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벼의 일생
1. 개요
(1) 벼의 일생 √ 영양생장기 ← 유수분화기 → 생식생장기
① 벼의 어린 이삭이 분화되기 직전까지를 영양생장기
② 그 이후를 생식 생장기라 한다.
(2) 기간 √ 묘대기 → 분얼기 → 유수형성기 → 개화기 → 등숙기
① 빠른 품종 : 120일
√ 벼의 어린 이삭이 1.5∼2.0mm 정도 자란 시기는? 유수 형성기
√ 벼의 일생 중 냉해의 피해가 가장 심한 시기는? 수잉기(감수분열기)
√ 벼의 도달할 수 있는 최대 수량은 언제 결정 되는가? 영화 분화기
√ 생식 생장기를 구분할 때 기준이 되는 시기는? 유수 분화기
√ 영양 생장기와 생식 생장기 구분 시기는? 수수 분화기
√ 벼의 생육 시기별 지상부에 대한 지하부의 건물중 비율이 가장 높은 시기는? 분얼기
√ 유수 형성기는? 유수 분화기에서 감수분열기 직전까지의 기간
√ 수잉기 : 감수 분열 시기로부터 출수 직전까지
√ 잎귀 사이의 길이가 ‘0’이 되었을 때 시기는 ? 감수분열 최성기
√ 벼의 일생 중 온도와 일장에 좌우됨이 없는 시기? 기본영양생장기
2. 영양 생장기 (묘대기 → 이앙기 → 착근기 → 분얼기)
(1) 기간과 특징
① 영양 생장 기간 √ 두드러진 특징 : 분얼의 증가
㉠ 식물체가 양적으로 생장하는 기간
㉡ 발아로부터 어린 이삭이 분화되기 직전까지
㉢ 육묘기, 모내기 및 착근기, 분얼기
(2) 육묘기 : 모를 기르는 기간
① 볍씨의 발아
㉠ 발아 온도 : 최저(10∼13℃), 최적(30∼34℃), 최고(40∼44℃)
㉡ 발아 시작 : 볍씨 무게의 약 25%의 수분 흡수시 발아가 시작됨
㉣ 물 속에서 산소의 공급이 적으면 떡잎집이 길게 자라고 씨뿌리가 잘 나오지 않는다.
② 기계 모내기의 육묘 일수 : 중묘의 육묘 기간은 30일(3∼4잎)
치묘가 20일(2∼3잎)
어린 모는 10일(1∼2잎) 정도 소요
⑥ 벼의 잎 : 벼의 잎 수는 영양 생장기 동안 4∼5일에 1매씩 출현,
유수 형성기 이후 1잎이 출현하는 기간은 7∼8일 정도 걸린다.
⑦ 벼의 잎 : 잎몸, 잎집, 잎귀, 잎혀로 구성되어 있다.
(3) 이앙 및 착근기
① 이앙기 : 모를 내는 시기(40∼45일 정도 자란 모 - 이앙 적기)
② 착근기 : 5∼7일 정도이다.
(2) 분얼기 √ 분얼 - 모의 원줄기로부터 새끼를 치는 것
① 최고 분얼기
㉠ 최고 분얼기는 일반적으로 조기ㆍ조식 재배의 경우 이앙 후 40∼45일, 보통기 재배에서는 35∼40일, 만기 재배는 30일 이내에 온다.
② 유효 분얼 완료 : 최후의 이삭수와 분얼수가 일치하는 시기
▶유효 분얼과 무효 분얼 : 분얼경이 모두 출수 개화하여 결실하는 것이 아니고 생육 도중에 죽는 것도 있는데, 벼알이 하나라도 달려 있는 것을 유효 분얼이라고 하고 이삭이 없는 것을 무효 분얼이라고 한다.
▶ 기본 영양 생장과 가소 영양 생장
1. 기본 영양 생장 : 벼가 영양 생장에서 생식 생장으로 전환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최소한의 영양 생장으로 일장이나 온도 및 양분 등의 환경에 의하여 조절되지 않는 영양 생장을 말한다.
2. 가소 영양 생장 : 일장과 온도 및 양분의 조절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는 생장, 따라서 벼의 가소 영양 생장은 고온과 단일 처리에 의하여 크게 단축할 수 있으며 벼는 36℃ 정도까지 고온일수록, 그리고 일장은 9∼10시간 정도까지 짧을수록 출수까지의 일수가 단축된다.
3. 생식 생장기
√ 이삭패기(출수) 30일 전
(1) 기간과 특징
① 생식 생장기간
√ 유수 분화기로부터 성숙기까지의 기간
㉠ 유수 발육기 : 유수 분화기에서 출수기까지
㉡ 등숙기 : 출수기에서 성숙기까지
② 특징 : 어린 이삭이 형성되어 자라기 시작한다.
(2) 이삭의 분화와 발달
① 이삭패기 30일 전에 어린 이삭이 줄기의 밑에서 생기며, 이삭패기 10일 전에는 줄기가 길게 자란다.
② 줄기는 영양 생장기에는 자라지 않고 생식 생장기에 이르러 위의 4∼5마디가 길게 자란다.
④ 벼꽃의 암술과 수술이 분화하는 시기는 이삭패기 약 20일 전이고, 꽃가루와 씨방의 감수 분열기는 약 12일 전이며, 꽃의 내부 형태가 완료되는 시기는 이삭패기 1∼2일 전이다.
▶ 신장기 : 유수 분화가 시작되는 시기는 출수 30일 전이고 …
1. 유수 분화기 : 출수 전 30일 ∼ 출수 후 24일, 이삭길이 약 2mm
2. 유수 형성기 : 유수 분화기 이후 7∼10일, 이삭길이 약 3∼5cm
3. 수잉기 : 출수 전 10∼12일∼ 출수 직전, 냉해/한해에 가장 약함.
(3) 출수 개화와 정받이 √ 고온 단일 조건에서 출수가 촉진된다.
① 출수(이삭패기) : 벼의 이삭이 지엽으로부터 나오는 것
② 개화
㉠ 벼의 꽃은 1개의 암술과 6개의 수술로 이루어져 있다.
④ 벼는 자가 수분을 원칙으로 하며, 타가 수정은 0.1∼4.0% 이다.
⑤ 개화 시간 : 오전 9시 ∼ 11시(개화 최성기), 13시 이후 개화X
⑥ 개화 기간 : 7일 정도
⑦ 출수기 : 논 1필지에서 40∼50%가 이삭이 팬 날
⑧ 수전기 : 논 1필지에서 80%가 이삭이 팬 날
⑨ 중복 수정 : 2개의 정핵이 이동되어
㉠ 정핵 1개 + 씨방의 난세포 ⇨ 씨눈
㉡ 정핵 1개 + 극핵 2개 ⇨ 배젖(배유)
(4) 결실기 √ 유숙기 → 호숙기 → 황숙기 → 완숙기 → 고숙기
① 유숙기 : 일조가 부족할 때 알 크기가 부족한 시기이다.
② 호숙기 : 새의 피해가 가장 심하다.
④ 완숙기 : 수확에 적합한 시기(수분 함량 20% 내외)
2. 벼의 형태와 생장ㆍ발육
1. 볍씨의 형태적 구조
(1) 벼 낟알의 구성
② 벼 낟알의 구성 : 벼의 낟알에서 껍질을 벗겨 낸 것을 현미라고 하며 씨껍질(종피), 씨눈, 배젖으로 구성되어 있다.
▶ 씨눈 속에 분화되어 있는 유아와 유근은? 초엽, 1,2,3엽과 종자근
(3) 배젖의 구성
① 현미의 껍질 : 단백질과 지방이 많은 호분층이 있는데, 세포막이 두꺼워서 소화가 잘 안되므로 도정할 때 제거한다.
② 쌀은 배젖의 성질에 따라 멥쌀과 찹쌀로 구분한다.
㉠ 멥쌀은 반투명하고, 요오드 반응시 청람색을 띤다.
㉡ 찹쌀은 백색 불투명하고, 요오드 반응시 적갈색을 띤다.
③ 배젖 전분의 구성
㉠ 멥쌀 : 20% 아밀로오스 + 80% 아밀로펙틴
㉡ 찹쌀 : 대부분이 아밀로펙틴이고 아밀로오스는 거의 없다.
2. 발아 √ 필요 조건 : 온도, 수분, 산소, 발아 최저 한계 온도 8∼10℃
(2) 발아시 종자의 생리적 변화
배유의 저장 양분은 전분ㆍ단백질ㆍ지방 및 섬유소로 되어 있는데, 분해 효소에 의하여 가수 분해된다.
① 섬유소 → 지타아제(zytase) → 당류로 분해
② 전분 → 디아스타아제(diastase) → 당류로 분해
③ 단백질 → 프로테아제(protease) → 아미노산으로 분해
④ 지방 → 리파아제(lipase) → 글리세린 또는 지방산
(3) 발아 온도와 수분 √ 통일형 품종은 발아 최저 온도가 높다.
② 발아와 수분
㉠ 볍씨는 종자 중량의 약 25%의 수분을 흡수하면 발아가 가능.
▶ 발아하는 데 필요한 충분한 수분, 즉 23∼25%를 흡수하는 데는 수온 15℃ 속에서 6일이 걸린다.
㉡ 발아할 때에 유아와 유근 중에서 어느 것이 먼저 나와서 신장하느냐는 발아상의 수분, 즉 수심과 깊은 관계가 있는데, 산소가 부족한 심수 중에서는 초엽이 5∼10cm까지 이상 신장하고 유근인 종자근은 거의 자라지 않는다.
③ 벼종자의 발아에는 광(光)은 관계가 없어서 암흑에서도 발아한다.
3. 묘의 생장
4. 줄기 √ 벼의 줄기가 자라는 시기는? 유수 형성기
5. 분얼 √ 주간 32℃, 야간 15℃
▶ 주간의 수온 30∼35℃, 야간의 수온 15℃ 의 조건하에서 분얼 형성이 가장 왕성하다.
(1) 분얼과 분얼 개수
① 벼는 줄기 아래쪽에 있는 마디의 겨드랑눈이 신장하여 여러 개의 줄기를 이루는데, 이것을 분얼이라 한다.
② 분얼의 개수 : 포기당 20개 정도이다.
(2) 분얼수의 증가와 벼의 생육 과정
① 분얼 개시기 : 이앙 후 분얼이 증가하기 시작하는 시기
② 분얼 성기 : 분얼이 왕성하게 증가하는 시기
③ 최고 분얼기 : 분얼수가 최고에 달한 때
④ 최고 분얼수 : 유효 분얼수와 무효 분얼수의 합
⑤ 유효 분얼경(60∼80%) : 유효 분얼수 / 최고 분얼수의 비
▶ 벼의 유효 분얼 한계기는 모내기 20일 이내를 기준으로 한다.
▶ 벼의 유효경 비율은 얼마인가? 70% 내외
(3) 분얼의 절위별 형태와 발생
① 분얼의 절위별 형태 : 제2차 분얼보다 제1차 분얼이, 위쪽 마디에서 나온 분얼보다 아래쪽 마디에서 나온 것이 일생 동안 가지게 되는 잎 수가 많고 이삭이 크며, 벼알 수도 많다.
6. 잎
(1) 잎의 발생과 분류
① 잎의 발생 : 잎의 수는 마디의 수와 일치한다.
▶ 벼의 잎은 줄기의 각 마디에서 1매씩 나오는데, 이에 따라 잎의 수는 마디의 수와 일치하며, 삭틀 때 처음 나오는 것을 떡잎집(초엽)이라 하고, 다음에 나오는 잎을 제1본엽, 그리고 그 다음부터 순서에 따라 제2본엽, 제3본엽 등으로 부른다.
(2) 잎의 구조와 생장
① 잎의 구조 √ 잎귀는 발생학적으로 잎집에 속하며 … (X)
㉠ 잎집 : 마디를 둘러쌈 - 줄기를 보호한다.
㉡ 잎혀 : 줄기와 잎몸 사이의 내부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
㉢ 잎귀 : 잎몸에 속하며, 잎몸이 줄기에서 떨어지지 않게 한다.
㉣ 잎몸 : 동화 작용의 주체부이다.
▶ 벼와 피를 구별하는 형태적 특성인 기관은? 잎혀
▶ 지엽(止葉) : 이삭목 바로 밑의 마디에서 나오는 잎을 마지막 잎이라 하여 지엽이라 하는데, 이것은 다른 잎보다 짧고 좁다. 지엽은 어린 이삭을 싸고 있다가 출수 후에도 끝까지 남아 왕성한 동화 작용을 하여 벼알의 성숙에 많은 도움을 준다.
▶지엽은 다른 잎보다 일찍 고사한다.(X)
(3) 잎의 표면 구조
① 규질화
㉠ 잎의 표면에 규산이 침적되어 규질 세포층을 형성하는 것.
㉡ 잎 표면에 규질화 세포가 많아지면 잎이 단단해져서 늘어지지 않고 꼿꼿이 서며, 도열병균이나 깨씨무늬병균의 침입을 막고, 수분의 증산을 조절하는 역할도 한다.
② 기동 세포 : 잎의 표면에는 기동세포군이 규칙, 정연하게 배열되어 있어서 건조하여 잎의 수분이 적어지면 수축하여 잎을 안으로 말려들게 함으로써 증산 작용을 억제★하여 가뭄의 피해를 줄일 수 있게 한다.
▶ 초엽의 길이는 1∼2cm이며, 잎의 수는 줄기의 마디수와 일치한다. 그리고 초엽의 끝에서 제1본엽이 나오며, 제1본엽은 원통형이고 잎몸이 침엽으로서 불완전하며, 제2본엽은 잎몸이 갸름한 스푼 모양이고, 제3본엽 이후부터는 완전한 잎모양을 이룬다.
7. 뿌리
(1) 잎의 발생과 분류
① 잎의 발생 : 잎의 수는 마디의 수와 일치한다.
▶ 벼의 생장에 따른 벼 뿌리의 색깔변화 : 흰색 → 담홍색 → 적갈색
(2) 지상부와 뿌리와의 관계
① 어떤 마디(제n마디)에서 잎이 나올 때 그 잎의 3개의 아랫마디(제n-3마디)에서 뿌리가 동시에 나오게 된다.
② 어떤 잎(제n잎)이 나올 때에는 그 잎보다도 아래쪽의 세 번째 잎(제n-3)이 붙은 마디에서 동시에 분얼경의 첫 잎이 나온다.
▶ 벼의 종근은? 1개이며 생육 초기에만 활약한다.
▶ 뿌리의 수가 최고에 달하는 시기는? 수전기
8. 이삭의 분화와 발달
(1) 이삭의 분화 과정
① 분얼이 거의 끝나고 마디 사이의 신장이 시작되면 어린 이삭도 분화되기 시작한다.
② 제1포의 분화로부터 꽃의 분화가 끝나 어린 이삭이 3cm 정도 자라는 시기까지를 유수 형성기라 한다.
▶ 이삭목 분화기 : 줄기 끝의 생장점에서 지엽의 원기가 분화된 후 제1포의 기부에 이어 형성되는 마디가 이삭목마디이며 그위가 이삭이 되는데 이삭목의 분화기는 엽령 지수가 76∼78이고, 출수 전 32∼30일에 해당한다.
(2) 감수 분열
① 꽃의 분화가 끝나고 어린 이삭의 길이가 15∼40mm에 이르면 꽃가루의 모세포나 배낭의 모세포가 생긴다. 그리고 출수 10∼15일 전쯤 되면 꽃가루와 배의 모세포가 감수 분열을 하여 정세포와 난세포가 생긴다.
② 감수 분열을 하는 기간(≒수잉기)
㉡ 이 무렵에는 낮은 온도, 가뭄, 양분의 부족 등과 같은 불량 환경 조건에 부딪히면 그에 대한 감수성이 가장 예민한 시기이기 때문에 큰 피해를 받을 우려가 있다.
▶ 감수분열기
1. 출수 전 12일
2. 엽령지수가 97∼98인 시기
3. 잎귀 사이의 길이가 0이 될 때
4. 유수의 길이가 8cm 정도 발달했을 때
5. 냉해 및 각종 장해에 가장 민감하다.
9. 생육상의 전환 √ 영양 생장에서 생식 생장으로 옮겨지는 것
(1) 생육 전환기의 징조 √ 중복 수정(X)
① 출엽 속도의 변화
② 이삭목마디의 분화 : 이삭목마디가 분화하는 시기를 유수 분화의 기점으로 보고 있는데, 이 시기의 엽령 지수는 76∼78이다.
③ 절간 신장의 개시
10. 이삭의 발육 과정과 그 진단
(1) 출수 전 일수
① 출수 전 30일 : 제1포기의 분화가 시작, 유수 분화가 시작된다.
② 출수 전 24일 : 지경 분화가 끝나고 영화 분화가 시작한다.
③ 추수전 20일 : 벼꽃의 암, 수술의 분화가 시작된다.
④ 출수 전 12일 : 감수 분열이 시작된다.
(3) 엽령 지수
③ 엽령 지수에 의한 이삭의 발육 단계
㉠ 유수 분화기의 엽령 지수 : 77
㉡ 꽃이 분화될 때의 엽령 지수 : 88∼92
㉢ 감수 분열기의 엽령 지수 : 97
㉣ 꽃가루의 외각 형성이 시작되는 시기의 엽령 지수 : 100
(4) 잎귀 사이의 길이 √ 감수 분열기를 판별하는데 가장 편리한 방법
① 지엽의 잎귀와 그 아랫잎의 잎귀 사이의 간격에 따라서 화분과 배낭의 감수 분열기를 판정한다.
② 지엽의 잎귀가 아랫잎의 잎집 속에 있을 때는 ―, 일치하였을 때는 0, 아랫잎의 잎집에서 나왔을 때를 +로 표시한다.
③ 잎귀 사이의 길이가 -10cm일 때 감수 분열이 시작되고, 0일 때 최고에 달하며, +10cm일 때 끝난다.
√ 영화의 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감수분열 시기에 질소를 수비로 사용코자 한다. 알맞은 시기는? 엽이간장 -10cm 일때
(5) 유수(어린 이삭)의 길이
④ 이삭 길이가 4cm 정도 되면 화분 모세포와 배낭 모세포의 감수 분열이 시작된다.
11. 개화와 화기의 구조
(1) 개화 √ 벼의 1차 지경에서 제일 늦게 개화하는 것은?
① 벼의 개화 순서 : … 항상 끝으로부터 두 번째 꽃이 최후에 핀다.
② 개화 시각 : 9시∼11시(벼의 개화 최성기), 13시경 - 개화X
③ 개화와 환경 조건 : 개화 온도 30∼35℃, 최적 습도 70∼80%.
(2) 수정 √ 자화 수분 원칙, 타화수분 1%이하의 극히 낮은 비율이다.
② 수정 과정(중복수정)
㉠ 1개의 정핵과 1개의 난핵의 융합 = 배(2n)
㉡ 1개의 정핵 + 2개의 극핵의 융합 = 배유(3n)
(3) 화기의 구조 : 암술1, 수술6, 인피2, 호형2, 부호형2
② 영화(벼꽃) : 수술 6개, 암술 1개
㉠ 암술 : 씨방, 암술대 및 암술머리
㉡ 수술 : 수술의 꽃밥은 4개의 방으로 되어 꽃가루가 들어 있다.
㉢ 인피 : 개화할 때 흡수, 팽창되어 개영, 즉 개화의 기능을 한다.
㉣ 까락 : 외적의 방어, 종자의 전파와 수분의 증산 또는 동화작용
12. 쌀알의 발달
(2) 쌀알의 외형적 발달 √ 길이, 나비, 두께의 순서로 형성
길이, 나비, 두께의 순서로 형성되고 25일쯤이면 거의 전형이 완성됨.
▶등숙립 : 통일형 품종에서 비중이 1.00 이상인 벼알과 일반형 품종에서 비중이 1.06이상인 벼알만을 뜻하고 그 이하인 것은 쭉정이라 함.
(3) 쌀알의 무게와 수분함량의 변화
① 생체중 : … 25일 경에는 최대에 달하고 …
② 건물중 √ 완만한 S자 곡선을 나타내는 증가를 보인다.
㉠ 쌀알의 건물 무게는 꽃이 핀 후 28일쯤에 거의 최고에 이른다.
㉡ 벼의 생육 시기별 지상부에 대한 지하부의 건물중 비율은 생육 초기와 분얼 초기에는 약 35%를 나타낸다.
③ 쌀알 내의 수분 함량 : 꽃이 핀 후 며칠 동안은 80% 이상이 되며, 수분 함량은 양적으로는 등숙 초기에 많다.
(4) 완전미와 불완전미
② 불완전미
㉥ 동할미 : 벼를 너무 늦게 수확하거나 건조할 때 비를 맞아서 금이 간 쌀알을 말한다.
(6) 쌀알의 구조
벼의 낟알은 현미, 큰껍질과 작은껍질, 그리고 받침껍질로 되어 있다.
① 현미 : 정조에서 왕겨를 벗겨낸 자실, 식물학상 과실(영과)
㉠ 종피 - 과피, 종피
㉡ 배
㉢ 배유
ⓐ 배유의 구성 성분 : 호분층과 전분층으로 되어 있다.
ㆍ호분층 : 배유의 바깥 부분, 단백질과 지방이 풍부, 소화 X
ㆍ전분층 : 배유의 안쪽부분
ⓑ 멥쌀과 찹쌀
멥 쌀 | 찹쌀 |
ㆍ반투명하다 ㆍ요오드 반응 : 청람색 ㆍ전분층 : 20% 아밀로오스 80% 아밀로펙틴 |
ㆍ백색불투명 ㆍ요오드 반응 : 적갈색 ㆍ전분층 : 대부분 아밀로펙틴 |
3. 수량의 성립과 양분
1. 수량 구성 4요소 : 이삭 수, 영화 수, 등숙률, 천립중 √ 시비량(X)
(1) 단위 면적당 수량
(3) 수량에 미치는 수량 구성 4요소의 영향(그림 p.74 참조)
① 수량에 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4요소의 순위는 이삭 수, 1이삭의 평균 영화 수, 등숙률, 천립중인데 이들 상호 간에는 상보성이 있다. √ 단위 면적당 분얼수(X)
② 이삭수가 많아지면 1이삭의 평균 영화 수는 적어지고, 단위 면적당 영화수가 증가하면 등숙률은 낮아진다.
(4) 다수확을 위한 관리 요령
① 이삭수를 많이 확보하기 위한 방법 √ 이삭거름(X) 알거름(X)
㉠ 다얼성 품종의 선택
㉡ 조식
㉢ 고밀도 이앙
㉣ 천식
㉤ 밑거름(기비) 및 분얼비의 다량 시용
㉥ 이앙 후 수온 상승책의 강구
② 등숙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 단위 면적당 영화수를 적당수로 억제한다.
㉡ 완전 등숙 한계 출수기 이전에 출수하도록 적기 이앙을 한다.
㉢ 무효 분얼 또는 분얼이 지연되지 않게 한다.
㉣ 이삭 거름(추비) 및 알거름(실비)의 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2. 수량 구성 요소의 형성 경과
(1) 수량 구성 요소의 결정 시기
① 이삭수 : 분얼 최성기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다. √ 출수기(X)
② 1이삭당 영화 수 : 분화한 영화 수와 퇴화한 영화 수의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 분화 영화 수 : 수수 분화기부터 주로 영향을 받기 시작하고, 제2차 지경 분화기에 가장 강하게 영향을 받으며, 영화 분화기 이후에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 퇴화 영화 수 : 감수 분열기를 중심으로 하여 가장 퇴화하기 쉬운 시기이고, 출수기 전 5일 경에는 그 결정은 끝난다.
▶출수전 30일부터 출수기까지 햇빛이 부족할 때 가장 크게 피해를 받는 수량 구성요소는? 1이삭당 영화 수
√ 수량 구성 요소 중 1이삭당 영화 수는 언제 결정되는가? 유수 분화기부터 감수 분열 종지기까지
▶1이삭 당 영화 수 : 출수 30일 전쯤의 어린 이삭이 분화하는 시기부터 출수 5일 전쯤까지 기온이 높고 양분의 공급을 알맞게 해야 많아진다. 햇빛이 부족할 때 가장 크게 피해를 받는다.
③ 등숙률 : 주로 수수 분화기부터 영향을 받기 시작하여 감수 분열기, 출수기 및 등숙 성기에 가장 떨어지기 쉬우며, 출수기 후 35일을 경과하면 영향을 받지 않는다.
▶ 등숙 온도는 출수 후 처음 10일 동안은 낮 29℃, 밤 19℃, 그 이후에는 낮 25℃, 밤 15℃가 적당하다.
④ 천립중 : 천립중에 영향을 끼치는 시기는 감수 분열성기와 등숙 성기의 환경 조건이다.
(2) 수량의 성립
① 수량의 증가 : 주로 이삭 수와 분화 영화 수로 이루어져 있고, 이 두가지 요인에 의하여 분화 총 영화 수가 결정된다. … 도달할 수 있는 최대 수량은 영화 분화기★에 결정된다.
3. 건물 생산과 수량의 성립
(1) 건물 생산과 수량과의 관계
① 건물 생산량 : 동화량에서 호흡량을 뺀 것
(2) 건물 생산에 관여하는 요인 2가지 : 동화량과 호흡량
① 동화량 : 엽면적, 단위 동화력, 수광 능률의 3가지 요소가 관계하며, 동화량은 엽면적이 넓고 단위 동화력이 높으며, 하위의 잎까지 충분히 햇볕을 받게 되어 수광 능률이 높을수록 많아진다.
㉠ 최적 엽면적
㉡ 수광 능률 : 잎이 직립성, 규산질 비료 시용 → 수광상태 향상!
㉢ 단위 동화량
② 호흡량 : 동화와 호흡은 역의 관계에 있다.
③ 건물 생산과 엽면적과의 관계 : 엽면적이 클수록 동화량이 증대되지만, 어느 정도 커지면 증대되는 정도가 차차 완만해진다. 이것은 엽면적이 커짐에 따라 잎이 서로 겹쳐서 수광 능률이 낮아지고, 잎의 호흡 작용에 의한 호흡 기질의 소모는 엽면적이 커질수록 여전히 커지기 때문이다.
4. 양분의 흡수
1. 식물체의 조성분
(1) 필수 원소 √ 다 마(Mg) 전(CHON) SK 카(Ca) 피(P)
① 다량 원소 : C, H, O, N, S, P, K, Ca, Mg √ 망간(X)
② 미량 원소 : Fe, Mn, Cu, Zn, B, Mo, Cl
2. 양분의 흡수
(1) 무기 양분의 흡수
탄소(C)와 산소(O)는 기공을 통하여 흡수하며, 그 밖의 원소는 뿌리로부터 각종 화합물의 형태로 흡수한다.
(4) 뿌리의 호흡과 양분 흡수
② 특히 N, P, K 등의 흡수는 적극적 흡수에 의존하는 바가 크므로 흡수 장해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그러나 Ca, Mg는 농도차에 따른 소극적 흡수를 하므로 유해 성분이 있어도 흡수 장해를 받지 않는다.
(5) 양분 흡수 장해 √ K ㆍ P > Si > NH4 ㆍ Mn > H2O > Ca ㆍ Mg
① 황화수소(H2S)에 의한 흡수 장해
㉠ 황화수소의 생성 : 황화수소는 유안이나 과인산석회(과석), 황산칼리 등과 같은 황산근 비료를 시용했을 때 토양 중에서 환원이 되어 다량 집적되며, 유기물과 요소 등도 황화수소의 급원이 된다.
㉡ H2S에 의한 각 원소의 흡수 억제 순서는 다음과 같다.
3. 체내에서의 양분 이동
(1) 양분의 체내 이동률 √ P > N > S > Mg > K > Ca
흡수된 양분의 체내 이동률은
의 순으로 작아진다.
(2) 양분 흡수와 체내 이동률
① P, N, S : 단백질의 구성 성분으로 생육 초기에 왕성하게 흡수되어 개화기까지는 거의 흡수가 완료된다.
② K, Ca : 생육 초기부터 생육이 완료될 때까지 흡수되는데, 수량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생육후기까지 지속적으로 흡수시켜야 한다.
③ Mg : 유수 발육기에 요구가 크며, 이시기에 많이 흡수된다.
[기출ㆍ예상문제]
ㆍ벼의 영양 생장기는 줄기에 축적된 탄수화물이 이삭으로 전류되는 기간이다.
ㆍ벼의 기본 영양 생장 기간이란? 생육 기간이 일장과 온도에 지배되지 않는 기간
ㆍ벼의 1차 지경에서 제일 늦게 개화되는 것은? 가지 끝부분에서 2번째
ㆍ벼 화기 구조는? 수술 6개, 암술 1개, 인피 2매
ㆍ볍씨가 진공 상태 또는 깊은 물속에서 발아할 때 무엇이 이상 발아하는가? 초엽
ㆍ벼가 개화할 때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 압력에 의하여 양 껍질이 열리면서 꽃이 피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비늘 껍질
ㆍ땅속의 뿌리로 산소가 공급되어 물 속에서도 살 수 있는 이유는? 통기조직의 발달
ㆍ벼 영화의 인피의 기능은? 내외영의 개폐
ㆍ잎몸은 동화 작용의 주체부이다.
ㆍ잎집은 줄기를 보호한다.
ㆍ벼의 생육 기간에 저온의 영향은
유묘기 - 발아 불량 / 유수 분화기 - 분얼 감소 / 등숙기 - 미질 감소
ㆍ벼가 도달할 수 있는 최대 수량은 언제 결정되는가? 영화 분화기
ㆍ벼 잎의 구조에서 줄기에 밀착되어 물이 줄기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 주는 부위는? 잎 혀
ㆍ1포기중에서 가장 긴 줄기의 등숙립수를 헤아려 그것이 100립정도일 경우 평균 1이삭당 등립수는? 75∼80%
ㆍ1000립중은 유전 영향이 커서 등숙기의 비배 관리에 상관없이 대체로 일정하다.
ㆍ이삭 수는 불얼 최성기의 환경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ㆍ등숙비율은 재배 기술로 적극적으로 높일 수 있는 수량 구성 요소이다.
ㆍ벼의 뿌리에서 황화수소 발생시 흡수 저해가 가장 덜 되는 것은? 망간
ㆍ거의 모내기 후의 환경에 영향을 받으며, 분얼 최성기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다. 최고 분얼기로부터 7∼10일이 지나면 거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ㆍ분화 영화 수는 유수 분화기부터 주로 영향을 받기 시작하고, 제2차 지경 분화기에 가장 강하게 영향을 받는다.
ㆍ천립중에 영향을 끼치는 시기로 감수 분열기와 등숙 성기이다.
ㆍ등숙률은 주로 유수 분화기부터 영향을 받기 시작하여, 출수 후 35일을 경과하면 영향을 받지 않는다.
ㆍ건물중은 완만한 S자 곡선을 나타내는 증가를 보인다.
ㆍ중복 수정시 배유의 형성은? 1개의 정핵과 2개의 극핵의 융합
ㆍ벼의 일생 순서는? 묘대기 ⇨ 분얼기 ⇨ 유수 형성기 ⇨ 개화기
ㆍ벼의 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관근, 종자근
ㆍ다음 중 다량 원소는? C, H, O, N, S, K, P, Ca, Mg
ㆍ벼의 일생 중 온도와 일장에 좌우됨이 없는 시기는? 기본 영양생장기
ㆍ산소가 부족한 중에서는 초엽이 5∼10cm까지 이상 신장하고 유근인 종자근은 거의 자라지 않는다. 그러나 산소가 풍부한 조건에서는 초엽이 1cm 이하로 짧고 굵게 나오면서 종자근이 건전하게 잘 신장한다.
ㆍ영양 생장기의 가장 전형적인 생육의 특징은? 분얼수의 증가
ㆍ이삭목 분화기는 보통 출수 전 며칠 경인가? 약 30일 전
ㆍ영양 생장기와 생식 생장기로 구분되는 시기는? 유수 형성기
ㆍ벼의 어린 이삭이 1.5∼2mm 정도 자란 시기는? 유수 형성기
ㆍ벼의 일생 중 냉해의 피해가 가장 심한 시기는? 수잉기(감수분열기)
ㆍ벼의 화기에 해당되는 것은? 암술 1, 수술 6, 인피2, 호형2, 부호형2
ㆍ생육 전환기(영양생장기에서 생식 생장기로 전환될 때)의 징조는? 유수 분화, 절간신장, 이삭목 마디의 분화, 출엽 속도의 변화 등
ㆍ볍씨 발아 온도는? 최적(30∼35℃) 최고(40∼42℃) 최저(8∼12℃)
ㆍ벼품종의 발아 최저 한계 온도는? 약 8∼10℃
ㆍ벼의 줄기가 자라는 시기는? 유수형성기
ㆍ벼의 분얼에 알맞은 주간/야간 온도는? 주간 32℃ 야간 15℃
ㆍ벼의 유효 분얼 한계기는 모내기 후 며칠을 기준으로 하는가? 20일 후
ㆍ벼의 유효경 비율은? 70% 내외
ㆍ영양생장기간의 출엽 주기는? 4∼5일 간
ㆍ벼가 건조하여 수분이 적어지면 잎이 수축하여 증산 작용을 적게 하여 가뭄해를 적게 하는 구실을 하는 것은? 기동세포
ㆍ제1본엽은 원통형이고 잎몸이 침엽으로서 불완전하며, 제2본엽은 잎몸이 갸름한 스푼 모양이고, 제3본엽 이후부터는 완전한 잎모양을 이룬다. √ 제2본엽(X)
ㆍ벼의 종근은? 1개이며 생육 초기에만 활약한다.
ㆍ뿌리의 수가 최고에 달하는 시기는? 수전기
ㆍ유수의 길이가 1.5mm 정도 자라 육안 관찰이 가능한 시기는? 영화 분화 시기
ㆍ유수 분화가 시작된 이후에도 분얼이 계속되는 경우? 조생종, 다비 재배, 한랭지
ㆍ영화 분화 시기 : 출수 전 24일, 유수의 길이(1.5mm), 엽령지수(87)
ㆍ유수 분화기의 엽령 지수는 76∼78이며, 영화 분화 전기는 87, 감수 분열기는 97이다.
ㆍ정상적인 기상 조건하에서 1일 중 벼의 개화 최성기는? 오전 11시경
ㆍ씨눈속에 분화되어 있는 유아와 유근은? 초엽, 1엽, 2엽, 3엽, 종자근
ㆍ쌀알의 외형적 발달은? 길이, 나비, 두께의 순서로 형성
ㆍ쌀알의 건물 무게는 꽃이 핀 후 며칠쯤에 최고에 이르는가? 28일쯤
ㆍ오아겨를 벗겨낸 자실(현미)의 식물학상 해당 부위는? 과실
ㆍ찰벼의 배유에 없는 성분은? 아밀로오스
ㆍ멥쌀은 주식용에 알맞다.
ㆍ배(胚) : 1개의 정핵(n)과 1개의 난핵(n)의 융합(2n)
ㆍ배유(胚乳) : 1개의 정핵(n)과 2개의 극핵(2n)의 융합(3n)
ㆍ벼의 수량 구성 요소중 영양 생장기에 결정되는 것은? 포기당 이삭 수
ㆍ벼의 이삭 수를 많이 확보하기에 알맞지 않은 수단 방법은? 알거름
▶묘(苗)의 생리적 전환기
1. 제1본엽이 초엽에서 나오는 시기
2. 배유의 소진기, 즉 제4본엽의 출현기로서 종석적 영양에서 독립적 영양으로 바뀌는 시기
3. 못자리 말기의 생육 변조기
▶어느 마디(제n마디)에서 나오는 뿌리는 그 마디보다 항상 3개의 윗마디(제n+3마디)에서 나오는 잎과 동시에 나온다.
1. 동신 분얼 : 모든 분얼은 주간의 어느 잎과 동시에 나온다. 즉, 어떤 잎(제n잎)이 나올 때에는 그 잎보다도 아래쪽의 세 번째 잎(제n-3잎)이 붙은 마디에서 동시에 분얼경의 첫잎이 나온다.
2. 제n+1잎의 잎몸과 제n잎의 잎집은 동시에 신장한다.
▶엽령 지수
1. 유수 분화기 : 77 정도
2. 영화원기 분화기 : 87∼92
3. 감수 분열기 : 97∼98
4. 지엽이 완전히 신장한 시기 : 100
▶잎귀 사이의 길이
1. -10cm 일 때 : 감수 분열이 시작
2. 0일 때 : 감수 분열 최성기
3. +10cm일 때 : 감수 분열이 끝날 무렵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