산에 투입되는 노동자의 수
♠  현재 국은 옷감 단위 생산에 명 쌀 단위 생산에 명의 노동력이 필요 A 1 100 , 1 120
♠  B 1 110 , 1 80 국의 경우는 옷감 단위 생산에 명 쌀 단위 생산에 명의 노동력이 필요
♠  두 국가의 생산비 차를 산정해 보면 옷감 생산에서 국은 국보다 명 적은 노동인원으로 A B 10
1단위를 생산할 수 있는 우위성
♠  쌀 생산에서 국은 국보다 명 적은 노동인원으로 단위를 생산할 수 있는 우위성 B A 40 1


<  절대생산비의 예 >

(2) ( ) 분업 개시 후 무역이후
♠  국가간 분업에 의해 국은 절대우위에 있는 옷감 생산에 모든 노동력을 투입하여 특화 A
♠  B국은 절대우위에 있는 쌀 생산에 모든 노동력을 투입하여 특화
♠  A 220 2.2 국은 명의 노동력으로 옷감을 생산하여 단위의 옷감을 생산

♠  B 190 2.375 국은 명의 노동력으로 단위의 쌀을 생산


<  절대생산비차에 의한 무역이익 발생 >

(3) 무역이익
♠  옷감 총생산량중 국은 자국에 필요한 단위를 사용하고 단위는 상대국 국으로 수출하면 A 1 1 B
0.2단위가 남음
♠  절대우위에 따라 옷감생산에 특화하여 발생한 국제무역 이익
♠  쌀 총생산량에서 국은 자국에 필요한 단위를 사용하고 단위는 상대국 국으로 수출하면 B 1 1 A
0.375단위가 남음


2. 비교생산비설
1) 비교생산비설의 개념
(1) 배경
♠  리카르도(D. Ricardo)는 한 국가가 모든 재화의 생산에 있어서 절대우위에 있고 다른 국가
가 절대열위에 있다고 하더라도 두 국가간에 비교생산비 혹은 비교우위의 차이가 있다면 무
역이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

 

(2) 정의
♠  리카르도의 이러한 주장을 비교생산비설(theory of comparative advantage)
♠  비교생산비설은 무역의 발생원인과 무역의 경향 그리고 무역의 이익을 규명한 이론
♠  비교생산비설은 비교우위설이라고도 함


2) 비교생산비설의 가정
(1) 2 2 1 국이 재를 생산하며 생산요소가 존재
(2) 생산요소는 노동이 유일하며 국내적으로나 국제적으로 동질적
(3) 재화의 생산비는 투하노동량에 의해 결정
(4) 생산요소가 국내에서의 이동이 자유롭지만 국제간에는 이동이 없음


3) 비교생산비설과 국제무역

(1) 무역개시 전
♠  먼저 국과 국이 존재한다고 가정 A B
♠  단위당 생산비는 재화생산에 투입되는 노동자의 수
♠  현재 국은 옷감 단위 생산에 명 쌀 단위 생산에 명의 노동력이 필요 A 1 100 , 1 120
♠  B 1 90 , 1 80 국의 경우는 옷감 단위 생산에 명 쌀 단위 생산에 명의 노동력이 필요
♠  두 국가의 생산비 차를 산정해 보면 옷감 생산에서 국은 국보다 명 많은 노동인원으로 A B 10
1단위를 생산할 수 있는 열위
♠  쌀 생산에서도 국은 국보다 명 많은 노동인원으로 단위를 생산해야 하는 열위 A B 40 1
♠  즉 국은 두 재화 생산에 모두 열위에 있고 국은 두 재화 생산에 모두 우위에 있으나 , A B A
국에서는 두 재화의 생산에서 옷감 생산이 쌀 생산보다는 비교우위
B국도 두 재화의 생산에서 쌀 생산이 옷감 생산보다는 비교우위


< 비교생산비의 예 >

(2) 무역개시 후
♠  국가간 분업에 의해 국은 비교우위에 있는 옷감 생산에 모든 노동력을 투입하여 특화 A
♠  B국은 비교우위에 있는 쌀 생산에 모든 노동력을 투입하여 특화
♠  그러면 국은 명의 노동력으로 옷감을 생산하여 단위의 옷감을 생산 A 220 2.2
♠  B 170 2.125 국은 명의 노동력으로 단위의 쌀을 생산
♠  즉 이러한 상황에서도 국가간 분업이 가능하고 두 국가의 총재화생산량은 증가 ,


<  비교생산비에 의한 무역이익 발생 >

3) 무역이익
♠  옷감 총생산량중 국은 자국에 필요한 단위를 사용하고 단위는 상대국 국으로 수출하면 A 1 1 B
0.2단위가 남음

♠  이것이 비교우위에 따라 옷감생산에 특화하여 발생한 국제무역 이익
♠  쌀 총생산량에서도 국은 자국에 필요한 단위를 사용하고 단위는 상대국 국으로 수출하 B 1 1 A
면 단위가 남음 0.1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